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531 vote 2 2020.02.10 (14:18:35)

사건의 단위.


진정한 것은 에너지 우위다. 명분은 그 자체로는 아무의미가 없다. 명분이 공론을 일으키고 공론이 집단의 권력을 생성하고 집단의 권력이 집단적 맞대응을 낳는다. 이상주의(질) > 권력창출(입자) > 집단적맞대응(힘)의 사건의 전개과정에서 이상주의는 기능한다. 인간이 무엇을 생각하든 어떤 행동을 하든 딱걸리는 지점은 환경에 맞대응해서 이길 수 있는가? 라는 원초적 질문이다. 에너지우위에 도달하지 못한즉 허무다. 이상주의에 머물러 권력창출을 방해하는 정의당 행동은 적이다. 권력에 머물러 집단적 맞대응을 방해하는 행위역시 적이다. 진정한 것은 사건의 전개에서 환경을 이겨내는 것이다. 맞대응은 포기할 수 없고, 에너지우위는 포기할 수 없다. 


문제는 사건의 단위, 맞대응의 단위, 전략의 단위다. 나의 인생이라는 사건은 사회의 발전이라는 사건에 에너지를 의존한다. 개인은 집단에 꺽인다. 먼저 사회가 전개되고 후에 개개인의 인생이 전개된다. 여기서 성립하는 에너지의 방향성 문제 때문에 깨달음이니, 신이니, 큰 자아의 개념이 대두된다. 개인이 집단에 에너지를 의존하기 때문에 전략의 단위역시 집단적 사건을 기준으로 정해야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문명이라는, 민주화라는 큰 사건의 에너지흐름을 거스를 수 없다. 집단을 대표할때 집단의 에너지를 받을 수 있다. 사건의 중요도를 수리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딸려오는 사건이 많을 수록 중요한 사건이다. 민주화 뒤에 딸려오는 사건이 많다. 다른 사건을 매개하는 사건일수록 중요한 사건이다. 사건의 원사건을 추적하면 문명을 만나게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125
253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5-10 6434
252 질문 - 부조리란 무엇인가? image 11 김동렬 2013-01-28 6437
251 한옥 짓는 순서 2 김동렬 2012-05-07 6438
250 하도와 낙서 image 3 김동렬 2015-07-14 6446
249 ChatGPT의 훈련 방법 image chow 2023-03-24 6451
248 지하철 시 감상 image 9 sus4 2014-02-19 6455
247 대학에 적응 못하는 아들문제 image 11 김동렬 2014-05-06 6455
246 유대인이 창의적인 이유 1 김동렬 2013-11-01 6472
245 生의 모델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0-08-02 6481
244 仁流 image 덴마크달마 2023-05-10 6484
243 이것이 거북선이다. image 김동렬 2015-10-19 6509
242 구조론 심리학3. 남자들이여, 치마를 입어라! -오세 image 관리자* 2012-10-21 6510
241 사토시 나카모토 추정 인물 image 2 오리 2023-05-09 6511
240 비분강개: 법륜의 노망에 답한다 15 오세 2013-02-09 6518
239 기독교란 대체 무엇인가? 3 오세 2009-11-07 6525
238 맘에 드는 작품을 찾아보세요. image 10 김동렬 2013-10-27 6525
237 외계인은 없다. 9 김동렬 2015-07-21 6539
236 [업뎃] 영단어, 아기처럼 생각하라! image 8 조영민 2010-05-03 6544
235 선은 굵을수록 좋다 image 2 김동렬 2013-11-25 6546
234 구조론연구소 홍보동영상 12 기준님하 2010-03-22 6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