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챠우
read 1898 vote 0 2019.10.25 (14:38:26)

https://ko.m.wikipedia.org/wiki/양자_키_분배

1984년 C. H. Bennett과 G. Brassard가 제안하였으며,[1] 기존에 있던 대부분의 암호체계가 대부분 수학적 복잡성에 기반하는데 비해, 양자암호는 자연현상에 기반하고 있는 특징을 띄며, 암호에 사용되는 원타임 패드를 생성하는 이상적인 방법 중 하나다. 중간에 도청자가 난입할 경우 그 존재가 드러나며, 신호가 왜곡되어 도청자도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없는 보안성을 띄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양자암호(Quantum Cryptography) 체계이다.

파장이나 진폭등으로 통신하는 일반적인 통신과는 달리 양자암호는 광자(photon) 하나하나단위로 신호를 실어 나른다. 광자 단위로 편광이나 위상차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며, 송신측에서도 편광패드나, 간섭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각종 외부환경에 취약한 광자의 특성상 가용전송거리가 매우 짧으며 보통은 이를 실용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25km정도 단위마다 중계소를 설치하여 구성한 양자암호 네트워크가 있으며,[2] 중계소 단위로 각각의 키를 분배한다. 현재 중계소 없이 가용한 통신거리는 약 140km이다.

통신 프로토콜의 약점을 이용해 공격하는 방법중 대표적인 방법 중 리플레이 공격(Replay attack)이 있다.[7] 양자암호의 경우도 이러한 공격을 생각할 수 있지만, 공격자가 신호를 측정하는 과정에서 실수를 하게 되는 경우 신호가 왜곡되어 정확한 정보를 측정하지 못할뿐더러 왜곡된 신호를 통해 도청자의 존재가 발각된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패킷등의 다수입자를 이용한 일반적인 통신방법과 달리 양자암호의 경우 양자채널에서는 하나하나의 광자에 신호를 부여해 나가므로 도청을 위해서는 모든 단일 광자에 대해서 측정을 해야 한다. 양자역학에서는 복제 불가능성 원리(No-cloning theorem)와 측정 후 붕괴(Wave function collapse)라는 특이한 현상 때문에 단일 광자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회는 단 한번으로 제한된다.[8]

#

전달 신호가 측정하는 순간 붕괴되는 양자학의 원리를 이용하는게 핵심인데, 말은 되지만,

문제는 누군가가 중간에 가로채기는 불가능하더라도 방해는 가능하다는 거. 뭐 채널을 여러 개로 두면 해결은 가능하지만 비용이 문제.

고급 보안에 한정하여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452 End of the Beginning image 1 락에이지 2017-03-10 1864
4451 미국은 재정적자를 어떻게 해결할까요? image 8 systema 2017-12-17 1864
4450 안녕하세요 우성 2018-08-25 1864
4449 사람들은 행복을 원하지 않늗다... - 행동경제학(카네만)의 약간의 발전... 2 kilian 2019-03-10 1864
4448 28일(금) 구조론 광주모임안내 탈춤 2014-03-28 1865
4447 이별 스마일 2015-02-16 1865
4446 개도 앞장선 제주 탈핵생명올레 수원나그네 2015-12-13 1865
4445 구조론 광주모임 2 탈춤 2014-06-13 1866
4444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4-11-21 1866
4443 새해 복 많이 만드십시오 7 큰바위 2014-12-31 1866
4442 구조론 목요 강론회 image ahmoo 2015-03-19 1866
4441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5-10-03 1867
4440 역삼동 구조론 모임 image 3 ahmoo 2014-06-19 1868
4439 오늘 역삼 모임 image ahmoo 2014-04-24 1868
4438 민주당 승리(?) 에---협조해 준, X트라 몇 분이 생각난다. 해안 2020-04-16 1868
4437 5월 16일 모임 안내 1 불그스레(旦) 2015-05-01 1869
4436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5-08-14 1869
4435 구조론 활용사례 5 눈마 2016-09-24 1869
4434 구조론, 그리고 동렬선생님께 감사드리며 image 말시인 2019-03-30 1869
4433 구조론 목요 강론회 image ahmoo 2015-02-26 18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