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501 vote 0 2020.04.25 (08:27:12)

      
    차원 5의 의미


    우주 안의 모든 것은 차원 5로 존재한다. 그럼 3차원 입체는 뭐냐? 거기에는 관측자가 있다. 관측자와 0차원을 포함하면 5다. 어떤 입자에 외력이 작용하면 당연히 깨진다. 깨지면 존재가 아니다. 여기서 입자는 체다. 체는 4다. 외력 1을 더하면 5다. 깨지지 않으면? 그 경우 외력을 내부에서 처리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외력의 작용에 따른 모순을 내부에서 처리하는 것이다. 이때 외력은 들어왔다 나갔으므로 논외가 되고 체의 4에 그 외력을 처리하는 내부 구심점 1을 더하여 5다. 즉 자연은 어떤 경우에도 5일 수밖에 없으며 깨진 5와 멀쩡한 5가 있을 뿐이다. 가솔린의 폭발이나 물체의 파괴는 본래 5에서 1이 밖으로 빠져나간 것이다. 


    물체의 모서리를 때리면 떨어져 나간다. 여기서 모서리는 4 + 외력은 1 = 5가 된다. 즉 가만히 있는 물체는 내부에 무게중심을 가져서 5가 되며 그렇지 않은 물체는 깨지면서 그 운동을 포함하여 5가 되며 언제든지 5다. 깨진 것은 논외로 치고 구조가 안정된 5는 입체 내부에 외력을 극복하는 구심점이 하나 더 있다. 


    예컨대 가족 5명과 지나가는 행인 5명은 다른 거다. 가족 5명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계를 이루고 가족이 아닌 경우는 계를 이루지 못했으므로 체다. 외력이 작용하면 가족은 뭉쳐 하나로 대항하겠지만 지나가는 행인들은 흩어져 버린다. 에너지는 뭉친 에너지와 흩어진 에너지가 있고 특별히 뭉친 에너지는 계다.


    플라즈마가 3천도 이하로 식으면 일정한 압력에서 뭉치기 시작한다. 그 이상의 온도와 다른 압력이면 흩어져 버린다. 흩어지면 논외가 되고 뭉치면 비로소 사건이 시작된다. 흩어진다는 것은 의사결정이 밖에서 일어난다는 것이다. 거기에는 내부질서가 없으므로 계의 통제가능성이 없다. 그러므로 논외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흩어진 가스도 실린더에 가두면 통제가 된다. 여기서 실린더가 추가되므로 역시 5다. 자연은 언제나 5이며 그 5가 어떤 대상 내부질서로 있으면 통제가능하고 반대로 체4+운동1로 5가 되면 돌아다니므로 통제되지 않아 사건을 조직하지 못한다. 이 경우는 어떤 용기에 가두어 5를 끌어내는 방법으로 통제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160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0082
2126 인생의 의미 image 2 김동렬 2018-03-14 13227
2125 진화는 일대일이다. image 김동렬 2014-10-23 13230
2124 달마어 체계 김동렬 2006-06-05 13231
2123 서프는 당당하게 나아간다 김동렬 2004-06-24 13233
2122 앨 고어의 길과 김근태의 길 김동렬 2002-10-22 13234
2121 라라랜드의 아부전략 image 3 김동렬 2017-03-13 13238
2120 노무현의 승부수 김동렬 2004-09-15 13239
2119 금주의 과제 - 부코스키 보고 image 3 김동렬 2012-12-02 13240
2118 불이 타는가 나무가 타는가? image 2 김동렬 2017-07-10 13241
2117 우정과 애정 사이 image 김동렬 2017-09-22 13242
2116 힘든 시기를 견뎌내자 김동렬 2005-05-27 13243
2115 보이지 않는 손을 보라 image 1 김동렬 2011-12-12 13244
2114 김근태 대통령은 없다 김동렬 2003-05-17 13252
2113 칸토어의 죽음 image 11 김동렬 2013-01-11 13255
2112 초보대통령께 드리는 당부 image 김동렬 2003-04-07 13256
2111 정동영은 행운아인가? 김동렬 2006-02-02 13256
2110 정동영 기차태워 주랴? 김동렬 2007-05-12 13261
2109 조선일보라는 고질라 사냥하기 김동렬 2004-06-04 13262
2108 김두관 전 장관님 보세요. 김동렬 2005-04-11 13262
2107 구조론을 쓰고 김동렬 2008-11-26 13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