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이미지 3.jpg

     


    동지가 지나고 며칠 사이에 해가 길어진듯 하다. 알아보니 오늘은 12월 초 가장 짧을 때보다 9분이 길어졌다. 체감으로는 훨씬 더 길어진듯이 느껴진다. 사실은 동지는 해가 가장 일찍 지는 날이 아니었다. 동지날은 5시 17분이 일몰이고 가장 짧은 12월 3일은 5시 13분이다. 동지는 오히려 4분이나 오후가 길어졌다. 


    12월 3일 5시 13분이 일몰시간이니 짐작으로는 동지날은 더 짧아져서 아마 5시경일 것이고 오늘은 5시 22분이 일몰시간이니 주말에 야외로 나가다보면 일주일 사이에 무려 20분쯤 오후가 길어진듯이 착각되는 것이다. 사실은 진작부터 오후가 길어지고 있었다. 물론 일출부터 일몰까지 계산하면 동지가 가장 낮이 짧다. 


    여름 해가 가장 긴 날은 7월 4일이다. 하지보다 무려 1분이 더 길다. 엉? 거의 차이가 없잖아. 뭔가 뒤죽박죽이다. 그렇다. 동지에 가장 밤이 길고 하지에 가장 밤이 짧은 것은 맞지만 늦잠을 자느라 아침해가 뜨는 것을 보지 못하니 오후시간만 기준으로 삼으면 7월 4일이 가장 하루가 길고 12월 3일이 가장 하루가 짧다. 


    그러므로 동지만 지나면 며칠 사이에 해가 쭉쭉 길어지는 것처럼 착각되는 것이다. 지구가 자전하는 속도는 일정하지만 북위 38도 부근에서는 여러가지 이유로 균시차가 발생하여 봄가을에 하루의 길이 변화가 심하고 동지와 하지에는 변화가 적다. 12월 초는 며칠씩 일몰시간이 같고 봄가을은 하루 2분씩 당겨진다. 


    피상적으로 아는 것과 제대로 아는 것은 항상 다르다. 메커니즘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정지해 있는 것은 역설이 없지만 움직이는 것은 항상 역설이 있다. 그러나 역설의 역설이 있으므로 세상은 그다지 무리없이 굴러간다. 대충 통밥으로 찍어도 대충 근처는 가지만 확실하지 않다. 확실하게 알려면 구조를 알아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1.01 (04:51:44)

"피상적으로 아는 것과 제대로 아는 것은 항상 다르다. 메커니즘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정지해 있는 것은 역설이 없지만 움직이는 것은 항상 역설이 있다."

http://gujoron.com/xe/1153821

프로필 이미지 [레벨:22]의명

2020.01.01 (09:17:58)

어쩐지!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2020.01.01 (18:27:42)

해가 뜨는 시간도 동지가 2주 지난 1월 5~9일쯤이 가장 늦게 뜨지요. 밤의 길이가 길다는 것에 주목하면 해뜨는 시간도 동지가 가장 늦다고 착각합니다. 밀물과 썰물현상도 위도에 따라 다르더군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2588
6746 윤석열 심판이냐 이재명 심판이냐 김동렬 2024-03-28 1649
6745 한동훈 최후의 발악 1 김동렬 2024-03-28 1589
6744 지구촌의 빡대가리들 김동렬 2024-03-28 1336
6743 윤석열 잘 들어라. 2 김동렬 2024-03-27 2298
6742 한동훈의 늙은 침팬지 행동 김동렬 2024-03-26 1709
6741 박근혜에게 매달리는 한동훈 2 김동렬 2024-03-26 1723
6740 조국돌풍의 이유 1 김동렬 2024-03-25 2433
6739 직관의 힘 김동렬 2024-03-25 1223
6738 말 한마디로 판세가 바뀐다고? 1 김동렬 2024-03-25 1330
6737 김씨 흉노설 image 김동렬 2024-03-24 1326
6736 넌 내게 모욕감을 줬어 김동렬 2024-03-24 1599
6735 신의 직관 김동렬 2024-03-23 1351
6734 바보를 바보라고 불러야 한다 김동렬 2024-03-22 1462
6733 인류문명 김동렬 2024-03-22 1109
6732 조국인싸 동훈아싸 image 김동렬 2024-03-22 1644
6731 과학자의 조국 image 1 김동렬 2024-03-21 1527
6730 조국이냐 한동훈이냐 김동렬 2024-03-21 1524
6729 바보가 너무나 많아 김동렬 2024-03-21 1280
6728 밸런스와 엔트로피 김동렬 2024-03-20 1112
6727 박용진은 정치를 배워라 2 김동렬 2024-03-20 1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