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404 vote 0 2020.04.25 (08:27:12)

      
    차원 5의 의미


    우주 안의 모든 것은 차원 5로 존재한다. 그럼 3차원 입체는 뭐냐? 거기에는 관측자가 있다. 관측자와 0차원을 포함하면 5다. 어떤 입자에 외력이 작용하면 당연히 깨진다. 깨지면 존재가 아니다. 여기서 입자는 체다. 체는 4다. 외력 1을 더하면 5다. 깨지지 않으면? 그 경우 외력을 내부에서 처리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외력의 작용에 따른 모순을 내부에서 처리하는 것이다. 이때 외력은 들어왔다 나갔으므로 논외가 되고 체의 4에 그 외력을 처리하는 내부 구심점 1을 더하여 5다. 즉 자연은 어떤 경우에도 5일 수밖에 없으며 깨진 5와 멀쩡한 5가 있을 뿐이다. 가솔린의 폭발이나 물체의 파괴는 본래 5에서 1이 밖으로 빠져나간 것이다. 


    물체의 모서리를 때리면 떨어져 나간다. 여기서 모서리는 4 + 외력은 1 = 5가 된다. 즉 가만히 있는 물체는 내부에 무게중심을 가져서 5가 되며 그렇지 않은 물체는 깨지면서 그 운동을 포함하여 5가 되며 언제든지 5다. 깨진 것은 논외로 치고 구조가 안정된 5는 입체 내부에 외력을 극복하는 구심점이 하나 더 있다. 


    예컨대 가족 5명과 지나가는 행인 5명은 다른 거다. 가족 5명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계를 이루고 가족이 아닌 경우는 계를 이루지 못했으므로 체다. 외력이 작용하면 가족은 뭉쳐 하나로 대항하겠지만 지나가는 행인들은 흩어져 버린다. 에너지는 뭉친 에너지와 흩어진 에너지가 있고 특별히 뭉친 에너지는 계다.


    플라즈마가 3천도 이하로 식으면 일정한 압력에서 뭉치기 시작한다. 그 이상의 온도와 다른 압력이면 흩어져 버린다. 흩어지면 논외가 되고 뭉치면 비로소 사건이 시작된다. 흩어진다는 것은 의사결정이 밖에서 일어난다는 것이다. 거기에는 내부질서가 없으므로 계의 통제가능성이 없다. 그러므로 논외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흩어진 가스도 실린더에 가두면 통제가 된다. 여기서 실린더가 추가되므로 역시 5다. 자연은 언제나 5이며 그 5가 어떤 대상 내부질서로 있으면 통제가능하고 반대로 체4+운동1로 5가 되면 돌아다니므로 통제되지 않아 사건을 조직하지 못한다. 이 경우는 어떤 용기에 가두어 5를 끌어내는 방법으로 통제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4820 폭도인가, 시민인가? 2 김동렬 2020-06-02 3511
4819 김종인을 처절하게 밟아버려야 한다. 1 김동렬 2020-06-02 3312
4818 교육의 전략 1 김동렬 2020-06-01 2945
4817 공짜먹는게 교육이다 2 김동렬 2020-05-31 3490
4816 과잉 대표된 정의연 1 김동렬 2020-05-31 3003
4815 이용수는 왜 윤미향을 치는가? 2 김동렬 2020-05-28 4121
4814 교육이 가장 중요하다. 1 김동렬 2020-05-27 3345
4813 찌질이 찐따 정의당 4 김동렬 2020-05-27 3715
4812 일본과 경상도의 멸망공식 1 김동렬 2020-05-26 4149
4811 표창원의 적전도주 1 김동렬 2020-05-25 3953
4810 역사의 강자와 약자 3 김동렬 2020-05-24 3747
4809 윤미향과 이용수 1 김동렬 2020-05-24 3789
4808 처음 방문하시는 분께 1 김동렬 2020-05-24 3096
4807 정의당과 심상정의 오판 3 김동렬 2020-05-22 3752
4806 제논의 궤변 image 1 김동렬 2020-05-22 3405
4805 교육의 목적은 집단적 자아실현에 있다 2 김동렬 2020-05-21 3166
4804 집단의 권력과정power process 1 김동렬 2020-05-20 3103
4803 유나바머 1 김동렬 2020-05-20 3447
4802 소승과 대승 1 김동렬 2020-05-19 3324
4801 구조주의 교육으로 갈아타자 3 김동렬 2020-05-19 3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