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구조론이 보급화 되어서 거의 모든 사람들이


'여러 사람의 생각을 합치는 것이 최고구나'라고 생각해게 되어버려서


모두가 새로운 아이디어의 창출 없이 남의 아이디어만 가져다가 합칠 궁리만 하면 세상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구조론에서 정의하는 '천재' 등이 총 인구 대비 다수를 차지하게 되버리면 세상에 어떤 문제가 생기는게 아닐까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0.04.29 (07:38:00)

너무 멍청한 말이라서 답변할 가치도 없습니다.

들판에 사는 부족민이 문명사회를 바라보면서 그런 생각을 하겠지요.

문명사회가 바로 그렇게 만들어진 세상의 어떤 문제입니다. 

[레벨:6]서단아

2020.04.29 (11:27:11)

아하 그렇군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금재.

2020.04.29 (11:25:16)

지식이라는게 본질이 연결에 있는 것인데, 연결을 부정하면 지식 자체를 부정하는게 됩니다. 연결하려면 건더기가 있어야 하는 거 아니냐고 반문하는데, 그 건더기도 이전에 연결된 것입니다. 즉 구조론자나 아이디어를 만든 자나 같다는 거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군가의 눈에 구조론자와 지식생산자가 따로따로 보인다면, 그는 막 생산되는 지식은 보지 못하고 흘러간 지식만 보고있다는 말이 됩니다. 활어를 보지 못하고 횟감만 보는 거죠. 여기에 대해서는 뉴턴이 좋은 말 했었습니다. 거인의 어깨 어쩌고 하는 말. 


뉴턴은 1651년 조지 허버트가 쓴 문장에서 빌려왔습니다. “거인의 어깨 위에 올라선 난쟁이는 거인보다 더 멀리 본다.” 허버트는 1621년 로버트 버튼에게 빌려왔습니다. ... “우리는 거인들의 어깨 위에 올라선 난쟁이들과 같기 때문에 고대인들보다 더 많이 그리고 더 멀리 볼 수 있다.”

[레벨:6]서단아

2020.04.29 (11:28:08)

도움이 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금재.

2020.04.29 (11:31:21)

뉴턴의 말을 추가했습니다. 제가 인용한 문장이 재밌는 것인데, 말의 내부적인 의미와 외부적인 의미 모두가 구조적이기 때문입니다. 뉴턴은 스스로의 업적이 누군가가 구축해놓은 지식 위에서 구축된 것임을 표현하고자 또 누군가의 말을 인용했는데, 그 말을 한 사람도 사실은 누군가의 말을 발전인용한 거죠. 우리는 최초만을 찾으려고 하지만 중요한 것은 최초가 아니라 이어짐이며 맥락입니다. 그것이 곧 일원론이 되는 거죠. 진보와 보수가 따로 있는게 아니란 말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20.04.29 (11:36:30)

원래 천재는 집단적으로 나타나고 노벨상은 유태인이 가져갑니다.

고전주의가 있으니 낭만주의가 있는 거지요.

서양은 이쪽이 있어서 저쪽이 있고 동양은 저쪽이 없어서 이쪽도 없고.

서구문명은 모두 아프리카 아랍 인도 게르만 지중해의 것을 짬뽕한 퓨전이고 독창은 없습니다.

중국은 옆에 인도, 아랍, 아프리카, 지중해, 게르만이 없어서 빈곤한 거지요. 

모든 천재적 아이디어는 집단적 혼성 모방과 대결구도 때문에 일어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732 오세 님 결혼합니다. image 34 냥모 2013-12-24 6389
4731 동렬님 구경하고 갑니다. 토탈싸커 2006-03-04 6388
4730 좋은 컬럼에 감사드립니다 소운 2005-12-10 6387
4729 김동렬님 강도 2005-12-16 6377
4728 프레시안 강양구의 근거없는 윤봉길 의사 모략극 image 김동렬 2011-02-28 6370
4727 이광재 도지사의 직무정지와 관련하여. 4 노매드 2010-07-06 6362
4726 애플의 구조 1 water 2011-05-26 6360
4725 64괘 7 정청와 2011-12-17 6359
4724 동렬님 감사합니다. 오세 2006-03-11 6357
4723 누가 배신하는 가를 읽고나서 ... 1 물소리 2007-03-01 6350
4722 고맙습니다. 황박 중간 평간 글 잘읽었습니다(내용무) 열수 2006-01-05 6333
4721 막걸리 시대 2 곱슬이 2010-03-15 6324
4720 정권과 흡연율 2 노매드 2010-07-07 6315
4719 관점. 1 아제 2010-09-13 6313
4718 이명박과 주가폭락 2 허벅지 2008-02-11 6309
4717 한국의 재벌 구조.. image 1 카르마 2012-01-09 6277
4716 좋은 사진이란 무엇입니까? 9 만권 2014-02-04 6268
4715 뉴욕과 LA의 차이 image 5 김동렬 2013-08-15 6268
4714 확 달라진 `그랜저HG`, image 10 김동렬 2010-10-17 6258
4713 무릎팍도사 - 김태원 편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1-03-31 6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