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이미지 3.jpg

     


    동지가 지나고 며칠 사이에 해가 길어진듯 하다. 알아보니 오늘은 12월 초 가장 짧을 때보다 9분이 길어졌다. 체감으로는 훨씬 더 길어진듯이 느껴진다. 사실은 동지는 해가 가장 일찍 지는 날이 아니었다. 동지날은 5시 17분이 일몰이고 가장 짧은 12월 3일은 5시 13분이다. 동지는 오히려 4분이나 오후가 길어졌다. 


    12월 3일 5시 13분이 일몰시간이니 짐작으로는 동지날은 더 짧아져서 아마 5시경일 것이고 오늘은 5시 22분이 일몰시간이니 주말에 야외로 나가다보면 일주일 사이에 무려 20분쯤 오후가 길어진듯이 착각되는 것이다. 사실은 진작부터 오후가 길어지고 있었다. 물론 일출부터 일몰까지 계산하면 동지가 가장 낮이 짧다. 


    여름 해가 가장 긴 날은 7월 4일이다. 하지보다 무려 1분이 더 길다. 엉? 거의 차이가 없잖아. 뭔가 뒤죽박죽이다. 그렇다. 동지에 가장 밤이 길고 하지에 가장 밤이 짧은 것은 맞지만 늦잠을 자느라 아침해가 뜨는 것을 보지 못하니 오후시간만 기준으로 삼으면 7월 4일이 가장 하루가 길고 12월 3일이 가장 하루가 짧다. 


    그러므로 동지만 지나면 며칠 사이에 해가 쭉쭉 길어지는 것처럼 착각되는 것이다. 지구가 자전하는 속도는 일정하지만 북위 38도 부근에서는 여러가지 이유로 균시차가 발생하여 봄가을에 하루의 길이 변화가 심하고 동지와 하지에는 변화가 적다. 12월 초는 며칠씩 일몰시간이 같고 봄가을은 하루 2분씩 당겨진다. 


    피상적으로 아는 것과 제대로 아는 것은 항상 다르다. 메커니즘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정지해 있는 것은 역설이 없지만 움직이는 것은 항상 역설이 있다. 그러나 역설의 역설이 있으므로 세상은 그다지 무리없이 굴러간다. 대충 통밥으로 찍어도 대충 근처는 가지만 확실하지 않다. 확실하게 알려면 구조를 알아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1.01 (04:51:44)

"피상적으로 아는 것과 제대로 아는 것은 항상 다르다. 메커니즘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정지해 있는 것은 역설이 없지만 움직이는 것은 항상 역설이 있다."

http://gujoron.com/xe/1153821

프로필 이미지 [레벨:22]의명

2020.01.01 (09:17:58)

어쩐지!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2020.01.01 (18:27:42)

해가 뜨는 시간도 동지가 2주 지난 1월 5~9일쯤이 가장 늦게 뜨지요. 밤의 길이가 길다는 것에 주목하면 해뜨는 시간도 동지가 가장 늦다고 착각합니다. 밀물과 썰물현상도 위도에 따라 다르더군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16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4951
1170 답은 언제나 둘이다 김동렬 2022-02-08 2478
1169 지구가 둥근 증거 추가 image 김동렬 2022-02-08 2352
1168 인간은 생각하는가? 6 김동렬 2022-02-08 2852
1167 에디슨과 테슬라 그리고 JP 모건 5 김동렬 2022-02-09 2954
1166 문재인 죽이기 시작됐다 3 김동렬 2022-02-09 3930
1165 대선 한 달 앞. 이재명의 전략은? 1 김동렬 2022-02-11 2962
1164 이거 아니면 저거다 2 김동렬 2022-02-11 2841
1163 사진을 찍다 image 김동렬 2022-02-11 2853
1162 인간이 퇴행하는 이유 김동렬 2022-02-12 2958
1161 인간이냐, 짐승이냐? 1 김동렬 2022-02-13 2860
1160 브루투스의 배신공식 김동렬 2022-02-14 2790
1159 불확정성의 원리 2 김동렬 2022-02-14 4322
1158 인간의 길(업데이트) 김동렬 2022-02-16 2506
1157 입자냐 파동이냐 김동렬 2022-02-16 2252
1156 그림의 실패 image 김동렬 2022-02-17 3021
1155 미국이 전쟁에 지는 이유 김동렬 2022-02-17 2778
1154 아리스토텔레스가 본 것 김동렬 2022-02-18 2608
1153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넘어 김동렬 2022-02-18 2249
1152 세상은 변화다. 김동렬 2022-02-19 2482
1151 부끄러움을 모르는 한국인들 image 김동렬 2022-02-20 3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