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541 vote 2 2020.02.10 (14:18:35)

사건의 단위.


진정한 것은 에너지 우위다. 명분은 그 자체로는 아무의미가 없다. 명분이 공론을 일으키고 공론이 집단의 권력을 생성하고 집단의 권력이 집단적 맞대응을 낳는다. 이상주의(질) > 권력창출(입자) > 집단적맞대응(힘)의 사건의 전개과정에서 이상주의는 기능한다. 인간이 무엇을 생각하든 어떤 행동을 하든 딱걸리는 지점은 환경에 맞대응해서 이길 수 있는가? 라는 원초적 질문이다. 에너지우위에 도달하지 못한즉 허무다. 이상주의에 머물러 권력창출을 방해하는 정의당 행동은 적이다. 권력에 머물러 집단적 맞대응을 방해하는 행위역시 적이다. 진정한 것은 사건의 전개에서 환경을 이겨내는 것이다. 맞대응은 포기할 수 없고, 에너지우위는 포기할 수 없다. 


문제는 사건의 단위, 맞대응의 단위, 전략의 단위다. 나의 인생이라는 사건은 사회의 발전이라는 사건에 에너지를 의존한다. 개인은 집단에 꺽인다. 먼저 사회가 전개되고 후에 개개인의 인생이 전개된다. 여기서 성립하는 에너지의 방향성 문제 때문에 깨달음이니, 신이니, 큰 자아의 개념이 대두된다. 개인이 집단에 에너지를 의존하기 때문에 전략의 단위역시 집단적 사건을 기준으로 정해야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문명이라는, 민주화라는 큰 사건의 에너지흐름을 거스를 수 없다. 집단을 대표할때 집단의 에너지를 받을 수 있다. 사건의 중요도를 수리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딸려오는 사건이 많을 수록 중요한 사건이다. 민주화 뒤에 딸려오는 사건이 많다. 다른 사건을 매개하는 사건일수록 중요한 사건이다. 사건의 원사건을 추적하면 문명을 만나게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323
2133 태양열을 이용한 스털링 엔진 image 1 김동렬 2013-04-03 11226
2132 완벽보존’ 새끼 매머드 발견 image 1 김동렬 2012-04-05 11126
2131 한국 과학 교육의 교착 지점 3 눈내리는 마을 2009-02-06 11054
2130 고은이 시인일까? image 26 김동렬 2013-11-19 11019
2129 김진태의 눈 image 2 김동렬 2014-12-06 10917
2128 안녕하세요 강도혁입니다 1 강도 2005-10-30 10839
2127 사람이 되고 싶은 난초 image 4 김동렬 2011-11-18 10665
2126 엑소더스의 진실 image 14 김동렬 2014-12-29 10630
2125 유전적 성적 이끌림 4 김동렬 2013-10-01 10546
2124 고백을 받으면 싫어지는 이유 1 김동렬 2013-12-15 10541
2123 우리나라 연예인, 우리나라 기획사 2 양을 쫓는 모험 2009-03-30 10536
2122 왜 추상이어야 하는가? image 5 김동렬 2013-11-23 10410
2121 적정기술의 허상 image 2 김동렬 2014-06-30 10392
2120 석굴암의 실패 image 5 김동렬 2013-01-20 10375
2119 경쟁에 반대한다 1편: 경쟁은 무의식이다 image 6 오세 2011-03-23 10296
2118 동양의 음양사상과 서양의 논리학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0-06-29 10236
2117 김동렬님..이 사이트의 글 좀 읽어주십시요. 1 날다 2005-12-19 10153
2116 성범죄의 원인 image 17 김동렬 2013-12-26 10144
2115 타원궤도의 이유 15 챠우 2016-01-01 9975
2114 직장생활의 지랄성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10-07-02 9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