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원래는 특정 분야를 구조론적인 시각에서 풀어내려고 했다. 하지만 이에 앞서 본인이 구조론 자체를 제대로 받아들여야만 여기에 도달할 수 있음이 당연하다. 그러므로 한 명의 연구소회원으로서 구조론을 얼마만큼 담아낼 수 있는지 시도해본다.


우리는 우선 사건이 촉발되는 조건을 추론해야 한다. 이 문제에 이미 답이 담겨 있다. 우주에는,사건에는 분명 출발점이 있을 터인데 뭐라 형용할 수가 없다. 딱 잘라 말할 수 있다는 건 1로서 가리켜지고 맞대응할 수 있다는 것인데, 그러지 못하니 '불균일'이다.


이러한 '형용할 수 없음'을 빡세게 사유해서 '해소'시켜야 한다. 시간이 저절로 해결해주지 못한다. 아니 그보다는 시간도 사실은 불균일을 해소시키는 과정에서 도입해야 하는 개념이다. 전체가 뭔가 형용하기 어려울 정도로 불균일하다면, 적어도 일부는 잡아다가 앉혀놓을 수 있지 않을까?


아니, 어떻게든 '형용할 수 있는 껀덕지'를 분류해야지만 이야기를 시작할 수 있지 않을까? '닫힌계를 지정해야하는 = 최초의 조건이자 = 전체 = 불균일' 에서 닫힌계(질)가 내부라면 '지정해야하는'이 외력이다.


'전체 = 내부(균일)도출 + 해야하는' 을 가지고서 통째로 '질+대칭'이라고 하는 것이며 대칭에는 질이 성립되게끔 '가둬야만 하는' 이라는 방향성(외력)이 걸려있다. 이 단계를 비유하자면, 손이 닿는게 느껴질 때까지 휘저어보는 수준인 거다.


고로 방향성(휘저어=가둬야 하는)을 내포하는 대칭은 있으되 축은 아직이다. 잡아가두려고 하다보니 기어코 잡아서 만지는데에 성공하게 된다. 만져졌다는 건 하나로서 맞대응했다는 것이니 '축을 세운 하나'이다. 축의 도출은 입자대칭이라 표현된다.


만지는 것 까진 좋았는데 만지려고 오므리던 내 손의 악력이, 축에 영향을 끼치니 힘대칭이다.
그에 따라 내 악력이 덩어리(손+대상=입자대칭)의 축을 이동시키니 운동대칭이다. 운동시킨 결과 문득 내 손을 떠나버렸으니 량대칭이다. 다만 금세 빈손이 되었다고 해서 헛수고는 아니다.


진행경로를 짚자니 매번 '상부구조'에서 ㅡ> '하부구조와 상대적인 외력' 으로 향하는 패턴을 얻을 수 있다. 우리의 손맛은 '한순간'이었을 지라도 그 과정은 '한싸이클'로 완전함을 알 수 있다. 누군가가 말했다, '형용할 수 없음'을 형용해내는 데에 가치가 있다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171
553 게임 속 민주주의 바츠해방전쟁 1 SimplyRed 2021-02-14 2287
552 목요모임 image 1 김동렬 2021-11-10 2284
551 내쉬와 노이만 2 이금재. 2021-01-07 2274
550 영문번역 해주실 분을 찾습니다. 3 수원나그네 2019-06-03 2273
549 진화의 비밀 image 김동렬 2018-07-25 2266
548 변이의 그나마 적절한 설명 1 chow 2023-02-01 2255
547 주최자의 관점 image SimplyRed 2023-02-10 2251
546 김기식 낙마 유감 수원나그네 2018-04-18 2246
545 한국이 브라질을 작살내는 법 chow 2022-12-04 2233
544 역학과 미학에서 소통지능으로 2 systema 2017-09-14 2232
543 말 안 듣는 시바견 길들이기 이금재. 2020-10-14 2230
542 구조론 번역 게시판 올린 번역물에 대한 의견을 기다립니다. 3 오리 2022-01-28 2225
541 2021-12-30 목요일 구조론 송년 온라인 모임 2 오리 2021-12-29 2215
540 진화생물학의 오류 1 김동렬 2018-07-30 2212
539 이 분 구조론과 상당히 유사한 주장을 하는 것 같네요 1 다음 2020-11-23 2210
538 초등학교 6학년 여학생들 사이의 다툼 2 이상우 2020-11-18 2208
537 구조적인 교육 image 2 김동렬 2019-11-02 2208
536 중국을 통제할 수 있는 유일한 나라 1 ahmoo 2020-11-11 2202
535 '과학하고 앉아있네'와 라그랑주 역학 3 이금재. 2020-06-29 2200
534 윤석열이 대통령이 된 것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이상우 2022-03-21 2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