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구조론이 보급화 되어서 거의 모든 사람들이


'여러 사람의 생각을 합치는 것이 최고구나'라고 생각해게 되어버려서


모두가 새로운 아이디어의 창출 없이 남의 아이디어만 가져다가 합칠 궁리만 하면 세상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구조론에서 정의하는 '천재' 등이 총 인구 대비 다수를 차지하게 되버리면 세상에 어떤 문제가 생기는게 아닐까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0.04.29 (07:38:00)

너무 멍청한 말이라서 답변할 가치도 없습니다.

들판에 사는 부족민이 문명사회를 바라보면서 그런 생각을 하겠지요.

문명사회가 바로 그렇게 만들어진 세상의 어떤 문제입니다. 

[레벨:6]서단아

2020.04.29 (11:27:11)

아하 그렇군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금재.

2020.04.29 (11:25:16)

지식이라는게 본질이 연결에 있는 것인데, 연결을 부정하면 지식 자체를 부정하는게 됩니다. 연결하려면 건더기가 있어야 하는 거 아니냐고 반문하는데, 그 건더기도 이전에 연결된 것입니다. 즉 구조론자나 아이디어를 만든 자나 같다는 거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군가의 눈에 구조론자와 지식생산자가 따로따로 보인다면, 그는 막 생산되는 지식은 보지 못하고 흘러간 지식만 보고있다는 말이 됩니다. 활어를 보지 못하고 횟감만 보는 거죠. 여기에 대해서는 뉴턴이 좋은 말 했었습니다. 거인의 어깨 어쩌고 하는 말. 


뉴턴은 1651년 조지 허버트가 쓴 문장에서 빌려왔습니다.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선 난쟁이는 거인보다 더 멀리 본다.” 허버트는 1621년 로버트 버튼에게 빌려왔습니다. ... “우리는 거인들의 어깨 위에 올라선 난쟁이들과 같기 때문에 고대인들보다 더 많이 그리고 더 멀리 볼 수 있다.”

[레벨:6]서단아

2020.04.29 (11:28:08)

도움이 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금재.

2020.04.29 (11:31:21)

뉴턴의 말을 추가했습니다. 제가 인용한 문장이 재밌는 것인데, 말의 내부적인 의미와 외부적인 의미 모두가 구조적이기 때문입니다. 뉴턴은 스스로의 업적이 누군가가 구축해놓은 지식 위에서 구축된 것임을 표현하고자 또 누군가의 말을 인용했는데, 그 말을 한 사람도 사실은 누군가의 말을 발전인용한 거죠. 우리는 최초만을 찾으려고 하지만 중요한 것은 최초가 아니라 이어짐이며 맥락입니다. 그것이 곧 일원론이 되는 거죠. 진보와 보수가 따로 있는게 아니란 말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0.04.29 (11:36:30)

원래 천재는 집단적으로 나타나고 노벨상은 유태인이 가져갑니다.

고전주의가 있으니 낭만주의가 있는 거지요.

서양은 이쪽이 있어서 저쪽이 있고 동양은 저쪽이 없어서 이쪽도 없고.

서구문명은 모두 아프리카 아랍 인도 게르만 지중해의 것을 짬뽕한 퓨전이고 독창은 없습니다.

중국은 옆에 인도, 아랍, 아프리카, 지중해, 게르만이 없어서 빈곤한 거지요. 

모든 천재적 아이디어는 집단적 혼성 모방과 대결구도 때문에 일어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2912 구조론이 낳은 그림책입니다. image 2 울림북 2013-01-06 2980
2911 확전자제 발언 이상우 2010-11-24 2980
2910 7인의 사무라이, magnificent 7 1 눈마 2016-04-21 2979
2909 [강남훈]기본소득이란 2 수원나그네 2016-02-01 2979
2908 좌뇌/우뇌 구분의 진실은 무엇인가? 6 챠우 2017-09-06 2978
2907 이번주 구조론연구소 모임 취소 4 냥모 2014-02-19 2978
2906 랄랄라스튜디오 애플리케이션 image 29 냥모 2015-05-05 2977
2905 올 이즈 로스트 보셨나요? 3 시원 2014-02-12 2977
2904 쉬운문제 16 아란도 2013-02-20 2977
2903 부끄러운 고백 image 3 생글방글 2017-05-19 2976
2902 <변호인> 대박입니다. 4 봄날 2013-12-19 2976
2901 송영길 인천시장 YTN 생중계 인터뷰 1 노매드 2010-11-25 2976
2900 새로운 홈피 개통 감사합니다.. 1 농담이야 2009-01-01 2975
2899 짐승의 시간 image 2 아란도 2014-09-27 2974
2898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생 차이 1 챠우 2016-07-17 2973
2897 우리나라 병적인 교육열 대체 왜 그런걸까요? 10 부둘 2014-04-24 2973
2896 부끄러움의 크기 아란도 2013-09-10 2973
2895 토란잎에 궁그는 물방울 같이 3 새벽강 2013-02-21 2973
2894 간큰놈 오리 2013-03-29 2972
2893 노원 단일선대위, 구역권 단일정책, 합동유세는 김어준의 아이디어! 7 난너부리 2012-03-26 2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