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https://namu.wiki/w/앨런%20그린스펀



약력에 나오지만,


뉴욕대학교 비즈니스 스쿨 (경제학 / B.A.) (1944-1948년)
뉴욕대학교 (경제학 / M.A.) (1948-1950년)
뉴욕대학교 (경제학 / Ph.D.) (-1977년)


박사를 늦게 받아서, 이름 잘나가는 하버드 시카고 경제학박사들이 앨런을 무시했다고 한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1987년 8월 11일 – 2006년 1월 31일)

재임기간은, 정확히 냉전 붕괴 (89-91), 닷컴 버블 (95-2000) 와 911테러 (1995-2001), 부동산 버블 (2001-2008) 과 일치한다.


이번엔 역사 이야기보다는, 이사람 전기를 읽으면서, 몇가지 꼭지들을 정리한다.


* 러시아계 유태인, 그리고 아인 랜드

https://namu.wiki/w/아인%20랜드

유태인중에서 러시아계 유태인들은 메소포타미아 디아스포라 이후, 페르시아와 러시아로 들어간 축이다. 러시아 대 기근때, 미국으로 이민했고, 맨하턴에 많이 자리한다. 맨허턴에는 앨런 같은 러시안 유태인들이 많았는데, 흥미 있는 인물로 아먼드 해머가 있다. 나무위키에서는 아미해머, 즉 그의 손자가 나오네...

https://namu.wiki/w/아미%20해머

마르크스 엥겔스의 영국철학이 러시아의 레닌그라드 (새인트 페테르스부르크)에서 꽃피게 된 영향은, 러시안 유태인들의 지적 활동에 영향을 받았다. 아먼드 해머나 앨런 그리고 아인랜드는 그러한 러시안 유태인의 정서를 그대로 가지고 있다. 


* 야구, 확율론;

내 기억이 맞다면, 앨런은 브루클린 다저스 (엘에이 다저스의 전신), 와 뉴욕 자이언츠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전신)와의 게임을 라디오로 들으면서 투수와 타자들의 승률과 타율을 기록하는건 앨런이 어떤 식으로 경제를 다뤄왔는지를 보여준다.



* 마지막, 야구와 경제에 대한 영화 둘

https://namu.wiki/w/머니볼

https://namu.wiki/w/빅쇼트


경제가 재미일리는 없다. 머니볼 빅쇼트 이야기하면서 지적 유희를 즐길 만큼 말랑말랑한 세상이 아니다. 폭락이 오면, 누군가는 실직해야하고, 거기에 연관된 사람들은 막심한 피해를 보게된다. 


https://www.youtube.com/watch?v=kPFkojiuEy8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52 뉴튼과 라이프니츠 미적분 카르마 2012-04-03 5581
451 닭대가리의 문제 2 김동렬 2013-02-18 5588
450 좌뇌형 우뇌형 테스트 image 8 momo 2014-08-29 5589
449 돈을 많이 찍어내면 경제가 발전한다!! 49 닭치고 2015-01-11 5591
448 영화 <솔로이스트>와 타이거 우즈 image 5 스타더스트 2009-12-15 5595
447 디자인 잘 된 차 image 3 김동렬 2012-12-17 5599
446 영어단어 100개만 알면 image 2 솔숲길 2011-04-04 5607
445 인어는 꼬리를 옆으로 흔들까, 위아래로 흔들까 image 2 의명 2014-08-23 5622
444 회원가입 했습니다. 1 whisper 2007-05-11 5625
443 개똥 노란고양이 2017-02-10 5636
442 노인들이 한나라당을 지지하는 이유 3 김동렬 2010-10-05 5640
441 아브락사스. 5 아제 2011-02-06 5646
440 인문학강의 [Who am I] - 최진석 자신의 주인으로 산다는 것 (풀영상) 3 비랑가 2014-02-03 5659
439 단원고 2학년 학생들은 1997년 IMF 발생 년도에 태어나 2 정나 2014-04-30 5661
438 대인 서생원 image 2 김동렬 2009-03-18 5676
437 봉팔내 (디언가?)문제? 17 의명 2013-09-07 5683
436 징기스칸.. 4 김동렬 2011-01-09 5687
435 구글 어스와 국내 것의 결정적 차이. image 1 노매드 2009-09-25 5691
434 메일 하나 드렸습니다 2 쏘랙스 2006-05-02 5693
433 상상력과 창의력은 이웃사촌일까요? 3 기똥찬 2011-04-12 56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