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061 vote 0 2019.12.06 (14:03:33)

      
   본질과 현상 그리고 만남

   
    본질파의 문제는 어떤 지점에 도달하고 거기서 멈추려고 한다는 점이다. 딱 이것만 하면 된다는 식이다. 잠시 되겠지만 지속가능하지 않다. ‘이것만 하면 된다’는 식의 위험한 태도는 진보, 보수 양쪽에 많다. 입시만 해도 정시만 하면 된다거나 학종만 하면 된다거나 하는 식이다. 기계적 평등만 외치거나 자유방임을 외친다.


    중요한 것은 그것이 어떤 것이든 반드시 맞대응이 나온다는 점이다. 정시를 하면 학원만 흥하고 학종을 하면 교사가 사고친다. 상대의 대응이 나오기 전까지 일시적으로 흥하는데 거기에 흥미를 가지고 집요하게 물고 늘어지는 자가 있다. 핵폭탄만 만들면 된다. 그러다가 수소폭탄 나오고 중성자탄 나오고 핵잠수함 나온다.


    끝이 없다. 진짜는 방향성이다. 어떤 목표에 도달하고 거기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기술적 우위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다. 초격차 전략과 같다. 장군을 멍군으로 받을 수 없다. 원자탄 받고 수소탄, 수소탄 받고 중성자탄 하는 응수가 불가능한 구조가 있다. 상대성의 작동이 멈추는 절대성의 지점이 반드시 있는 것이다.


    인삼은 더운 성질이고 당신은 찬 성질이다. 이런 식의 헛소리가 본질주의다. 본질은 어쩔 수 없다. 원래 성질이 그런데 어쩌리? 포기하자는 거다. 일본의 민족성은 원래 그렇다는 식이다. 세상은 정보고 정보는 둘이 만나는 방식이 결정한다. 레코드판의 홈과 같다. 그것은 비어 있다. 정보는 존재가 아니라 부재에 기록된다.


    우주 안에 변화는 없다. 우주가 팽창한 것은 서로 움직여서 멀어졌기 때문이 아니라 그사이에 공간이 생겨났기 때문이다. A와 B가 틀어진 것은 그사이에 C가 들어섰기 때문이다. 항상 이런 식이다. 본질이 없으므로 본질의 변화도 없다. 본질은 현상을 낳고 현상은 왜곡된다. 현상이 왜곡되므로 본질로 도피하게 된다.


    사실은 본질로 도피하므로 현상이 왜곡되는 것이다. 물체가 있으므로 그림자가 있다. 그림자를 지운다고 지워지지 않는다. 광원을 옮기면 그림자는 사라진다. 그림자가 아닌 물체를 보라는 것이 본질주의다. 물체도 그림자도 아닌 빛을 봐야 한다. 진짜는 빛과 피사체와 그림자의 서열이다. 바둑알에 없고 바둑판에 없다.


    흑과 백의 상호작용에 있다. 하수는 바둑알만 보고 중수는 바둑판만 본다. 하수는 바둑을 두되 손따라 둔다. 현상에 집착한다. 중수는 포석만 예쁘게 잘한다. 구조주의는 이세돌처럼 둘의 밸런스를 흔드는 것이다. 그것은 더 높은 차원이다. 진정한 답은 따먹은 바둑알에 없고 지어놓은 집의 형태도 아니고 밸런스에 있다.


    헛되게 그림자를 쫓아가는 사람은 실패한다. 현상파다. 혼자 묵묵히 자기 일을 하는 사람은 환경변화에 따라 실패한다. 본질파다. 진정한 것은 너와 나의 경계면에 걸쳐져 있다. 둘을 동시에 아우른다. 그것은 유행을 만들고 트렌드를 선도하고 창의하는 것이다. 새로운 에너지를 공급하기다. 에너지원을 틀어쥐는 것이다.


   현상파는 남이하는 것을 따라하다가 망한다. 배추농사 지으면 가격폭락 망한다. 마늘농사 지으면 가격폭락 망한다. 본질파는 묵묵히 한우물만 파다가 일본처럼 망한다. 시대가 바뀌었는데 옛날에 하던 농사 고집하다가 망한다. 디지털카메라 만들다가 소니처럼 망한다. 진짜는 종자를 공급하는 자다. 그들은 망하지 않는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12.07 (04:06:12)

"진정한 것은 너와 나의 경계면에 걸쳐져 있다. 둘을 동시에 아우른다. 그것은 유행을 만들고 트렌드를 선도하고 창의하는 것이다. 새로운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다. 에너지원을 틀어 쥐는 것이다."

http://gujoron.com/xe/1146831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536
1321 박근혜=문재인, 조국=최순실, 세월호=월북자 1 김동렬 2020-09-29 3126
1320 엔트로피는 확률이 아니다 1 김동렬 2019-06-18 3126
1319 사건의 구조론 1 김동렬 2019-11-11 3126
1318 권력과 지식 김동렬 2021-12-23 3125
1317 이기는게 인간의 목적이다 김동렬 2021-03-24 3125
1316 노태우 김영삼 살인시대 김동렬 2021-10-30 3124
1315 구조론 한마디 김동렬 2021-06-29 3124
1314 아스퍼거에 대해서 4 김동렬 2020-08-19 3124
1313 백기완의 완결 3 김동렬 2021-02-15 3123
1312 까불다 죽는 이준석 김동렬 2022-03-30 3122
1311 유물론과 유심론 1 김동렬 2020-12-27 3122
1310 문명과 야만 사이 1 김동렬 2022-02-04 3121
1309 부가 편중되는 이유 1 김동렬 2019-10-22 3121
1308 구조론과 동력원 김동렬 2024-01-01 3120
1307 비열한 내로남불 1 김동렬 2021-05-12 3119
1306 구조론과 그 적들 4 김동렬 2020-09-06 3118
1305 동기는 거짓이다 김동렬 2021-03-28 3115
1304 대중의 선택적인 분노 image 김동렬 2021-03-24 3115
1303 윤석열 잡는 법 김동렬 2022-09-21 3113
1302 전부 거짓말이다 김동렬 2021-11-21 3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