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591 vote 2 2020.02.10 (14:18:35)

사건의 단위.


진정한 것은 에너지 우위다. 명분은 그 자체로는 아무의미가 없다. 명분이 공론을 일으키고 공론이 집단의 권력을 생성하고 집단의 권력이 집단적 맞대응을 낳는다. 이상주의(질) > 권력창출(입자) > 집단적맞대응(힘)의 사건의 전개과정에서 이상주의는 기능한다. 인간이 무엇을 생각하든 어떤 행동을 하든 딱걸리는 지점은 환경에 맞대응해서 이길 수 있는가? 라는 원초적 질문이다. 에너지우위에 도달하지 못한즉 허무다. 이상주의에 머물러 권력창출을 방해하는 정의당 행동은 적이다. 권력에 머물러 집단적 맞대응을 방해하는 행위역시 적이다. 진정한 것은 사건의 전개에서 환경을 이겨내는 것이다. 맞대응은 포기할 수 없고, 에너지우위는 포기할 수 없다. 


문제는 사건의 단위, 맞대응의 단위, 전략의 단위다. 나의 인생이라는 사건은 사회의 발전이라는 사건에 에너지를 의존한다. 개인은 집단에 꺽인다. 먼저 사회가 전개되고 후에 개개인의 인생이 전개된다. 여기서 성립하는 에너지의 방향성 문제 때문에 깨달음이니, 신이니, 큰 자아의 개념이 대두된다. 개인이 집단에 에너지를 의존하기 때문에 전략의 단위역시 집단적 사건을 기준으로 정해야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문명이라는, 민주화라는 큰 사건의 에너지흐름을 거스를 수 없다. 집단을 대표할때 집단의 에너지를 받을 수 있다. 사건의 중요도를 수리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딸려오는 사건이 많을 수록 중요한 사건이다. 민주화 뒤에 딸려오는 사건이 많다. 다른 사건을 매개하는 사건일수록 중요한 사건이다. 사건의 원사건을 추적하면 문명을 만나게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287
2098 [re] 전기로 물을 염색해보려고 해요... 1 김동렬 2006-05-17 9306
2097 류시화가 가짜인 이유 image 13 김동렬 2013-12-09 9252
2096 강하다는 것은 무엇일까? image 7 양을 쫓는 모험 2010-05-11 9232
2095 한 해가 저문다, 음악이나 듣자 image 11 ahmoo 2011-12-21 9230
2094 가족 혹은 우리의 결혼제도에 대한 의견... 1 강도 2006-01-17 9156
2093 거짓과 진실의 작동원리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4-21 9138
2092 괴목 테이블은 곤란 image 12 김동렬 2015-08-04 9127
2091 조선의 젖가슴 image 4 김동렬 2015-01-12 9121
2090 동렬님께... 3 kkh 2006-01-24 9094
2089 화투의 밸런스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9-27 9089
2088 욕망을 혁명하기 6 강도 2006-06-05 9063
2087 부(富)의 비교 -구조론적 관점- 5 오세 2010-09-10 9035
2086 올해 북극 빙하는 줄었나 늘었나? image 김동렬 2014-10-20 9013
2085 세종대왕은 골프를 쳤을까? image 10 김동렬 2011-12-06 8899
2084 사진 구조론 image 8 양을 쫓는 모험 2010-03-25 8883
2083 질문있습니다 ^^ 강도 2006-05-06 8879
2082 먼 미래에 백인이 멸종할수도 있지 않을까요?? image 5 가혹한너 2009-01-31 8862
2081 [re] 질문있습니다 ^^ 2 김동렬 2006-05-06 8828
2080 아해 오감도 이상 image 1 김동렬 2014-04-28 8805
2079 조직 원리 image 4 눈내리는 마을 2010-08-04 87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