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이미지 3.jpg

     


    동지가 지나고 며칠 사이에 해가 길어진듯 하다. 알아보니 오늘은 12월 초 가장 짧을 때보다 9분이 길어졌다. 체감으로는 훨씬 더 길어진듯이 느껴진다. 사실은 동지는 해가 가장 일찍 지는 날이 아니었다. 동지날은 5시 17분이 일몰이고 가장 짧은 12월 3일은 5시 13분이다. 동지는 오히려 4분이나 오후가 길어졌다. 


    12월 3일 5시 13분이 일몰시간이니 짐작으로는 동지날은 더 짧아져서 아마 5시경일 것이고 오늘은 5시 22분이 일몰시간이니 주말에 야외로 나가다보면 일주일 사이에 무려 20분쯤 오후가 길어진듯이 착각되는 것이다. 사실은 진작부터 오후가 길어지고 있었다. 물론 일출부터 일몰까지 계산하면 동지가 가장 낮이 짧다. 


    여름 해가 가장 긴 날은 7월 4일이다. 하지보다 무려 1분이 더 길다. 엉? 거의 차이가 없잖아. 뭔가 뒤죽박죽이다. 그렇다. 동지에 가장 밤이 길고 하지에 가장 밤이 짧은 것은 맞지만 늦잠을 자느라 아침해가 뜨는 것을 보지 못하니 오후시간만 기준으로 삼으면 7월 4일이 가장 하루가 길고 12월 3일이 가장 하루가 짧다. 


    그러므로 동지만 지나면 며칠 사이에 해가 쭉쭉 길어지는 것처럼 착각되는 것이다. 지구가 자전하는 속도는 일정하지만 북위 38도 부근에서는 여러가지 이유로 균시차가 발생하여 봄가을에 하루의 길이 변화가 심하고 동지와 하지에는 변화가 적다. 12월 초는 며칠씩 일몰시간이 같고 봄가을은 하루 2분씩 당겨진다. 


    피상적으로 아는 것과 제대로 아는 것은 항상 다르다. 메커니즘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정지해 있는 것은 역설이 없지만 움직이는 것은 항상 역설이 있다. 그러나 역설의 역설이 있으므로 세상은 그다지 무리없이 굴러간다. 대충 통밥으로 찍어도 대충 근처는 가지만 확실하지 않다. 확실하게 알려면 구조를 알아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1.01 (04:51:44)

"피상적으로 아는 것과 제대로 아는 것은 항상 다르다. 메커니즘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정지해 있는 것은 역설이 없지만 움직이는 것은 항상 역설이 있다."

http://gujoron.com/xe/1153821

프로필 이미지 [레벨:22]의명

2020.01.01 (09:17:58)

어쩐지!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2020.01.01 (18:27:42)

해가 뜨는 시간도 동지가 2주 지난 1월 5~9일쯤이 가장 늦게 뜨지요. 밤의 길이가 길다는 것에 주목하면 해뜨는 시간도 동지가 가장 늦다고 착각합니다. 밀물과 썰물현상도 위도에 따라 다르더군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54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624
5724 실용과 경험의 위험 1 김동렬 2020-05-11 3078
5723 문제는 언어다 1 김동렬 2019-10-29 3079
5722 세상은 마이너스다 2 김동렬 2021-09-09 3079
5721 교육의 전략 1 김동렬 2020-06-01 3081
5720 권력의 근거 김동렬 2023-10-06 3083
5719 존재가 아니라 부재다 1 김동렬 2023-03-30 3085
5718 불변의 이데아, 변화의 구조론 김동렬 2021-08-24 3094
5717 동기부여에 속지말라. 2 김동렬 2021-03-16 3095
5716 레깅스와 관료주의 1 김동렬 2020-07-05 3096
5715 논객행동 이재명 김동렬 2020-09-20 3097
5714 인간이 죽는 이유 김동렬 2021-09-08 3097
5713 대칭과 비대칭 3 김동렬 2020-07-10 3099
5712 진리에 의지하라 1 김동렬 2021-09-18 3099
5711 에너지는 딱 걸린다 1 김동렬 2019-10-22 3100
5710 자유로 가는 길 김동렬 2021-01-13 3101
5709 무신의 난 윤석열 김동렬 2021-11-27 3104
5708 사회진보론 김동렬 2021-10-17 3105
5707 있는 것은 있고 없는 것은 없다. 1 김동렬 2020-05-03 3106
5706 사회게임론 1 김동렬 2020-08-07 3107
5705 구조가 성질이다. 김동렬 2023-05-20 3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