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원래는 특정 분야를 구조론적인 시각에서 풀어내려고 했다. 하지만 이에 앞서 본인이 구조론 자체를 제대로 받아들여야만 여기에 도달할 수 있음이 당연하다. 그러므로 한 명의 연구소회원으로서 구조론을 얼마만큼 담아낼 수 있는지 시도해본다.


우리는 우선 사건이 촉발되는 조건을 추론해야 한다. 이 문제에 이미 답이 담겨 있다. 우주에는,사건에는 분명 출발점이 있을 터인데 뭐라 형용할 수가 없다. 딱 잘라 말할 수 있다는 건 1로서 가리켜지고 맞대응할 수 있다는 것인데, 그러지 못하니 '불균일'이다.


이러한 '형용할 수 없음'을 빡세게 사유해서 '해소'시켜야 한다. 시간이 저절로 해결해주지 못한다. 아니 그보다는 시간도 사실은 불균일을 해소시키는 과정에서 도입해야 하는 개념이다. 전체가 뭔가 형용하기 어려울 정도로 불균일하다면, 적어도 일부는 잡아다가 앉혀놓을 수 있지 않을까?


아니, 어떻게든 '형용할 수 있는 껀덕지'를 분류해야지만 이야기를 시작할 수 있지 않을까? '닫힌계를 지정해야하는 = 최초의 조건이자 = 전체 = 불균일' 에서 닫힌계(질)가 내부라면 '지정해야하는'이 외력이다.


'전체 = 내부(균일)도출 + 해야하는' 을 가지고서 통째로 '질+대칭'이라고 하는 것이며 대칭에는 질이 성립되게끔 '가둬야만 하는' 이라는 방향성(외력)이 걸려있다. 이 단계를 비유하자면, 손이 닿는게 느껴질 때까지 휘저어보는 수준인 거다.


고로 방향성(휘저어=가둬야 하는)을 내포하는 대칭은 있으되 축은 아직이다. 잡아가두려고 하다보니 기어코 잡아서 만지는데에 성공하게 된다. 만져졌다는 건 하나로서 맞대응했다는 것이니 '축을 세운 하나'이다. 축의 도출은 입자대칭이라 표현된다.


만지는 것 까진 좋았는데 만지려고 오므리던 내 손의 악력이, 축에 영향을 끼치니 힘대칭이다.
그에 따라 내 악력이 덩어리(손+대상=입자대칭)의 축을 이동시키니 운동대칭이다. 운동시킨 결과 문득 내 손을 떠나버렸으니 량대칭이다. 다만 금세 빈손이 되었다고 해서 헛수고는 아니다.


진행경로를 짚자니 매번 '상부구조'에서 ㅡ> '하부구조와 상대적인 외력' 으로 향하는 패턴을 얻을 수 있다. 우리의 손맛은 '한순간'이었을 지라도 그 과정은 '한싸이클'로 완전함을 알 수 있다. 누군가가 말했다, '형용할 수 없음'을 형용해내는 데에 가치가 있다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921
1667 궁금한데요... 2 다원이 2009-06-15 4955
1666 조선은 왜 망했는가? image 김동렬 2015-03-05 4948
1665 생각하기 힘든생각을 대신 생각해주시는 수고로움 image 1 가혹한너 2008-10-14 4948
1664 그냥 사는게 사는걸까요? 1 가혹한너 2009-02-16 4945
1663 한 방에 이해하는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4-12-03 4942
1662 백년해로할 배우자를 만나는 방법 1 빨간풍차 2008-12-28 4942
1661 예술은 대칭이다. image 1 김동렬 2013-12-11 4938
1660 이말년의 예언 김동렬 2016-05-19 4920
1659 달과 손가락. 6 아제 2010-02-03 4917
1658 이명박의 자전거가 골로 가는 이유 image 2 김동렬 2010-12-27 4913
1657 김용옥의 수준 1 김동렬 2015-03-01 4911
1656 한국 진보의 잘못: '합리성'과 '영성' 2 눈내리는 마을 2009-01-29 4909
1655 중국의 소수민족 위구르 시위를 보며 1 눈내리는 마을 2009-07-12 4908
1654 큰넘을 잡았구려. image 2 dallimz 2009-01-14 4907
1653 여자의 19금 발언 2 김동렬 2014-11-07 4901
1652 왼발이 커지는 원리에 대해서 1 기준님하 2010-02-02 4901
1651 뒤를 돌아보라. 1 아제 2010-02-12 4899
1650 질이라 함은.. 9 도플솔드너 2009-01-20 4897
1649 생각의 정석 8회 (충격대예언-박근혜의 운명에서 2013년 하반기 트렌드로 변경) 2 오세 2013-08-14 4895
1648 최악의 디자인은 이런 거. image 3 김동렬 2012-11-04 48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