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12]락에이지
read 2136 vote 0 2019.10.15 (20:50:39)

제가 설리에 대해 기억하고 있었던건 걸그룹 에프엑스의 멤버였다는것. 예쁘장한 외모의 가수겸 배우였다는것. 래퍼 최자와의 연애와 결별로 크게 이슈가 되었었다는 것 뭐 그정도 였습니다. 

설리가 죽기 이전 예전부터 자주 실시간 검색어에 오르내리길래 설리에 별로 관심이 없고 좋아하지도 않던 저같은 사람들도 무슨일이 있었는지를 대충 알 수 있었죠. 동시에 아.. 설리가 안티가 많고 악플을 많이 받는구나를 짐작할 수 있었고 동시에 그런데 왜? 뭘 그리 잘못했길래? 라는 의문과 함께 말이죠.
설리가 죽고 나서야 알 수 있었습니다. 사실 설리가 그랬건 말건 제가 보기엔 별거 아닌것조차도 선정적으로 써대는 기레기들이 원인중 하나였다는것을요. 죽음을 알리는 기사에까지 이슈화된 노브라 사진을 올리는거 보면 말 다했죠.

이슈가 되건 말건 악플이 많건 말건 설리는 별로 신경을 안쓰는 타입인줄 알았는데 겉으론 아무렇지도 않은척했어도 정신적 심리적 타격이 심했었나 봅니다.

그리고 기레기들의 기사에 달린 악플못지않게 개인적으로 한가지 안타까웠던건.. 꼭 SNS를 했어야 했을까 였습니다.
전 맨유 감독이었던 퍼거슨 감독이 남긴 유명한 말이 있죠. "SNS는 인생의 낭비다..." 

꼭 SNS를 했어야 했을까 싶습니다.. 유튜브에서 살펴보니 설리 SNS에도 엄청난 악플들이 많이 있더군요.
제가 만약 설리정도의 지명도가 있는 유명 연예인이었다면 저는 인터넷은 가끔 했을지언정 SNS는 안 했을듯 싶지만.. 이건 40대 아재의 생각이고..
94년생에 어렸을때부터 인터넷이 있었고 중고등학교 나이때부터 SNS를 썼을 젊고 유명한 연예인 이라면?
모르겠네요.. 그저 안타까울뿐입니다.

설리의 죽음이 꼭 악플때문은 아닐수도 있습니다. 그건 설리 본인과 신만이 알겠죠. 하지만 악플이 하나의 원인이 된건 현재로서는 분명한듯 싶습니다. 이번 기회에 설리를 죽게만든 기레기들과 악플러들이 누구인지 한번 밝혀냈으면 좋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짐작이 가는 부분이 있긴한데 두고봐야겠습니다.
그리고 JTBC 악플의 밤. 왜 MC를 맡았을까? 이 부분도 안타깝습니다. 사실 JTBC는 개인적으로 이번 조국 사태보도와 악플의 밤 말고도 그 이전부터 저에게 찍혀있었습니다만 이부분은 그냥 넘어가고요.

설리의 갑작스런 비보로 인해 드는 생각 하고싶은말이 많은데 더이상 무슨 말을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안타깝습니다.


제 기억속에 남아있는 설리의 어렸을적 사진 한 장..
사진을 구하려고 검색해보니 하지원과 차태현이 주연으로 출연했던 영화 '바보'에서 하지원의 아역으로 설리가 출연했던 모습이라고 하네요.

naver_com_20110221_134547.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3952 다시보는 구조강론 - 전략,전술 그리고 전투 배태현 2016-10-08 1924
3951 구조론 독서 모임 공지(토요모임) image 5 챠우 2016-10-07 1746
3950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image ahmoo 2016-10-06 1683
3949 삶과 죽음 눈마 2016-10-05 1846
3948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6-10-01 1676
3947 구조론 독서 모임 공지(토요 모임) image 1 챠우 2016-10-01 1813
3946 이원영 수원대 교수의 <한반도의 미래를 구상한다> 수원나그네 2016-10-01 2124
3945 구조론 목요 열린 방송 image ahmoo 2016-09-29 1729
3944 김영란법 2 펄잼 2016-09-27 2218
3943 영화 '최악의 하루' image 18 챠우 2016-09-25 3867
3942 오늘 구조론 독서 모임 공지 image 2 챠우 2016-09-24 1826
3941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6-09-24 1817
3940 구조론 활용사례 5 눈마 2016-09-24 1870
3939 333프로젝트의 기록 : 시민들이 체험한 우리강의 원형 수원나그네 2016-09-23 1819
3938 남학생과 여학생의 친구 관계의 차이 1 이상우 2016-09-22 2128
3937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image 1 ahmoo 2016-09-22 1719
3936 이제는 버려야 할 과학적 아이디어 III – 맥스 테그마크 5 kilian 2016-09-20 2032
3935 히틀러의 이중의 역설 image 2 신영 2016-09-18 2392
3934 졸라 쉽게 배우는 구조론(독서 모임 공지) image 챠우 2016-09-18 2024
3933 한국의 명절? 그리고 제사 해안 2016-09-18 20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