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이미지 3.jpg

     


    동지가 지나고 며칠 사이에 해가 길어진듯 하다. 알아보니 오늘은 12월 초 가장 짧을 때보다 9분이 길어졌다. 체감으로는 훨씬 더 길어진듯이 느껴진다. 사실은 동지는 해가 가장 일찍 지는 날이 아니었다. 동지날은 5시 17분이 일몰이고 가장 짧은 12월 3일은 5시 13분이다. 동지는 오히려 4분이나 오후가 길어졌다. 


    12월 3일 5시 13분이 일몰시간이니 짐작으로는 동지날은 더 짧아져서 아마 5시경일 것이고 오늘은 5시 22분이 일몰시간이니 주말에 야외로 나가다보면 일주일 사이에 무려 20분쯤 오후가 길어진듯이 착각되는 것이다. 사실은 진작부터 오후가 길어지고 있었다. 물론 일출부터 일몰까지 계산하면 동지가 가장 낮이 짧다. 


    여름 해가 가장 긴 날은 7월 4일이다. 하지보다 무려 1분이 더 길다. 엉? 거의 차이가 없잖아. 뭔가 뒤죽박죽이다. 그렇다. 동지에 가장 밤이 길고 하지에 가장 밤이 짧은 것은 맞지만 늦잠을 자느라 아침해가 뜨는 것을 보지 못하니 오후시간만 기준으로 삼으면 7월 4일이 가장 하루가 길고 12월 3일이 가장 하루가 짧다. 


    그러므로 동지만 지나면 며칠 사이에 해가 쭉쭉 길어지는 것처럼 착각되는 것이다. 지구가 자전하는 속도는 일정하지만 북위 38도 부근에서는 여러가지 이유로 균시차가 발생하여 봄가을에 하루의 길이 변화가 심하고 동지와 하지에는 변화가 적다. 12월 초는 며칠씩 일몰시간이 같고 봄가을은 하루 2분씩 당겨진다. 


    피상적으로 아는 것과 제대로 아는 것은 항상 다르다. 메커니즘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정지해 있는 것은 역설이 없지만 움직이는 것은 항상 역설이 있다. 그러나 역설의 역설이 있으므로 세상은 그다지 무리없이 굴러간다. 대충 통밥으로 찍어도 대충 근처는 가지만 확실하지 않다. 확실하게 알려면 구조를 알아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1.01 (04:51:44)

"피상적으로 아는 것과 제대로 아는 것은 항상 다르다. 메커니즘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정지해 있는 것은 역설이 없지만 움직이는 것은 항상 역설이 있다."

http://gujoron.com/xe/1153821

프로필 이미지 [레벨:22]의명

2020.01.01 (09:17:58)

어쩐지!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2020.01.01 (18:27:42)

해가 뜨는 시간도 동지가 2주 지난 1월 5~9일쯤이 가장 늦게 뜨지요. 밤의 길이가 길다는 것에 주목하면 해뜨는 시간도 동지가 가장 늦다고 착각합니다. 밀물과 썰물현상도 위도에 따라 다르더군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24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054
1230 낮의 촛불을 켜고 한나라당을 찾습니다. image 김동렬 2002-12-30 14793
1229 추억의 하이텔이 영업을 재개했군여. 김동렬 2003-06-18 14796
1228 Re..옛날 의리의 김영배가 skynomad 2002-10-09 14797
1227 강금실 장관에 거는 기대 김동렬 2003-02-28 14798
1226 로봇을 만드는 방법 image 3 김동렬 2012-01-17 14798
1225 Re.. 대단했죠 까웅아빠 2002-10-05 14799
1224 주한미군, 누구를 위한 건가? 영호 2002-12-26 14800
1223 누가 추미애의원을 울게 하는가? image 김동렬 2002-11-09 14801
1222 도박 권하는 사회 김동렬 2006-08-24 14801
1221 여자가 남자보다 더 진화했다. image 김동렬 2017-08-18 14801
1220 김경재, 좀 살자 이 화상아 김동렬 2004-03-07 14802
1219 알거 다 알기 1 김동렬 2009-11-26 14803
1218 대중은 참여를 원한다 김동렬 2003-07-16 14804
1217 송하비결, 우리당 승리하고 탄 핵전쟁 벌어진다. 김동렬 2004-03-05 14806
1216 양자구조론 1 김동렬 2009-09-07 14809
1215 전여옥의 염장지르기 image 김동렬 2004-03-16 14811
1214 창의하는 방법 image 10 김동렬 2017-04-13 14814
1213 노무현은 약한 모습 보이지 말라 image 김동렬 2003-03-07 14818
1212 혼다 어코드 김동렬 2003-05-07 14820
1211 축구, 월드컵, 한국인 김동렬 2006-07-04 14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