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금재.
read 2869 vote 0 2020.03.01 (20:24:28)

1) https://www.youtube.com/watch?v=DusKTOkgeq4&t=686s 자동차미생(엔지니어 출신)

2) https://www.youtube.com/watch?v=0v4BuJTks48노보스튜브(엔터테이너 출신)


생긴 거만 보면 2번이 사기꾼처럼 생겼으므로 1번 말이 맞을 것 같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둘다 맞고 또 둘다 틀렸습니다. 길에서 어떤 둘이 서로 자기가 옳다고 싸우는 이유는 둘 다 나름은 맞기 때문입니다. 물론 결론적으로 1번이 좀 더 높은 관점에 이른게 사실입니다. 얼마 전에 다루었던 m16과 ak47에서도 보았듯이, 공대출신들은 원래 절대로 자기가 틀렸다고 생각하질 않습니다. 왜냐하면 자신이 데이터를 확인했기 때문입니다. 


1번은 좀 더 전문적인 학술 자료를 들고 나오고

2번은 좀 더 경험적인 자료를 들고 나오는 차이가 있습니다. 


그런데 1번의 결론이 재밌습니다. 대략 요약하자면 "2번 말은 맞아. 알루미늄으로 로워암을 만들면 현가하질량이 적어지므로 충격 자체의 절대적 량이 적어지고, 결과적으로 승차감이 좋게 느껴질 수도 있어. 하지만 내가 말하려는 것은, 자동차메이커가 알루미늄으로 로워암을 만드는 이유는 중량을 줄여서 연비를 좋게하려는 것이지, 알루미늄의 충격흡수량이 더 많기 때문이 아니란 거야."입니다. 1번은 2번의 주장이 맞다고 하면서도 더 높은 관점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2번은 절대로 1번의 말을 받아들이지 않습니다. 자기 말도 맞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혼란은 알루미늄 합금 장갑의 도입 과정으로도 설명이 가능한데, 동 중량 대비 언들 수 있는 구조체의 부피가 알루미늄이 스틸에 비해 더 크므로 알루미늄 합금 장갑이 더 우수할 것 같지만, 과도한 공간차지 때문에 과도기에만 알루미늄을 선호했고 요즘은 강재를 선호하는 편입니다. 다만 상황에 따라 달리 적용합니다. 

https://namu.wiki/w/%EC%95%8C%EB%A3%A8%EB%AF%B8%EB%8A%84%20%ED%95%A9%EA%B8%88%20%EC%9E%A5%EA%B0%91


자동차에 사용되는 로워암의 재료도 마찬가지입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포인트는 연비이므로 내구성과 공간성을 일정 희생하는 선택을 하고, 메이커 품질의 표준이 되는 모델은 연비보다는 가격대비 내구성, 공간성을 더 중시합니다. 즉 맥락에 따라서 로워암에 알루미늄을 사용할 지 스틸을 사용할 지를 결정, 즉 해석하는 거지, 알루미늄과 스틸 둘 중 하나가 더 좋다는 식의 말은 이상한 겁니다. 


참고로 말하자면 스틸의 비중이 더 크므로 충격흡수총량은 당연히 스틸이 더 많습니다. 그런데 충격을 더 많이 흡수한다고 하여 승객이 더 적은 충격을 받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의사결정총량이 줄어듭니다. 반대의 경우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데, 나이키 에어를 신으면 행군을 더 잘할 거 같지만, 실제로는 딱딱한 신발을 신어야 더 오랫동안 걸을 수 있습니다. 의사결정 과정이 더 단순하기 때문입니다.


둘 중 하나를 선택하려 하므로 틀립니다. 둘을 동시에 아우르는 새로운 관점과 언어를 획득할 때, 우리는 이해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3.02 (00:45:11)

이런 건 맞고 틀리는 성격의 문제는 아닌 것 같네요...

각 재질의 장단점들이 있을테고, 설계 관련자들이 그 장단점들을 비교해서 어느 요소들이 더 중요하고 덜 중요한지 판단 후 전략적(?)으로 선택을 하겠지요...

결국 추가되는 비용대비 차 성능(결국 차의 판매량) 향상이 최종 포인트가 되지 않을런지...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금재.

2020.03.02 (01:30:33)

그렇습니다. 다만 위에서 아래로의 판단을 해야 하는데, 대개 전문가들은 자기 정보만을 가지고 아래에서 위로 판단하려고 하므로 망하는 거죠. 논리의 하극상이 될 리가 없는데도.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4912 따돌림 당하던 애가 따돌림을 면한 증거는? 이상우 2019-10-14 1505
4911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오리 2019-10-10 1350
4910 타다의 무리수 1 챠우 2019-10-08 2067
4909 사모펀드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4 수원나그네 2019-10-07 1779
4908 구조론 방송국 재생 횟수 통계(최근 7일) image 5 오리 2019-10-06 1662
4907 반포대로의 한쪽 끝은 예술의 전당이고 다른쪽은 반포대교입니다. 챠우 2019-10-04 1872
4906 요즘 교사 이야기 4 이상우 2019-10-03 1809
4905 개천절 구조론 모임(6시로 앞 당깁니다) image 오리 2019-10-03 1391
4904 이춘재의 고딩시절 의혹 한 가지 3 락에이지 2019-10-03 3441
4903 더하기에 숨겨진 빼기 1 첫눈 2019-10-02 1464
4902 [공모] 영상제작 및 책자제작 (원전안전기술문제 아카데미) image 수원나그네 2019-10-02 1522
4901 걸스데이 유라 그림실력 2 말시인 2019-10-02 1934
4900 서초동 집회 참여합니다. 15 나나난나 2019-09-28 2352
4899 동렬님 질문 드립니다 1 우리보리깜디쪽 2019-09-26 1823
4898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오리 2019-09-26 1374
4897 '사학비리' 봐준 검찰부터 개혁을 image 수원나그네 2019-09-24 1497
4896 ΛCDM 모형 르네 2019-09-23 1629
4895 가을에 동해안 걷기를~ 수원나그네 2019-09-22 1332
4894 평균의 종말 4 스마일 2019-09-20 1782
4893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오리 2019-09-19 1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