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챠우
read 1579 vote 0 2019.12.19 (23:50:51)

https://www.youtube.com/watch?v=wW2o6H3NCkw&list=WL&index=2&t=0s

영상에서는 영어인이 상대방 질문의 취지에 답하는 것이 영어 질답의 특징이라고 하는데요, 

아예 틀린말은 아니지만, 좀 더 구조적으로 접근해봅시다. 


이것 역시 영어인과 한국인의 생각차이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영어인은 하나의 사실에 대한 질문과 대답을 한다면, 

한국인은 상대의 말과 나의 말을 합하여 질문과 대답을 완성하려고 합니다. 


가령

야 너 배고파? > 배고프다면 > 응(한국인), yes(영어인)

야 너 배 안 고프지? > 배고프다면 > 아니(고파, 한국인), yes(영어인)

가 됩니다. 


이는 한국인은 문장(질문)과 문장(답변)을 이어서 의미를 완성하려 하고,

영어인은 부정으로 묻건 긍정으로 묻건 상관없이 답변자의 상태에 대한 긍/부정만으로 의미를 완성하려 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한국인은 대답을 함에 있어 질문이 긍/부정인지가 상당히 중요하며, 상대의 언어와 나의 언어를 합쳐서 논리를 완성하고

영어는 질문이 긍/부정인지는 별로 중요하지 않고, 다만 핵심 동사에 대한 답변만을 원하는 겁니다.  


왜냐고? 영어인은 단문장으로 의미를 완성하려고 하고,

한국인은 문장의 연결으로 의미를 완성하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정리하자면 영어인은 단문장(무맥락) 언어를 지향하고, 

한국인은 문장간(맥락) 언어를 지향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RqrRG_P5bIQ

물론 영어인들도 부정의문문을 헷갈려할 때가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단답식으로 yes or no로만 답하기 보다는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주면 좋아한다고 하네요. 이는 한국인도 마찬가지죠. 저 위에 "아니, 고파" 하는식으로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4912 따돌림 당하던 애가 따돌림을 면한 증거는? 이상우 2019-10-14 1514
4911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오리 2019-10-10 1356
4910 타다의 무리수 1 챠우 2019-10-08 2072
4909 사모펀드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4 수원나그네 2019-10-07 1786
4908 구조론 방송국 재생 횟수 통계(최근 7일) image 5 오리 2019-10-06 1669
4907 반포대로의 한쪽 끝은 예술의 전당이고 다른쪽은 반포대교입니다. 챠우 2019-10-04 1879
4906 요즘 교사 이야기 4 이상우 2019-10-03 1817
4905 개천절 구조론 모임(6시로 앞 당깁니다) image 오리 2019-10-03 1393
4904 이춘재의 고딩시절 의혹 한 가지 3 락에이지 2019-10-03 3446
4903 더하기에 숨겨진 빼기 1 첫눈 2019-10-02 1468
4902 [공모] 영상제작 및 책자제작 (원전안전기술문제 아카데미) image 수원나그네 2019-10-02 1528
4901 걸스데이 유라 그림실력 2 말시인 2019-10-02 1940
4900 서초동 집회 참여합니다. 15 나나난나 2019-09-28 2360
4899 동렬님 질문 드립니다 1 우리보리깜디쪽 2019-09-26 1828
4898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오리 2019-09-26 1380
4897 '사학비리' 봐준 검찰부터 개혁을 image 수원나그네 2019-09-24 1505
4896 ΛCDM 모형 르네 2019-09-23 1636
4895 가을에 동해안 걷기를~ 수원나그네 2019-09-22 1339
4894 평균의 종말 4 스마일 2019-09-20 1786
4893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오리 2019-09-19 1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