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781 vote 0 2019.10.16 (16:28:58)

https://www.youtube.com/watch?v=EB-38ST4Tf0



영어와 그 뿌리인 인도유럽어는 

접두어+어근+접미어로 나누어서 분석하면 우리말과 비슷합니다.

중국어도 우리말과 비슷한 것이 많습니다.


한국 = 철+아 = 철아

중국 = 아+철 = 아철


우리는 철아 하고 부를 때는 아가 뒤에 오는데

중국어는 아가 앞에 오므로 아큐정전이 아큐가 되는 거지요.


이 원리를 부모에 적용하면 

아+부=아빠

아+모=엄마

아+녀=언니

아+부=오빠 


즉 우리말도 고어는 아가 앞에 왔는데 어쩌다가 뒤로 넘어갔다는 거지요.

이런 식으로 어순이 바뀌는 경우는 세계에 많습니다.


예컨대 같은 아랍어를 쓰는 나라도 어순이 나라마다 다릅니다.

단어의 뜻은 같은데 문법이 다른 거지요.


중국영화를 보다가 보면 아빠, 엄마를 들을 수 있습니다.

영어도 접두어 어근 접미어를 낱낱이 분해해서 보면 


타밀지역과 가까운 인도 펀잡지역에서 인도유럽어가 발생했는데다

어원학이 발달한 인도인들이 고대 발음을 모두 적어놨기 때문에


농업과 관련된 말이나 벌레 모기 파리와 같은 곤충이름이나

이런 기초적인 말일수록 우리말과 가깝습니다.


동사일수록 우리말과 가깝고

후대에 만들어진 명사 위주의 어휘는 거리가 멀고.


이런 것으로 언어의 계통을 알 수 있는데

영어는 인도유럽어에서 기원하여 영국까지 가는 과정에 


변하는 순서가 다 규명되어 있기 때문에

그 변화의 패턴을 한국어에 적용하여 보면 알아낼 수 있습니다.


예컨대 C가 CH로 변했다가 H로 변합니다.

G가 W로 변하는 패턴도 있고.


먼저 만들어진 단어와 나중 만들어진 단어를 알 수 있습니다.

이런 것으로 보면 우리말 문법은 돌궐=투르크 계통이고


어휘는 돌궐, 타밀, 펀잡, 중국 등에서 고루 들어왔으며

가까운 일본이나 몽골보다 영어 혹은 인도유럽어가 더 가깝고


반대로 일본어에서 굉장히 많은 한국어 흔적을 찾을 수 있습니다.

예컨대 엄마 아빠나 하나둘 셋은 영어와 가깝고 일본과 다르며


쓱싹쓱싹 이런 식의 부사나 형용사들은 우리말에서 일본어로 넘어간 흔적이 있고

반대로 일본어에서 우리말로 들어온 흔적은 없습니다.


옛날사람은 가, 서, 와, 자, 빼, 해 하며 주로 동사를 

한 단어로 발음했기 때문에 문법이나 어순이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중국어는 그런 흔적이 아직까지 남아있는 것이고

단어가 길어지고 굴절하는 것은 후대에 일어난 현상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오맹달

2019.10.25 (15:30:15)

마침 타밀 사람이랑 같이 일하고 있는데
영상은 재미를 위해 조금 과장된 측면이 있다고 합니다.

아파 같은 경우는 우리가 엄마야! 하는 감탄사를 쓰듯이 아빠를 의미하는 감탄사이고
싸우다의 경우는 죽음을 의미한다네요. 굳이 한국말로 말하자면 죽이삔다! 뭐 이런 뉘앙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744
1647 의미를 버리고 에너지의 흐름에 올라타라 (제민 칼럼) 3 ahmoo 2013-01-08 3252
1646 질문 - 너무 쉽소. 6 김동렬 2013-01-09 5488
1645 현대성이란 무엇인가? 8 김동렬 2013-01-10 3564
1644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4 김동렬 2013-01-10 3866
1643 질문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image 24 김동렬 2013-01-11 7319
1642 가치는 어디에 있는가? image 10 김동렬 2013-01-12 3584
1641 진짜 쉬운 문제 image 5 김동렬 2013-01-12 4236
1640 질문 -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 지식 30 김동렬 2013-01-13 4868
1639 아우디가 뛰어난 이유 image 김동렬 2013-01-14 5513
1638 질문 - 동영상의 일본인이 무얼 잘못했죠? 31 김동렬 2013-01-14 4819
1637 질문 - 젊은이를 위한 나라는 있다. image 7 김동렬 2013-01-15 4743
1636 천재를 죽이는 이유 1 이성광 2013-01-15 4042
1635 질문 - 의심과 믿음 image 21 김동렬 2013-01-16 6894
1634 일의 탄생 이성광 2013-01-20 3180
1633 석굴암의 실패 image 5 김동렬 2013-01-20 10325
1632 문제 - 돔 지붕의 딜레마 image 17 김동렬 2013-01-20 13480
1631 돔지붕의 문제 image 8 김동렬 2013-01-21 6130
1630 어느 쪽이 더 튼튼할 것 같소? image 5 김동렬 2013-01-22 3757
1629 왜, 스티브 잡스는 인류의 재앙인가? 2 이성광 2013-01-22 4195
1628 게시판 에러 때문에 이사감 20 김동렬 2013-01-22 38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