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구조론이 보급화 되어서 거의 모든 사람들이


'여러 사람의 생각을 합치는 것이 최고구나'라고 생각해게 되어버려서


모두가 새로운 아이디어의 창출 없이 남의 아이디어만 가져다가 합칠 궁리만 하면 세상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구조론에서 정의하는 '천재' 등이 총 인구 대비 다수를 차지하게 되버리면 세상에 어떤 문제가 생기는게 아닐까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0.04.29 (07:38:00)

너무 멍청한 말이라서 답변할 가치도 없습니다.

들판에 사는 부족민이 문명사회를 바라보면서 그런 생각을 하겠지요.

문명사회가 바로 그렇게 만들어진 세상의 어떤 문제입니다. 

[레벨:6]서단아

2020.04.29 (11:27:11)

아하 그렇군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금재.

2020.04.29 (11:25:16)

지식이라는게 본질이 연결에 있는 것인데, 연결을 부정하면 지식 자체를 부정하는게 됩니다. 연결하려면 건더기가 있어야 하는 거 아니냐고 반문하는데, 그 건더기도 이전에 연결된 것입니다. 즉 구조론자나 아이디어를 만든 자나 같다는 거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군가의 눈에 구조론자와 지식생산자가 따로따로 보인다면, 그는 막 생산되는 지식은 보지 못하고 흘러간 지식만 보고있다는 말이 됩니다. 활어를 보지 못하고 횟감만 보는 거죠. 여기에 대해서는 뉴턴이 좋은 말 했었습니다. 거인의 어깨 어쩌고 하는 말. 


뉴턴은 1651년 조지 허버트가 쓴 문장에서 빌려왔습니다.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선 난쟁이는 거인보다 더 멀리 본다.” 허버트는 1621년 로버트 버튼에게 빌려왔습니다. ... “우리는 거인들의 어깨 위에 올라선 난쟁이들과 같기 때문에 고대인들보다 더 많이 그리고 더 멀리 볼 수 있다.”

[레벨:6]서단아

2020.04.29 (11:28:08)

도움이 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금재.

2020.04.29 (11:31:21)

뉴턴의 말을 추가했습니다. 제가 인용한 문장이 재밌는 것인데, 말의 내부적인 의미와 외부적인 의미 모두가 구조적이기 때문입니다. 뉴턴은 스스로의 업적이 누군가가 구축해놓은 지식 위에서 구축된 것임을 표현하고자 또 누군가의 말을 인용했는데, 그 말을 한 사람도 사실은 누군가의 말을 발전인용한 거죠. 우리는 최초만을 찾으려고 하지만 중요한 것은 최초가 아니라 이어짐이며 맥락입니다. 그것이 곧 일원론이 되는 거죠. 진보와 보수가 따로 있는게 아니란 말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0.04.29 (11:36:30)

원래 천재는 집단적으로 나타나고 노벨상은 유태인이 가져갑니다.

고전주의가 있으니 낭만주의가 있는 거지요.

서양은 이쪽이 있어서 저쪽이 있고 동양은 저쪽이 없어서 이쪽도 없고.

서구문명은 모두 아프리카 아랍 인도 게르만 지중해의 것을 짬뽕한 퓨전이고 독창은 없습니다.

중국은 옆에 인도, 아랍, 아프리카, 지중해, 게르만이 없어서 빈곤한 거지요. 

모든 천재적 아이디어는 집단적 혼성 모방과 대결구도 때문에 일어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572 선차아회 후기 1부(그냥..이런 차행사가 있다고 보시라고 올린 것임) image 3 아란도 2014-03-27 5234
4571 윤리 도덕의 족보 12 김동렬 2009-12-23 5221
4570 김유신묘 실제 주인? image 1 김동렬 2012-02-27 5219
4569 바둑 삼국지 image 1 락에이지 2016-04-24 5217
4568 동렬님! 이거 좀 봐 주세요. 8 불휘 2013-03-06 5215
4567 카페에 가입했습니다... 1 산지박 2007-04-19 5212
4566 남자가 웃긴게 아니라, 여자가 웃어주는 것 5 르페 2012-06-11 5211
4565 <이명박은 하야하라>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 사랑 2008-05-14 5206
4564 구당이 미국으로 간 까닭은? 5 LPET 2009-11-13 5204
4563 명박쥐가 인터넷을 화끈하게 밀어주고 있소. ░담 2009-11-12 5195
4562 에휴....드릴말씀이 있어서 물어물어 왔습니다.^^ 수정부 2007-08-26 5195
4561 와튼스쿨 MBA 정경자 2011-12-27 5189
4560 신발공장 여공의 말 좀 들어보소. 7 양을 쫓는 모험 2012-12-04 5182
4559 신해철 고의 살인을 읽고 찾아본 결과. 영화 공모자가 떠올라.. 무진 2014-11-06 5179
4558 영화 '친구' 와 한국인의 '눈치보기 근성' 18 AcDc 2013-10-15 5174
4557 천안함 침몰 원인은? 5 노매드 2010-03-28 5173
4556 서프에 오른 글을 다시 읽고 3 sunny 2007-09-06 5172
4555 크리스마스 트리 image 5 곱슬이 2009-07-16 5171
4554 나는 솔직히 한국이 정말로 밉다! 14 LPET 2009-11-26 5167
4553 "인간이 곧 神"(영화 영웅본색의 한 장면에서) image 1 風骨 2014-03-13 5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