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read 1580 vote 0 2020.02.03 (08:56:08)

http://dongascience.donga.com/news/view/33988


*시간차 학습

도파민이 보상을 받는 것보다 보상과 기대의 차이에 따라 반응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예상보다 큰 보상을 받으면 도파민이 활발히 생성돼 뇌 전체에 퍼지고, 적은 보상에는 도파민이 줄어드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뇌 또한 짧은 시간의 보상을 토대로 끊임없이 학습해가며 배운다는 ‘보상예측오류’ 이론을 발견했다.

---> 가난 그 자체보다 불평등에 더 민감한...


*분포강화 학습

다양한 집합이 모여서 결론을 내리면 외부의 환경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학습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이런 상황을 고려해 제각기 다른 예상을 하는 알고리즘이 보상을 토대로 학습하게 하고 이후 이를 평균해 AI의 학습 방향을 정한다.

---> 효율지상주의 시스템보다  다양성에 기반한 시스템이 위기에 더...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금재.

2020.02.03 (21:07:19)

인공지능 관련한 요즘 트렌드는 관찰을 바탕으로 뇌를 이해하고, 그리고 그 이해를 바탕으로 기술을 만드는게 아니라, "에라 모르겠다. 일단 실행해보자"입니다. "소위 닥치고 코딩"이죠. 왜냐하면 그들은 인간의 모든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과거에 뇌를 절편으로 쪼개고 정밀 관찰해서 만든 알고리즘은 모두 실패했습니다.


인공신경망이라는 것도 사실은 인간신경망과는 별로 상관이 없고, 형태적으로 조금 유사한 것일뿐입니다. 링크의 글은 이러한 과학계의 흐름에서 딥러닝 연구자들과 대치하는, 소위 뇌과학자 그룹에서 연구하는 방식을 써둔 것인데, 대상을 관찰하는 방법은 본질적으로 귀납이며, 귀납은 그 자체로 이미 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그 결과도 일정하게 한계가 있습니다. 


이런 한계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귀납을 뒤집어 이를 다시 연역적으로 이해하려고 들면 좋겠지만, 모든 뇌과학자가 그런 것은 아니고, 라마찬드란 박사와 같은 일부 비주류 과학자들이 이렇게 하고 있는 형편입니다. 결국 관찰로 모든 것을 이해하겠다고 덤비는 것은 어리석은 것이라는 거죠. 


닥치고 코딩하여 나온 딥러닝이 작동은 하지만 궁극적인 해답은 아니며, 그렇다고 관찰해서 이해하겠다고 덤비는 뇌과학도 답은 아니고, 관찰하면서도 작동할 수 있는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을 수 있는 구조론적 해석만이 정답입니다. 물론 실제로는 에디슨식으로 이것저것 다 해볼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게 해답이지만.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4972 이곳으로 발길을 詩香 2007-08-28 4665
4971 좋은글 계속 부탁드립니다. 원주민 2007-08-28 4253
4970 부탁드립니다. 3 수정부 2007-08-29 4515
4969 오랜 시간 동렬님 글을 읽어온 눈팅입니다. insomnia 2007-08-29 4652
4968 이런곳도 있었군요^^ 初雪 2007-08-29 4506
4967 답 안하실 겁니까?^^ 마케도니아 2007-08-29 4611
4966 이제 매일 들어오게 되네요 밀레니엄 2007-08-29 4418
4965 뉴욕에서 회원가입과 함께 sunny 2007-08-30 4989
4964 책 잘 도착 했습니다...그리고 감사 유좌지기 2007-08-30 4437
4963 뉴욕에서 천불 송금 1 sunny 2007-08-31 5012
4962 소송비용에 물 한컵 보탭니다 1 꼬치가리 2007-09-03 4640
4961 이거 어뜨케 알았소? image 1 개밥반그릇 2007-09-04 4658
4960 저자 보고 책을 예약하는 거지요 1 happi 2007-09-04 4198
4959 동렬님 책 만드는데 제안 3 유좌지기 2007-09-04 4173
4958 입금했습니다. 1 원주민 2007-09-04 3672
4957 뉴욕에 책 도착 1 sunny 2007-09-05 3995
4956 9월 4일 화요일 예약주문 하신 분께 김동렬 2007-09-05 4674
4955 컷오프 통과 예상자 6 수정부 2007-09-05 4695
4954 문국현은 어떻게 봐야 합니까? 2 키아누 2007-09-05 4915
4953 서프에 오른 글을 다시 읽고 3 sunny 2007-09-06 5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