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496 vote 0 2019.09.10 (23:11:04)


    우주의 탄생과 죽음


    에너지의 방향전환으로 모두 설명할 수 있다. 에너지의 방향은 확산과 수렴밖에 없다. 빅뱅은 에너지의 확산이다. 빅뱅 이전에 대해서는 아무도 모르지만 에너지는 확산 아니면 수렴이므로 빅뱅 이전은 일단 에너지의 수렴이어야 한다. 대략 두 가지 모형을 생각할 수 있겠다. 


    하나는 에너지의 방향전환이 수렴과 확산으로 무한정 되풀이하는 모형이다. 이건 불교의 윤회설과 같은 것이다. 우주의 탄생과 사멸, 팽창과 축소, 에너지의 확산과 수렴, 빅뱅Big Bang에 의한 팽창과 중력에 의한 빅 크런치Big Crunch가 영원히 반복된다는 진동우주가설이다. 


    이 이론은 일단 편리하다는 이유로 한때 학자들의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암흑에너지가 발견되면서 갑자기 팽 되었다. 상식적으로는 중력에 의해 우주가 다시 한 점으로 수축되어야 하는데 암흑에너지가 이를 막고 있다. 어쨌든 현재 우리우주는 빅 프리즈Big Freeze를 향한다. 


    우주는 계속 팽창하다가 엔트로피의 증대에 의해 얼어 죽는다. 빅립Big Rip이라는 것도 있다. 암흑에너지의 지속적 팽창에 의해 우주가 갈기갈기 찢어진다는 거다. 근거는 당연히 없다. 어쨌든 우주가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려면 껍질이 있어야 한다. 제동을 걸 한계가 있어야 한다.


    두 번째 모형은 우주 위에 초우주가 있다는 것이다. 초우주가 무너지는 중에 우리우주가 아기처럼 태어났다는 거다. 에너지는 원래 확산밖에 없는데 확산하는 중에 서로 충돌하게 되면 부분적으로 수렴한다. 그것이 빅뱅으로 나타나는데 수렴에서 확산으로 다시 방향을 트는 것이다. 


    초우주는 우리우주보다 높은 차원의 우주다. 초우주가 무너지면서 제 1파와 제 2파의 충돌 혹은 제 1파가 우주의 껍질에 해당되는 어떤 한계에 도달하여 반사되어 돌아오면서 제 2파와의 충돌로 인해 부분적인 수렴이 일어나서 0에 도달하면 빅뱅이 일어나며 다시 확산한 것이다. 


    맞든 틀렸든 모형을 가지고 사유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모형은 연역되고 복제된다. 아이디어가 새끼를 친다. 어쨌든 암흑에너지라는 보이지 않는 장벽에 가로막혀 있다. 그 정체를 모르므로 가설을 세우기 힘들다. 어쨌든 우주는 있고, 있는 것은 탄생했고, 탄생한 것은 자궁이 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9.11 (04:28:28)

" 맞든 틀렸든 모형을 가지고 사유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모형은 연역되고 복제된다. 아이디어가 새끼를 친다."

http://gujoron.com/xe/1122690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143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825
1666 옥탑방의 고양이 왜 강한가? image 김동렬 2003-06-30 14059
1665 언어의 수준을 높여라 image 김동렬 2017-08-07 14059
1664 노회찬 입수부리를 때려줘야 김동렬 2004-10-22 14060
1663 문희상은 왜 버티고 있나? 김동렬 2005-06-08 14066
1662 전여옥 대량 낭패 image 김동렬 2004-11-10 14067
1661 강금실 서울시장 가능한가? 김동렬 2005-11-22 14067
1660 목숨을 건 구데타 image 김동렬 2004-03-13 14068
1659 FTA와 한국의 충격요법 김동렬 2006-07-15 14068
1658 김경재 사꾸라가 되었나 image 김동렬 2003-09-16 14070
1657 이인제 "꼭 대통령 되겠다" 2003-07-01 14072
1656 자유의 의미 image 1 김동렬 2010-11-09 14074
1655 노무현 오판인가? image 김동렬 2003-04-01 14075
1654 존경하는 회창님 나하고 같이 죽읍시다 김동렬 2003-12-10 14076
1653 어떤 책을 읽을 것인가? image 김동렬 2003-12-24 14077
1652 민노당과 부시 그리고 황우석 김동렬 2005-05-23 14082
1651 김미화의 눈물 김동렬 2004-04-22 14083
1650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image 김동렬 2002-11-20 14087
1649 구조론이 희망이다 2 김동렬 2010-02-16 14088
1648 [펌]소설가 이순원의 절규 김동렬 2002-12-19 14089
1647 경찰수사권 왜 말이 많어. 김동렬 2005-04-21 14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