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이미지 3.jpg

     


    동지가 지나고 며칠 사이에 해가 길어진듯 하다. 알아보니 오늘은 12월 초 가장 짧을 때보다 9분이 길어졌다. 체감으로는 훨씬 더 길어진듯이 느껴진다. 사실은 동지는 해가 가장 일찍 지는 날이 아니었다. 동지날은 5시 17분이 일몰이고 가장 짧은 12월 3일은 5시 13분이다. 동지는 오히려 4분이나 오후가 길어졌다. 


    12월 3일 5시 13분이 일몰시간이니 짐작으로는 동지날은 더 짧아져서 아마 5시경일 것이고 오늘은 5시 22분이 일몰시간이니 주말에 야외로 나가다보면 일주일 사이에 무려 20분쯤 오후가 길어진듯이 착각되는 것이다. 사실은 진작부터 오후가 길어지고 있었다. 물론 일출부터 일몰까지 계산하면 동지가 가장 낮이 짧다. 


    여름 해가 가장 긴 날은 7월 4일이다. 하지보다 무려 1분이 더 길다. 엉? 거의 차이가 없잖아. 뭔가 뒤죽박죽이다. 그렇다. 동지에 가장 밤이 길고 하지에 가장 밤이 짧은 것은 맞지만 늦잠을 자느라 아침해가 뜨는 것을 보지 못하니 오후시간만 기준으로 삼으면 7월 4일이 가장 하루가 길고 12월 3일이 가장 하루가 짧다. 


    그러므로 동지만 지나면 며칠 사이에 해가 쭉쭉 길어지는 것처럼 착각되는 것이다. 지구가 자전하는 속도는 일정하지만 북위 38도 부근에서는 여러가지 이유로 균시차가 발생하여 봄가을에 하루의 길이 변화가 심하고 동지와 하지에는 변화가 적다. 12월 초는 며칠씩 일몰시간이 같고 봄가을은 하루 2분씩 당겨진다. 


    피상적으로 아는 것과 제대로 아는 것은 항상 다르다. 메커니즘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정지해 있는 것은 역설이 없지만 움직이는 것은 항상 역설이 있다. 그러나 역설의 역설이 있으므로 세상은 그다지 무리없이 굴러간다. 대충 통밥으로 찍어도 대충 근처는 가지만 확실하지 않다. 확실하게 알려면 구조를 알아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1.01 (04:51:44)

"피상적으로 아는 것과 제대로 아는 것은 항상 다르다. 메커니즘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정지해 있는 것은 역설이 없지만 움직이는 것은 항상 역설이 있다."

http://gujoron.com/xe/1153821

프로필 이미지 [레벨:22]의명

2020.01.01 (09:17:58)

어쩐지!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2020.01.01 (18:27:42)

해가 뜨는 시간도 동지가 2주 지난 1월 5~9일쯤이 가장 늦게 뜨지요. 밤의 길이가 길다는 것에 주목하면 해뜨는 시간도 동지가 가장 늦다고 착각합니다. 밀물과 썰물현상도 위도에 따라 다르더군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966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6625
1221 노무현과 윤석열 김동렬 2022-09-21 3151
1220 언어의 시작 1 김동렬 2020-01-07 3150
1219 구조론의 접근법 1 김동렬 2020-06-29 3148
1218 구조론은 사건의 플랫폼이다. 4 김동렬 2018-12-09 3148
1217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김동렬 2021-04-05 3147
1216 세상은 하나다 3 김동렬 2019-12-08 3147
1215 커플은 솔로를 이긴다 1 김동렬 2019-06-20 3146
1214 구조주의 교육으로 갈아타자 3 김동렬 2020-05-19 3145
1213 의도가 아니라 결과다 1 김동렬 2019-07-04 3144
1212 비겁한 과학자들 김동렬 2021-12-05 3142
1211 구조론을 읽고 말하자 1 김동렬 2019-08-04 3142
1210 구조론의 희망과 낙관주의 1 김동렬 2019-08-20 3139
1209 생각의 기술 김동렬 2021-10-15 3138
1208 외계인의 침략 1 김동렬 2019-09-12 3138
1207 구조론 제자의 의미 2 김동렬 2020-05-06 3138
1206 자연은 전략이다 김동렬 2021-07-08 3134
1205 원자론과 구조론 10 김동렬 2021-05-12 3134
1204 안철수로 단일화가 정답 김동렬 2021-03-03 3134
1203 과잉 대표된 정의연 1 김동렬 2020-05-31 3134
1202 예술의 본령 2 김동렬 2019-12-20 3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