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883 vote 0 2020.05.05 (18:55:49)


    관계 중심의 세계관


    구조론은 관계 중심의 세계관을 제공한다. 우리는 관측되는 정보를 통해 세상을 인식한다. 정보는 자연의 변화를 반영한다. 변화는 관계의 변화다. 그 외에 아무것도 없다. 우리는 막연히 물질의 고유한 속성에서 답을 찾으려 하지만 이는 경험에 근거한 비과학적인 접근이다.


    고유한 속성이란 것은 없다. 그것은 막연한 표현이며 얼버무리는 말이다. 모든 정보는 변화에 대한 정보이며 모든 변화는 관계의 변화다. 관계와 그 변화야말로 존재의 알파요 오메가다. 관계는 어떤 둘이 만나는 방식이다. 존재는 어떻게 만나는지에 따라서 성질을 획득한다.


    구조론은 어떤 대상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둘의 사이의 관계를 바라본다는 점이 각별하다. 둘이 만나는 방식에 정보가 있다. 관계의 종류는 다섯이다. 다섯 가지의 서로 다른 만남의 방식이 있다. 더 이상의 관계는 없다. 만나려면 움직여야 하고 움직이면 단절되기 때문이다.


    이쪽을 연결하면 저쪽이 끊어진다. 풍선효과와 같다. 이쪽을 누르면 저쪽이 나온다. 엔트로피의 법칙에 따라 사건 안에서 에너지가 전달될 수 있는 만남의 형태에는 제한이 걸린다. 부자관계와 부부관계는 동시에 성립할 수 있다. 누군가의 남편이면서 동시에 누구의 아빠가 된다.


    그러나 동시에 두 여자의 남편이 되거나 두 엄마의 자식이 될 수는 없다. 이 사람의 자식이면 저 사람의 자식이 아니다. 어떤 하나가 동시에 관계를 맺을 수 있는 형태는 최대 다섯이다. 여섯이 되는 순간 하나가 떨어져 나간다. 에너지는 움직이고 움직임에 의해서 연결된다.


    연결되면 관계를 맺는다. 그러나 동시에 하나가 떨어져 나간다. 결혼하면 친구와 멀어진다. 연결과 단절에서 사건의 안과 밖이 결정된다. 안으로는 연결되며 외부와는 끊어진다. 연결은 내부적으로만 일어난다는 것이 엔트로피의 법칙이다. 안과 밖을 가르는 기준이 곧 사건이다.


    내부적으로 동시에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성질과 외적으로 동시에 관계를 맺을 수 없는 성질에 의하여 관계는 다섯뿐이다. 그것이 질, 입자, 힘, 운동, 량이다. 수학적으로는 체, 계, 각, 선, 점이다. 관계는 연결되고 끊어지며 의사결정의 단위를 만든다. 그것은 곧 사건의 단위다.


    사건 안에서 관계는 통제된다. 그것이 구조다. 에너지가 작용하면 계가 성립되고 외부와 끊어지며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사건의 단위를 구성한다. 이때 내부에서 그 내부의 내부로, 그리고 그 내부의 내부의 내부로 계속 연결되어 간다. 그러나 에너지로는 그 연결이 끊어져 있다.


    자동차가 움직이면 출발선에서 멀어진다. 연결이 끊어진 것이다. 그러나 엔진과 바퀴는 연결되어 있다.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에너지적으로는 끊어져 있다는 것이 엔트로피다. 이렇게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동시에 에너지적으로 끊어진 형태는 다섯 가지가 있다.


    그것이 계다. 계 안에서 사건의 진행은 체, 각, 선, 점으로 진행하며 이 방향으로 갈 때에 한해 에너지가 전달된다. 그 역방향으로 가면 에너지가 단절된다. 여기서 통제된다. 에너지가 공급되는 라인은 하나뿐이므로 경우의 수는 제한된다. 이에 만유의 질서가 작동하게 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5.06 (05:13:28)

"모든 정보는 변화에 대한 정보이며 모든 변화는 관계의 변화다."

http://gujoron.com/xe/1198708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5738 귀납은 없다 1 김동렬 2019-08-02 2897
5737 김종인의 사과놀이 실패 김동렬 2020-12-10 2898
5736 진보는 에너지의 수렴이다 김동렬 2021-01-21 2898
5735 유전자의 눈 김동렬 2021-11-14 2899
5734 구조론적 행동주의 김동렬 2022-01-09 2899
5733 애도기간이 아니라 타도기간이다 김동렬 2022-11-02 2900
5732 존재가 아니라 부재다 1 김동렬 2023-03-30 2900
5731 구조압과 구조손실 1 김동렬 2019-06-17 2905
5730 원인은 공간에 있다 3 김동렬 2021-05-10 2906
5729 과학계가 틀렸다 김동렬 2022-01-26 2906
5728 엘리트냐 민중이냐? 1 김동렬 2020-12-26 2907
5727 유체가 강체를 이긴다 김동렬 2021-10-25 2909
5726 국가와 사회와 개인의 정답은 무엇인가? 1 김동렬 2020-06-21 2910
5725 질 입자 힘 운동 량 김동렬 2021-10-31 2910
5724 생각의 출발 김동렬 2023-06-08 2910
5723 순진한 한국인들에게 고함 김동렬 2022-10-25 2912
5722 긍정과 부정의 변증법 김동렬 2020-11-19 2913
5721 계 체 각 선 점 1 김동렬 2021-11-29 2913
5720 원자론과 구조론 image 5 김동렬 2020-01-13 2914
5719 개혁의 정답은? 1 김동렬 2020-12-23 2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