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983 vote 0 2020.02.07 (11:04:15)

 
    왜 미래는 결정될 수 없는가?


    동원의 문제를 생각해야 한다. 100의 집단에서 의견이 50 대 50으로 갈리면 구성원 100명 모두에게 소식이 전달된다. 팽팽해지는 것이다. 그러나 90 대 10으로 의견이 갈리면 소식이 전파되지 않는다. 느슨해지는 것이다. 보나마나 다수파의 의견이 채택되므로 무관심해진다.


    이때 90에 속하는 지도자는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 상대의 반발이 없으므로 어떻게 해야할지 알 수 없다. 누가 자신의 앞을 막아설 때까지 사고를 친다. 독재자가 걸리는 병이다. 국민이 앞을 막아설 때까지 국민을 괴롭히게 된다. 모임을 조직한다고 치자. 회원이 백 명이다.


    인원이 너무 많으면 회의가 진행이 안 되므로 10명을 선발하여 위원회를 만든다. 그런데 10명이 회의에 참여할까? 바쁜 사람이 빠지고 대신 위임장을 쓴다.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의 위원이 위임장을 쓰고 실제로는 서너 명만 회의에 출석한다. 결국 한 명이 결정을 독점한다.


    그리고 망한다. 대주주가 51프로의 지분을 가지고 있으면 주주총회는 무의미해진다. 회의 참여자가 소수일 때는 만장일치로 가야 약간의 긴장이 유지된다. 이때 소수파는 뭔가 반대급부를 받아낼 요량으로 괜히 반대한다. 이런 일은 자연에서도 일어난다. 동원의 딜레마다.


    합의가 안 될 때는 일단 딜레이를 시키고 외부자원을 끌어와서 숫자를 만들어야 한다. 때로는 주고받기식 거래를 해야 한다. 전략적 상황이다. 전략공간은 불확정성을 전제한다. 전략은 미리 확정하면 안 된다. 게임은 나와 타자 사이에서 일어나는데 내가 결정되어 있지 않다. 


    의외로 적의 숫자가 많으면 일단 딜레이 시켜놓고 외부에서 나의 세력을 더 끌어와야 한다. 여기서 승리, 유보, 패배라는 세 가지 선택지로 갈린다.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에 의해 계는 갈수록 무질서해지므로 에너지는 방향이 있을 뿐 어떤 경우에도 사전에 확정할 수는 없다. 


    에너지는 연결되어 있으며 무질서도는 연결의 단절을 의미한다. 방향이 뚜렷해질수록 연결이 끊겨 불확정성은 증가한다. 즉 결정될수록 비결정적으로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미래가 결정된다는 말은 미래가 결정될 수 없다는 말과 정확히 같다. 무조건 이겨야 하는 상황이다.


    이기는 숫자가 51이라면 어떻게든 교란하여 그 숫자를 만들어야 한다. 즉 깽판을 쳐야 하는 것이다. 알 수 없게 만들어야 한다. 그러므로 위가 결정될수록 아래는 혼잡해진다. 위치가 결정될수록 운동량은 알 수 없게 된다. 무조건 통과시키라는 지시가 떨어지면 그렇게 만든다.


    예컨대 사람이 죽는다고 치자. 죽는다는 사실은 결정되어 있다. 그런데 왜 죽지? 결정될 수 없음의 증가에 의해 죽는 것이다. 에너지의 단절로 죽는다. 즉 결정될 수 없음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 엔트로피의 법칙이다. 그러므로 결정과 비결정은 공존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결정의 증가는 동시에 비결정의 증가를 수반하는 것이다. 결정된다는 것은 에너지를 사용한다는 것이며 에너지의 사용은 계 안에서 연결을 단절시킨다는 것이다. 즉 통제할 수 없게 만든다는 것이다. 즉 결정되지 않는다는 말이다. 결정되지 않음을 증가시켜 결정을 얻는다.


    결정과 비결정이 언제나 공존한다면 사건 전체는 비결정으로 봐야 한다. 반은 맞고 반은 틀렸다면 그것은 틀린 것이다. 결정과 비결정 사이에 대칭성과 상보성이 성립하는 것이며 이는 엔트로피의 법칙에 의해 확인된다. 이쯤 되면 결정론적 사유가 틀렸다고 인정해야만 한다.


    존재는 나란한 둘의 상호작용으로 성립한다. 둘이므로 게임이다. 게임의 전략은 이것을 얻고 저것을 버리는 것이다. 이것을 결정하고 저것을 결정하지 않는다. 결정과 비결정 사이에 대칭성과 상보성이 성립하므로 인간에게 무엇을 결정할 것인지 선택하는 자유의지가 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르네

2020.02.07 (12:22:36)

비결정과 결정의 불확정성!!
하지만 우주의 종말은 확정.

모멘텀은 비결정, 결정은 로케이션으로 볼수도 있겠네요

///

닫힌 공간내에 어떤 것들이 각자의 로케이션을 가진다고 가정했을 때

어떤 하나의 좌표를 회전시키면서도 전체의 대칭을 깨지 않는 방법은?

거미줄처럼 미리 실로 서로를 연결시켜 놓아서 하나가 변화면 전체가 그 변화를 알아채게 하는 거

장(필드)은 국소적 대칭을 보장!

여기서 전기장도 중력장도 필연적으로 튀어나옴!!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2.07 (14:44:16)

"에너지는 연결되어 있으며 무질서도는 연결의 단절을 의미한다. 방향이 뚜렷해질수록 연결이 끊겨 불확정성은 증가한다. 즉 결정될수록 비결정적으로 되는 것이다."

- http://gujoron.com/xe/1165631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72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4397
6630 믿음의 의미 김동렬 2023-11-05 1914
6629 하나가 더 있다 김동렬 2023-07-31 1921
6628 연결문제 김동렬 2023-02-12 1923
6627 영웅 죽이기 스티브 잡스편 김동렬 2023-12-17 1924
6626 훈요십조의 진실 image 김동렬 2023-12-13 1925
6625 부정과 긍정 김동렬 2023-12-19 1927
6624 외계인이 없는 이유 김동렬 2024-02-12 1927
6623 유인촌 막 나가네 김동렬 2023-12-03 1929
6622 권력과 의미 김동렬 2023-12-18 1930
6621 직관력 김동렬 2024-02-06 1930
6620 길 힘 법 김동렬 2023-09-10 1931
6619 구조론의 첫 단추 김동렬 2023-12-23 1932
6618 에너지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3-08-27 1933
6617 긍정적 사고의 힘 1 김동렬 2023-12-21 1936
6616 직관의 힘 김동렬 2023-12-06 1937
6615 차별과 증오의 야만인 정치 김동렬 2023-07-23 1950
6614 생각의 도구 1 김동렬 2023-01-18 1951
6613 도구주의 관점 김동렬 2022-06-22 1953
6612 김건희의 뇌물공화국 김동렬 2024-02-22 1956
6611 헤어질 결심 - 한국 지식인의 저급함 김동렬 2024-05-01 1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