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763 vote 0 2019.11.07 (18:00:22)

 

    구조의 눈


    구조는 내부를 보는 것이다. 사물의 내부는 쪼개보면 된다. 사건의 내부를 보는 데는 특별한 기술이 소용된다. 사건은 시간을 타고 간다. 버스가 떠난 뒤에 손 흔들어 봤자다. 사물은 외부에서 끊임없이 개입한다. 사건은 버스의 출발과 동시에 문이 닫히고 외부개입은 차단된다. 그것이 닫힌계 개념이다.


    사물은 외부를 관찰하여 누가 건드리는지 알아내면 된다. 몰래 와서 속삭이는 자가 반드시 있다. 사건은 내부에서 진행되므로 추론해야 한다. 같은 사건을 재현해 보면 된다. 사물의 외부는 무언가 플러스될 수 있다. 그것이 원인이다. 칼은 휘두르는 자가 있고 총은 쏘는 자가 있고 공은 차는 사람이 있다.


    작용하는 것이 있다. 그 원인측을 추적하면 된다. 사건은 버스가 출발하면 외부에서 작용할 수 없으므로 내부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 내부는 언제나 빡빡한 상태다. 잉여가 없다. 여유가 없다. 잠수함처럼 실내가 좁다. 에너지를 최대한 끌어쓰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약간의 작용에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


    사물은 겉에 덧씌워지므로 형식보다 내용이 중요하지만 사건은 절대적으로 형식이 중요하다. 사건은 움직인다. 움직이려면 가벼워야 한다. 덧씌울 수 없다. 사물의 왕자는 좋은 옷으로 덧씌워진다. 폼잡을 수 없다. 사건에 들어가면 좋은 옷은 거추장스러울 뿐이다. 링 위의 선수처럼 홀딱벗어야 한다.


    사건은 달린다. 마라톤과 같다. 좋은 옷과 폼나는 모자와 장식은 쓸모가 없다. 사건은 언제나 극한의 상태에서 진행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통제된다. 여기에 의미가 있다. 사물은 내가 100을 작용해도 저쪽에서 100으로 막으면 무효가 된다. 그러나 사건의 버스는 이미 떠났으므로 이쪽저쪽 다 무효다.


    그렇다면? 사건은 선제대응하는 사람이 이긴다. 먼저 와서 판을 설계하는 사람이 다 먹는다. 즉 사건은 머리가 좋은 사람이 이기는 게임이다. 저쪽에 돈이 많고 힘이 세고 빽이 있어봤자 쓸모가 없다. 내가 설계한 판은 내가 먹는다. 사물은 보수가 힘으로 눌러서 이기지만 사건은 언제나 진보가 이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11.08 (04:03:04)

"사건은 선제대응하는 사람이 이긴다. 먼저 와서 판을 설계하는 사람이 다 먹는다. 즉 사건은 머리가 좋은 사람이 이기는 게임이다."

http://gujoron.com/xe/1139461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25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057
6110 구조론 김동렬 2021-10-24 2735
6109 인간의 의미 김동렬 2023-10-04 2736
6108 뒤끝 있는 민주주의 1 김동렬 2022-10-19 2737
6107 사이버트럭 무엇이 문제인가? 김동렬 2022-01-29 2741
6106 다시 쓰는 구조론 김동렬 2021-10-24 2742
6105 간첩 태영호 김동렬 2023-05-04 2742
6104 프레임을 걷어라 김동렬 2022-09-18 2743
6103 우리들의 일그러진 김동길 1 김동렬 2022-10-06 2744
6102 검수완박 심심한 성과 김동렬 2022-04-23 2745
6101 게임과 권력 그리고 보상 1 김동렬 2020-08-17 2746
6100 원자론과 구조론의 세계관 차이 2 김동렬 2021-02-12 2746
6099 통제가능성으로 사유하기 1 김동렬 2019-11-13 2747
6098 남성이 가슴에 집착하는 이유 김동렬 2023-07-19 2750
6097 갈릴레이의 멀리보기 김동렬 2021-12-30 2751
6096 닫힌계 1 김동렬 2020-03-19 2752
6095 구조는 만물의 척도다 김동렬 2020-04-11 2755
6094 윤석열의 운명 김동렬 2022-05-03 2755
6093 신유물론 김동렬 2022-10-25 2757
6092 차원의 전개 1 김동렬 2020-03-27 2758
6091 구조론이 5로 설명되는 이유 1 김동렬 2020-08-14 2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