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047 vote 0 2019.12.25 (21:56:26)


     아킬레스와 거북이의 경주


    크기라는 것은 존재할까? 모눈종이 위에 그림을 그린다면 크기가 있다. 그런데 종이가 구겨져 있다면? 늘어진 고무줄 위에 금을 그었다면? 우리는 당연히 크기가 있다고 여긴다. 그러나 크기는 있는게 아니라 어떤 이유로 정해지는 것이다. 합의해서 룰을 정해야 한다. 누구랑 합의할까? 


    거북이와 아킬레스는 합의할 수 없다. 경쟁자이기 때문이다. 심판을 봐줄 제 3자가 필요하다. 소립자라면 주변과의 상호작용이 룰을 정한다. 애초에 크기가 없으므로 거북이 빠른지 아킬레스가 빠른지는 논할 수 없다. 그것은 주변공간과의 상호작용에 따른 상대적인 관계로 도출된다. 


    A가 B보다 가깝다고 말할 수 없다. 그러나 B보다 A와 더 많은 상호작용을 한다면 A가 B보다 가깝다고 말할 수 있다. 미시세계에서는 뒤에 있는 B가 앞에 있는 A보다 가까울 수 있다. 어떤 이유로 더 많은 상호작용을 한다면 말이다. 그러나 대개는 앞에 있는 것이 더 많이 상호작용한다. 


    일단은 그럴 확률이 더 높기 때문이다. 공간이나 시간이라는 개념은 상호작용의 빈도를 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정한 방향으로 더 많은 상호작용이 일어난다면 공간이 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과연 공간이 휜 것일까? 공간이 휘었다는 말로 나타낼 수 있는 요인이 있는 것이다. 


    크다 작다의 판단기준은 인간의 신체다. 어릴 때는 골목길이 넓어 보인다. 6학년 형들은 키가 크고 덩치가 우람해서 존경심이 들 정도이다. 어른이 되면 이등병 군인아저씨도 햇병아리처럼 귀여워 보인다. 비교판단은 모두 틀린 것이다. 상대적 관점이기 때문이다. 절대성으로 갈아타자.


    상호작용의 빈도가 크기를 결정한다. 자연은 더 효율화된 방향으로 상호작용하는 특성이 있다. 그것이 유지되기 때문이다. 비효율적이면 뒤로 밀리고 깨진다. 공간과 시간은 보다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하게 되는 수학적 원리의 반영이다. 방향을 트는 방법으로 효율을 달성하면 공간이다.


    방향전환을 반복하는 방법으로 효율을 달성하면 시간이다. 만유는 어떻게든 가장 효율적인 코스로 의사결정한다. 그것이 주변을 이기기 때문이다. 공간과 시간은 계를 이룬 에너지가 언제나 주변환경에 대해 상대적인 효율성을 달성하는 형태로 이동하는 수학적 원리의 반영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12.26 (01:23:51)

"공간과 시간은 보다 효율적으로 상호작용하게 되는 수학적 원리의 반영이다. 방향을 트는 방법으로 효율을 달성하면 공간이다. 방향전환을 반복하는 방법으로 효율을 달성하면 시간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829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003
1040 속성이 아니라 관계다. 1 김동렬 2019-08-26 2959
1039 사건의 정의 1 김동렬 2019-11-14 2956
1038 구조론에 대해 질문하려면 1 김동렬 2021-02-08 2955
1037 창조보다 구조 김동렬 2021-11-21 2954
1036 차원 김동렬 2021-11-20 2954
1035 진리에의 초대 김동렬 2021-10-07 2954
1034 방향성으로 모두 설명한다 1 김동렬 2019-12-17 2954
1033 세상은 변화다 1 김동렬 2019-09-24 2954
1032 관계를 사유하라 2 김동렬 2020-10-04 2953
1031 탈생태주의 제언 1 김동렬 2020-07-29 2953
1030 자유에는 방향이 있다 김동렬 2021-01-10 2952
1029 사색정리 image 1 김동렬 2021-11-28 2949
1028 폭군 윤석열 김동렬 2023-04-26 2948
1027 다섯 번째 힘을 발견하라 김동렬 2020-11-02 2948
1026 통제가능성으로 사유하기 4 김동렬 2020-02-19 2947
1025 사건과 게임 김동렬 2020-11-30 2946
1024 에서으로의 법칙 김동렬 2021-11-17 2944
1023 독고다이 윤석열 김동렬 2023-04-10 2943
1022 러시아의 패배 김동렬 2022-11-11 2942
1021 이대남의 퇴행행동 김동렬 2022-03-25 2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