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472 vote 0 2020.01.13 (07:50:16)

배가고프면 밥을 먹듯이, 이념도 꼬박꼬박 먹어줘야 한다. 왜인가? 인간은 집단속에서 벗어날수 없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 집단의 수준의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배가고픈 인간은 불량식품을 먹기 마련이고, 사회가 고픈 인간은 집단에 휘둘리기 마련이다. 기어이 배탈이 나고, 기어이 엮여버린다. 역사의 모든 변화는 리더와 이념을 공유하는 집단적 호응에 의해 탄생한다. 나아가 집단을 운전하려면 이념의 공급자가 되야한다. 역사란, 문명이란, 사회란 그렇게 이념을 공유하는 집단에 의해 연출된 사건이다. 독립이 그렇고, 민주주의 또한 그렇다. 드높은 이상을 가진 수준높은 집단에 속해야 한다. 

 인생은 결국 자기 관성을 쓰거나, 상대방의 힘을 역이용하거나, 집단의 관성을 쓰거나이다. 자기 관성을 쓰는 즉 약해진다. 만만한것을 찾게된다. 상대방의 힘을 역이용하려면 상대방을 잘 만나야 한다. 좋은 라이벌을 두어야 한다. 집단의 관성만이 환경을 이길 수 있다. 역사가 있고, 계통이 있고, 후배가 있다. 문명이야 말로 집단의 관성에 의해 연출된 사건이다. 방향성이 있고 가속도가 걸려있다. 인간이 사회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은 역할뿐이고 그 역할은 문명이라는 사건의 에너지가 흐르는 통로일 뿐이다. 그게 인생이라는 놈의 전모. 부모는 자식을 연출하고 사회는 인간의 삶을 연출한다. 인간은 문명을 배달받고 문명을 배달한다. 대승의 의미는 사회의 진보라는 사건의 에너지 흐름속에 있다면 완전한 것을 의미한다. 오로지 역사를 공부한 사람만이 삶의 의미를 알수있다. 치명적이다. 왜 바이블은 역사서일까? 집단의 관성속에 가두어질때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역사도 사건이고 문명도 사건이다. 그렇다면 사건의 관점이 문제가 된다. 문명이 타자인가? 그렇다면 손님노릇이 자연스럽다. 타자가 아니라면 내가 책임지고 이끌어야 한다. 역사에게 부여받은 내 미션이 있고 또한 후배에게 전달해야 한다. 얻는 것은 자연스러움이다. 초대한사람을 찾아헤메는 것이 어색하다. 주인눈치 보며사는 것이 어색한 것.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1.14 (05:35:34)

"대승의 의미는 사회의 진보라는 사건의 에너지 흐름속에 있다면 완전한 것을 의미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085
2168 안녕하세요 강도혁입니다 1 강도 2005-10-30 10800
2167 김동렬님께 강도 2005-11-29 11697
2166 김동렬님..이 사이트의 글 좀 읽어주십시요. 1 날다 2005-12-19 10103
2165 가족 혹은 우리의 결혼제도에 대한 의견... 1 강도 2006-01-17 8992
2164 동렬님께... 3 kkh 2006-01-24 8937
2163 '차길진' 이라는 재미있는 사람이 있더라구요 1 송파노을 2006-02-22 12685
2162 동렬님 1 송파노을 2006-02-22 8191
2161 대중의 한계와 인터넷 2 송파노을 2006-02-27 7470
2160 즐거움이 없는 베품이랄까? 3 프로메테우스 2006-02-27 7738
2159 문명과 대중 그리고 지식 송파노을 2006-03-01 9279
2158 [re] 문명과 대중 그리고 지식 1 김동렬 2006-03-01 8562
2157 문명과 지식 1 김동렬 2006-03-02 8199
2156 고수와 하수 김동렬 2006-03-02 9912
2155 굿을 어떻게 이해할수 있을까요? 1 프로메테우스 2006-03-19 9261
2154 질문있습니다 ^^ 강도 2006-05-06 8765
2153 [re] 질문있습니다 ^^ 2 김동렬 2006-05-06 8664
2152 전기로 물을 염색해보려고 해요... 강도 2006-05-17 9260
2151 [re] 전기로 물을 염색해보려고 해요... 1 김동렬 2006-05-17 9202
2150 욕망을 혁명하기 6 강도 2006-06-05 8935
2149 구조론 부적응 1 아티스 2007-11-18 5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