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533 vote 0 2020.01.13 (07:50:16)

배가고프면 밥을 먹듯이, 이념도 꼬박꼬박 먹어줘야 한다. 왜인가? 인간은 집단속에서 벗어날수 없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 집단의 수준의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배가고픈 인간은 불량식품을 먹기 마련이고, 사회가 고픈 인간은 집단에 휘둘리기 마련이다. 기어이 배탈이 나고, 기어이 엮여버린다. 역사의 모든 변화는 리더와 이념을 공유하는 집단적 호응에 의해 탄생한다. 나아가 집단을 운전하려면 이념의 공급자가 되야한다. 역사란, 문명이란, 사회란 그렇게 이념을 공유하는 집단에 의해 연출된 사건이다. 독립이 그렇고, 민주주의 또한 그렇다. 드높은 이상을 가진 수준높은 집단에 속해야 한다. 

 인생은 결국 자기 관성을 쓰거나, 상대방의 힘을 역이용하거나, 집단의 관성을 쓰거나이다. 자기 관성을 쓰는 즉 약해진다. 만만한것을 찾게된다. 상대방의 힘을 역이용하려면 상대방을 잘 만나야 한다. 좋은 라이벌을 두어야 한다. 집단의 관성만이 환경을 이길 수 있다. 역사가 있고, 계통이 있고, 후배가 있다. 문명이야 말로 집단의 관성에 의해 연출된 사건이다. 방향성이 있고 가속도가 걸려있다. 인간이 사회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은 역할뿐이고 그 역할은 문명이라는 사건의 에너지가 흐르는 통로일 뿐이다. 그게 인생이라는 놈의 전모. 부모는 자식을 연출하고 사회는 인간의 삶을 연출한다. 인간은 문명을 배달받고 문명을 배달한다. 대승의 의미는 사회의 진보라는 사건의 에너지 흐름속에 있다면 완전한 것을 의미한다. 오로지 역사를 공부한 사람만이 삶의 의미를 알수있다. 치명적이다. 왜 바이블은 역사서일까? 집단의 관성속에 가두어질때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역사도 사건이고 문명도 사건이다. 그렇다면 사건의 관점이 문제가 된다. 문명이 타자인가? 그렇다면 손님노릇이 자연스럽다. 타자가 아니라면 내가 책임지고 이끌어야 한다. 역사에게 부여받은 내 미션이 있고 또한 후배에게 전달해야 한다. 얻는 것은 자연스러움이다. 초대한사람을 찾아헤메는 것이 어색하다. 주인눈치 보며사는 것이 어색한 것.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1.14 (05:35:34)

"대승의 의미는 사회의 진보라는 사건의 에너지 흐름속에 있다면 완전한 것을 의미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197
635 [미디어오늘] 한강하구, 국제기구도시를 상상한다 2 수원나그네 2018-11-24 1585
634 [미디어오늘] KS 오리엔트 특급으로 아시아를 누비자 수원나그네 2018-11-29 1564
633 후쿠시마 원전오염수 국제소송 준비토론회 image 수원나그네 2018-12-03 1464
632 눈을 돌리면 다른세상이 보인다. 4 systema 2018-12-05 1695
631 생명로드 31 - 한반도는 이미 탈원전시대 수원나그네 2018-12-06 1466
630 마술을 꿰뚫어보자. image 2 김동렬 2018-12-07 2574
629 생명로드 32 - 다시 길을 떠나다 image 6 수원나그네 2018-12-15 1654
628 생명로드 33 - 지구생명헌장2018서울안(국문 영문) image 수원나그네 2018-12-15 1745
627 생명로드 34 - 후반기 일정 및 코스 image 수원나그네 2018-12-16 1500
626 AI 에 정통하거나 관심이 깊은 구조론 동지님께 수원나그네 2018-12-25 1589
625 일상의 구조론(1) - 일반인들에게 쓰는 글 2 이상우 2018-12-26 1872
624 생명로드 35 - 인도 순례 소식 image 수원나그네 2019-01-03 1690
623 일 잘하는 관료의 특징 1 수원나그네 2019-01-04 2150
622 같음이 먼저고 다름이 나중이다. 1 아제 2019-01-08 1991
621 답이 있다. 아제 2019-01-10 1957
620 [제민] 중심을 노려보는 아웃사이더의 눈빛을 가져라 3 ahmoo 2019-01-16 2850
619 전체와 부분 사이 systema 2019-02-03 2295
618 생명로드 36 - 또다른 UN이 필요하다 image 수원나그네 2019-02-17 1621
617 생명로드 37 - 달라이라마를 뵙다 image 2 수원나그네 2019-03-07 1858
616 수학의 기원 -1 눈마 2019-04-04 1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