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금재.
read 2282 vote 0 2020.04.10 (01:17:34)

보통은 실사체를 리얼리즘이라고 생각하는데, 

실사체는 전혀 리얼리즘이 아닙니다. 

꼭 보면 그림 못 그리는 애들이 실사체를 만화에 대입합니다.

우리는 똑같이 그린 그림이 좋은 그림이라고 생각하지만

정말 좋은 그림은 똑같이 그린게 아니라 에너지를 그린 동영상입니다.

좋은 그림은 귀납이 아니라 연역합니다.

2d로 4d를 표현해야 좋은 그림인 겁니다.

이현세나 김성모의 그림이 욕먹는 이유는

누군가를 떠올리며 베낀 그림이기 때문입니다. 

그림 안에서 질서를 찾지 못한 거죠. 


추상미술을 리얼리즘과 떼어놓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추상미술이야말로 리얼리즘의 정수입니다.


soul_17.jpg


고갱이 나름의 질서를 찾았다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추상미술에 대한 이해가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고갱이 고흐의 컬러를 흉내내려고 하는게 보입니까?

느꼈는데 그 정체를 몰라.


고흐는 컬러의 통일과 대칭, 그리고 흐름을 알고 그리는데, 

고갱은 컬러의 쌍을 볼 수 없으므로

개별적인 컬러를 따로따로 그려놓았습니다. 


특히 고갱은 고흐의 붉은색(책)이 인상깊어,

흉내내보려고 붉은형광색을 써보는데, 

초딩이 어른 화장 흉내낸 어색함이 보입니다.


고갱 자신도 어색함을 잘 알고 있으므로 

통일성을 주고자 색에 검은색 명암을 넣었는데,

엉뚱하게도 색이 기괴해지기만 합니다.


그는 명암의 바탕에 깔린 컬러의 대비 그 자체를 볼 수 없으므로 

결국 그림체로 고흐의 느낌을 살려보려고 발버둥 치고 있는데

점점 더 산으로 갑니다.


어떤 컬러는 컬러가 아닙니다.

대칭의 연속이 결과적으로 그 컬러를 의미합니다. 

고흐가 터치로 통일성을 주고, 

컬러의 대비 배치로 대상의 흐름을 표현한게 보입니까?


unnamed (2).jpg

미술학원에서 이렇게 그리라고 가르치는데, 이러면 안 됩니다.


0020020014062.jpg

이렇게 그려야 리얼리즘입니다.



20160527000059_0.jpg


images2222.jpg

초딩들은 오른쪽이 잘 그렸다고 생각하겠지만

왼쪽이 살아있는 그림입니다. 

오른쪽 그림이 좋은 사람은 눈이 썩었으므로 

그림 그리지 마세요.



2z5c0im99s2a796snuif.jpg

이 그림에서 이현세가 보이지 않습니까?


1692773da293dda07.jpg 

표정을 그릴 수 없습니다.



ntba_ho_b.jpg

연역하지 못하고 귀납한 그림입니다. 

작가의 시선이 사건에 있지 않고,

관객의 느낌에 머물러 있습니다. 

이러면 망하는 겁니다. 



unnamed (3).jpg 

좋아서 좋은 그림이 아니라


e0e8c2fa75d829370e2c54a504b765ed8a95ebfdcdddf514099ce8da923c4cdc8ea563d6073da1da5a049996956a720b6b9a876ae984620f93c7d77f322b53780aa937f3d900566f26e980ffdcd84d1b2272b14597714cb768eed9fd1a75d56fea582928c00cce41.jpg


업계에서 고유성이 성립해야 그림입니다.

즉 어떤 그림이 좋아야 좋은게 아니라

만화계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가져야 좋은 그림입니다.

대상만 보고 판단하는게 아니라 

그 바닥 전체를 보고 판단해야 한다는 거죠. 

왜냐하면 그것은 그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Drop here!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4.10 (03:22:15)

대상을 보이는 대로 그리는 능력은 4D로 가기 위한 기초 단계로 생각됩니다...

추상적인 그림으로 유명한 피카소, 달리 등의 초기 시절 습작 등을 보면 그들의 스케치 능력을 엿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3572 나는 이렇게 깨달았소, 9 아제 2015-01-16 2258
3571 '故이보미와 김장훈' 보기 - 거위의 꿈 아란도 2014-07-25 2261
3570 선언 River 2012-11-26 2263
3569 풀꽃이 되어 주어요 2 생글방글 2017-04-20 2263
3568 나뭇잎 사이로...그는 죽지 않는 나무가 되었다... image 1 kilian 2017-08-29 2263
3567 참과 거짓 배태현 2014-05-13 2264
3566 집단 다단계 2 눈내리는 마을 2012-05-17 2265
3565 28일(금) 광주 구조론 모임안내 image 탈춤 2013-06-26 2266
3564 현충일 도보여행 공지 3 ahmoo 2014-06-05 2266
3563 오늘 구조론 역삼 모임(신간파티) image 3 ahmoo 2014-03-20 2266
3562 뭔 사람들이랴... 3 wisemo 2014-12-25 2266
3561 여중생들의 화장 1 까뮈 2015-05-07 2266
3560 종일 image 4 생글방글 2017-04-30 2266
3559 위대한 기업? 기똥찬 2012-03-16 2267
3558 조직생활의 팁 2 까뮈 2014-05-30 2267
3557 지적 장애학생을 잘 도와준 학생에 대한 표창 추천서를 쓰다가... 1 이상우 2015-10-28 2267
3556 생각의 정석 인도-중국 특집 2탄 냥모 2016-04-28 2267
3555 모델 image 1 곱슬이 2012-06-06 2268
3554 중국판< 커피의 거의 모든 것> image 10 곱슬이 2014-03-09 2268
3553 어떻게 살 것인가? image 떡갈나무 2015-10-18 2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