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348 vote 0 2019.09.10 (23:11:04)


    우주의 탄생과 죽음


    에너지의 방향전환으로 모두 설명할 수 있다. 에너지의 방향은 확산과 수렴밖에 없다. 빅뱅은 에너지의 확산이다. 빅뱅 이전에 대해서는 아무도 모르지만 에너지는 확산 아니면 수렴이므로 빅뱅 이전은 일단 에너지의 수렴이어야 한다. 대략 두 가지 모형을 생각할 수 있겠다. 


    하나는 에너지의 방향전환이 수렴과 확산으로 무한정 되풀이하는 모형이다. 이건 불교의 윤회설과 같은 것이다. 우주의 탄생과 사멸, 팽창과 축소, 에너지의 확산과 수렴, 빅뱅Big Bang에 의한 팽창과 중력에 의한 빅 크런치Big Crunch가 영원히 반복된다는 진동우주가설이다. 


    이 이론은 일단 편리하다는 이유로 한때 학자들의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암흑에너지가 발견되면서 갑자기 팽 되었다. 상식적으로는 중력에 의해 우주가 다시 한 점으로 수축되어야 하는데 암흑에너지가 이를 막고 있다. 어쨌든 현재 우리우주는 빅 프리즈Big Freeze를 향한다. 


    우주는 계속 팽창하다가 엔트로피의 증대에 의해 얼어 죽는다. 빅립Big Rip이라는 것도 있다. 암흑에너지의 지속적 팽창에 의해 우주가 갈기갈기 찢어진다는 거다. 근거는 당연히 없다. 어쨌든 우주가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려면 껍질이 있어야 한다. 제동을 걸 한계가 있어야 한다.


    두 번째 모형은 우주 위에 초우주가 있다는 것이다. 초우주가 무너지는 중에 우리우주가 아기처럼 태어났다는 거다. 에너지는 원래 확산밖에 없는데 확산하는 중에 서로 충돌하게 되면 부분적으로 수렴한다. 그것이 빅뱅으로 나타나는데 수렴에서 확산으로 다시 방향을 트는 것이다. 


    초우주는 우리우주보다 높은 차원의 우주다. 초우주가 무너지면서 제 1파와 제 2파의 충돌 혹은 제 1파가 우주의 껍질에 해당되는 어떤 한계에 도달하여 반사되어 돌아오면서 제 2파와의 충돌로 인해 부분적인 수렴이 일어나서 0에 도달하면 빅뱅이 일어나며 다시 확산한 것이다. 


    맞든 틀렸든 모형을 가지고 사유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모형은 연역되고 복제된다. 아이디어가 새끼를 친다. 어쨌든 암흑에너지라는 보이지 않는 장벽에 가로막혀 있다. 그 정체를 모르므로 가설을 세우기 힘들다. 어쨌든 우주는 있고, 있는 것은 탄생했고, 탄생한 것은 자궁이 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9.11 (04:28:28)

" 맞든 틀렸든 모형을 가지고 사유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모형은 연역되고 복제된다. 아이디어가 새끼를 친다."

http://gujoron.com/xe/1122690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7287
6844 엘리트와 비엘리트 김동렬 2024-05-22 1252
6843 윤석열 김흥국 김병만 강형욱 3 김동렬 2024-05-21 1561
6842 나쁜 개는 있다 김동렬 2024-05-21 1201
6841 지구를 지켜라의 멸망 원인 김동렬 2024-05-20 1008
6840 지도로갈문왕 수수께끼 image 김동렬 2024-05-20 894
6839 지식의 원점 김동렬 2024-05-20 644
6838 이찬종 알파독이론과 강형욱 카밍시그널 2 김동렬 2024-05-19 1356
6837 광개토대왕비의 진실 4 김동렬 2024-05-18 1246
6836 자명한 진실 김동렬 2024-05-18 1039
6835 불닭볶음면과 황교익 3 김동렬 2024-05-17 1530
6834 석가의 의미 김동렬 2024-05-16 1023
6833 첫 만남 김동렬 2024-05-16 918
6832 대란대치 윤석열 1 김동렬 2024-05-16 1317
6831 석가의 방문 김동렬 2024-05-15 1167
6830 윤암 수술법 김동렬 2024-05-14 1196
6829 다르마를 따르라 1 김동렬 2024-05-14 909
6828 신라 마립간은 무엇인가? 2 김동렬 2024-05-14 800
6827 전쟁과 인간 김동렬 2024-05-13 1101
6826 전략적 사유 김동렬 2024-05-12 1048
6825 소크라테스 김동렬 2024-05-11 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