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535 vote 2 2020.02.10 (14:18:35)

사건의 단위.


진정한 것은 에너지 우위다. 명분은 그 자체로는 아무의미가 없다. 명분이 공론을 일으키고 공론이 집단의 권력을 생성하고 집단의 권력이 집단적 맞대응을 낳는다. 이상주의(질) > 권력창출(입자) > 집단적맞대응(힘)의 사건의 전개과정에서 이상주의는 기능한다. 인간이 무엇을 생각하든 어떤 행동을 하든 딱걸리는 지점은 환경에 맞대응해서 이길 수 있는가? 라는 원초적 질문이다. 에너지우위에 도달하지 못한즉 허무다. 이상주의에 머물러 권력창출을 방해하는 정의당 행동은 적이다. 권력에 머물러 집단적 맞대응을 방해하는 행위역시 적이다. 진정한 것은 사건의 전개에서 환경을 이겨내는 것이다. 맞대응은 포기할 수 없고, 에너지우위는 포기할 수 없다. 


문제는 사건의 단위, 맞대응의 단위, 전략의 단위다. 나의 인생이라는 사건은 사회의 발전이라는 사건에 에너지를 의존한다. 개인은 집단에 꺽인다. 먼저 사회가 전개되고 후에 개개인의 인생이 전개된다. 여기서 성립하는 에너지의 방향성 문제 때문에 깨달음이니, 신이니, 큰 자아의 개념이 대두된다. 개인이 집단에 에너지를 의존하기 때문에 전략의 단위역시 집단적 사건을 기준으로 정해야 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문명이라는, 민주화라는 큰 사건의 에너지흐름을 거스를 수 없다. 집단을 대표할때 집단의 에너지를 받을 수 있다. 사건의 중요도를 수리적으로 증명할 수 있다. 딸려오는 사건이 많을 수록 중요한 사건이다. 민주화 뒤에 딸려오는 사건이 많다. 다른 사건을 매개하는 사건일수록 중요한 사건이다. 사건의 원사건을 추적하면 문명을 만나게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165
1673 시대가 깨달음. 2 아제 2012-12-13 3171
1672 쉬운 구조론 문제 image 37 김동렬 2012-12-14 4510
1671 헝가리와 한국 7 김동렬 2012-12-16 7090
1670 망하는 길은 버리는 것이 맞다 2 이성광 2012-12-21 4241
1669 작금의 단상 6 눈내리는 마을 2012-12-21 4222
1668 난리다. 동요 말고, 구조하라 이성광 2012-12-23 3490
1667 구조론 문제 33 김동렬 2012-12-23 4813
1666 구조론 문제 김진태 화백의 경우 image 31 김동렬 2012-12-24 5823
1665 솔로들은 못맞추는 문제 image 19 오세 2012-12-24 6677
1664 쉬운 구조론 문제 image 16 김동렬 2012-12-24 4156
1663 구조론 문제.. 모하비의 그릴 image 44 김동렬 2012-12-25 8413
1662 나름 꼽아본 그릴이 무난한 차 image 1 오세 2012-12-25 3723
1661 여성이 좋아할 만한 차 디자인 image 13 오세 2012-12-25 7970
1660 바다는 육지다 1 이성광 2012-12-26 4252
1659 악어새의 환상 image 10 김동렬 2012-12-26 14113
1658 양영순도 세계진출? image 3 김동렬 2012-12-26 6308
1657 진보는 출세한다 2 담 |/_ 2012-12-27 4020
1656 이성광 2012-12-31 3211
1655 알고 가기, 미국은 후지다. 그네들은 무능하다 image 1 이성광 2013-01-01 4478
1654 문제 왜 인도인은 이기적인가? 26 김동렬 2013-01-08 5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