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챠우
read 2194 vote 0 2019.11.08 (03:03:19)

https://youtu.be/WcjemuKwZA4

양자역학이 뭐 대단한 건 아니고, 미시세계이다 보니 뭘로 관측해도 대상과 상호작용할 수밖에 없으므로 계를 정하여 대상에 대한 해석을 간접적으로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인간이 만든 원자의 개념도 그것을 본 인간은 없고 다만 실험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간접적인 개념에 지나지 않는 것이죠.

계를 정하여 대상을 간접으로만 관측이 가능하니 입자냐 파동이냐 하는 말이 나오고, 확률적 해석이 나오며 또한 고양이가 살았네 죽었네 하며 다중 우주관이란 헛소리도 나오는 거죠.

반면 뉴턴역학은 거시세계를 다루므로 관측행위가 개별 대상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죠. 이러한 관측 스케일의 차이는 기묘한 역설을 만드는데, 인간의 거시세계의 관찰로는 부분밖에 볼 수 없고 오히려 미시세계 관찰은 사건의 전체를 가정할 수 있게 한다는 점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운동에 대한 해석입니다. 미시세계와 거시세계의 핵심적인 차이죠. 우리가 원하는 것은 두 세계의 통합적 해석입니다.

미시세계에서 운동에 대한 해석은 의미가 없습니다. 하지만 그것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그런데 오히려 거꾸로 생각해보면, 과연 거시세계의 운동은 결정적이고 그것은 확률(비결정적)과 아무런 상관이 없을까?

여기에 대한 해석은 해밀턴 역학의 최소작용의 원리가 하고 있죠. 비결정적인 확률이 어떻게 결정론적으로 변환되는지를 설명하는 것입니다.

결국 이러한 물리학을 통합하려면 "관점"이 도입되어야 합니다. 현재 과학에서 관측의 관점은 절대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양자역학을 합의하지 못하는 거죠.

계 안에서 보느냐 밖에서 보느냐만 합의되면, 상대성이론과도 통합할 수 있을 텐데, 과연 인간들이 언제쯤이면 이에 합의할 지를 기다릴 따름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9.11.08 (10:36:22)

양자역학의 본질은

물질에 대한 인간의 관측한계가 아니라 

관측의 딜렘마로 제기되는 상호작용 그 자체가 

바로 존재의 본질이라는 것이며

이 말은 공간 상의 물질이 어떻다는게 아니라 

그 물질이 놓여있는 공간 그 자체가 어떻다는 것이며

즉 공간의 실체가 뭐냐 하는 결코 열고 싶지 않은 

판도라의 상자를 건드리게 되었다는 것이며

이는 인류가 쌓아올린 그동안의 업적을 무효화 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공포의 대왕이 되는 것이며 

물리학의 역사를 전부 새로 쓰자는 

배짱있는 주장을 하는 사람이 아직 없는 것이며

또다른 아인슈타인이 필요하다는 말씀.

지금은 암흑물질이니 암흑에너지니 하며 암흑타령으로 얼버무리고 있지만

프로필 이미지 [레벨:13]르네

2019.11.08 (11:09:24)

어떤 현상을 
하나의 질점(質点)으로 설명하면 고전역학이고 
질점의 분포로 보면 양자역학입니다.

해밀턴의 운동방정식을 푸아송 괄호로 표현한 것에 
아이에이치바(iℏ)를 붙이면 곧장 양자역학의 
교환자와 연결됩니다.

그 값이 iℏ 이면(교환법칙 성립안됨) 양자역학,
0이면 고전역학입니다.

일반상대성이론은
우주의 기하학적 구조(곡률)과 에너지텐서와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이며
물론 라그랑지안, 해밀토니안, 푸아송에서 연결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4832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ahmoo 2019-06-20 1436
4831 엔트로피 그림 몇 개 image 2 챠우 2019-06-18 2393
4830 기생충이 폭로한 세상 챠우 2019-06-14 1911
4829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오리 2019-06-13 1453
4828 헬렌 켈러의 깨달음 4 챠우 2019-06-12 2358
4827 유대인, 그들은 누구인가? 8 김미욱 2019-06-11 2439
4826 간단하게 엔트로피 공부하는 영상 2 연역 2019-06-10 1644
4825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구조론적 관점에서의 대답을 원합니다) 3 회사원 2019-06-07 2137
4824 거짓말 2 말시인 2019-06-06 1732
4823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ahmoo 2019-06-06 1503
4822 1대와 3대는 어떻게 구분합니까? 2 연역 2019-06-04 2078
4821 기생충 후기. 칸영화제의 수준 (수정) 덴마크달마 2019-06-03 2252
4820 원펀맨과 존윅, 제프쿤스의 단순함 image 2 챠우 2019-05-31 3352
4819 구조론 목요모임 image ahmoo 2019-05-30 1467
4818 사진에러 image 2 서단아 2019-05-29 1884
4817 세상에나 새가 바느질을 다하네 3 오리 2019-05-27 2016
4816 최낙언이란분 유튜브하고 있군요. 연역 2019-05-25 2030
4815 「 구조론 교과서 」 김미욱 2019-05-25 1752
4814 블랙홀! 왜 그런 모양인가? image 1 오리 2019-05-24 3154
4813 노무현 대통령 천도축원 병차 2 곱슬이 2019-05-23 19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