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챠우
read 1520 vote 0 2019.11.14 (16:33:23)

https://youtu.be/oAlmpXS9wPw

기생충은 번식을 더 잘하고자 숙주를 이용한다?
보통 이렇게 설명하는데, 기생충 아이큐가 200 이상인 것도 아닌데, 이렇게 큰 그림을 그릴 리 없다고 의심해야죠.

관점은 곧 관측 범위의 문제입니다. 기생충 한 마리를 보고 그 의도를 파악하려고 하니 기생충 유전자 풀이 안 보이고, 그 위의 생물 유전자 풀이 안 보이고, 그위의 그 위의 생태계가 안 보이고, 우주가 보이질 않는 거죠.

기생충이 다른 생물을 이용하는 건 기생충이 머리가 좋아서 그런게 아니라 유전자 풀에서 발생한 수많은 확률 조합 중 대부분이 사라지고 일부가 전해지고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합니다. 그래야 말이 맞죠. 주어를 기생충 개체가 아닌 생태계로 두고 말을 만들어야 이치에 맞다는 말입니다.


우리가 흔히 관찰하는 "복잡해보이는 사건"은 그걸 누군가가 복잡하게 생각한 것이 아니라, 수많은 계가 역사적으로 축적된 결과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인간의 배아 발생과정이 마치 진화과정처럼 보이는 것도 이유가 있는 거죠. 


http://www.str.or.kr/main/sub.html?Mode=view&boardID=www18&num=384&page=5&keyfield=&key=&bCate=


"태아의 발생과 관련된 주장과 반론을 보면 발생의 모습이 진화를 증거한다는 주장에 많은 잘못과 무리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어류를 진화시켜 양서류, 파충류, 조류가 생기게 하여, 그 발생과정을 실험적으로 관측하거나 그 유사성이 실험적으로 증명된 바가 없다. 따라서 배아발생이 척추동물의 진화를 증거한다는 주장은 과학적 사실이 아니다."


발생 과정 자체를 진화의 증거로 삼으려는 건 무리수고, 오히려 왜 실험실에서 진화를 재현할 수 없는지를 생각해봐야 합니다. 실험실에서 진화를 재현할 수 없는 이유는 과학자들이 개체를 가져다가 진화를 시키려고 했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진화는 과학자들이 생각하듯이 무한 가능성을 가지고 일어나는 게 아니라, 환경에 대하여 가능한 방향으로만 가능한데, 어느 한 쪽으로만 바라보고 진화를 재현하려고 하니, 짝이 맞질 않아서 불가능 한 것이 아닐까 하는게 제 생각.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11.15 (04:00:01)

실험실에서 자연만큼의 다양한 개체들과 환경조건들 그리고 매우 많은 경우의 수(시간)를 동원할 수 있다면 진화가 일어나겠지요..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9.11.15 (07:40:29)

감사히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202
2028 80년대-90년대-2000년대-2010-20년대 한국사회 dksnow 2022-10-14 2637
2027 지금 우리 교육은 모순의 시대 3 이상우 2022-10-12 2558
2026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2-10-06 2847
2025 한국에서 사이비가 판을 치는 이유 dksnow 2022-10-04 2824
2024 2022년도 세계 상황 2 dksnow 2022-09-29 3169
2023 페트로 달러,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군사협력협정, BRICS 기축통화, 러시아-인도 남북수송회랑 1 mowl 2022-09-27 2944
2022 완벽한 설명 이상우 2022-09-23 3263
2021 사람이 귀하다. systema 2022-09-23 2986
2020 장안생활 격주 목요 모임 image 오리 2022-09-22 2516
2019 아인슈타인의 절대성이 문제 chow 2022-09-19 2584
2018 아인슈타인도 이해 못 한 상대성이론 1 chow 2022-09-17 2863
2017 엇박자 경제대응 1 SimplyRed 2022-09-15 2801
2016 양자컴퓨터 chow 2022-09-10 3292
2015 입자세계의 파동현상 image chow 2022-09-09 3694
2014 중간 점검 dksnow 2022-09-09 3100
2013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2-09-08 3067
2012 지성주의의 길 systema 2022-09-02 3646
2011 폭락전야 image dksnow 2022-08-31 4292
2010 여기자는 왜 그랬을까? dksnow 2022-08-28 4479
2009 자이로의 원리 image chow 2022-08-27 3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