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889 vote 0 2019.08.26 (21:19:51)

      

    속성이 아니라 관계다


    속성이 아니라 관계다. 이는 구조론의 입장이다. 그런데 현실에서는 속성으로 보는게 더 빠를 때가 많다. 속성은 좁은 내부를 보지만 관계는 넓은 외부를 보므로 일단 일이 많다. 더 넓은 면적을 스캔해야 한다. 예컨대 이런 거다. 지능지수가 높은 학생은 성적이 높고 지능지수가 낮은 학생은 성적이 낮다. 


    이는 속성의 차이다. 같은 지능을 가진 두 학생 중에서 한 사람은 성적이 높고 한 사람은 성적이 낮다. 이는 관계의 차이다. 과외교습을 받은 학생의 성적이 더 높다. 부모의 능력에 따라 성적이 결정되었으므로 관계다. 그렇다면 때로는 속성에 의해 결정되고 때로는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고 말할 수 있다. 


    틀렸다. 구조론은 일원론이다. 언제나 관계가 결정한다. 지능지수를 결정하는 것은 대뇌와 소뇌의 관계다. 하나의 기준으로 일관되게 판단하려면 관계로 봐야 한다. 그러므로 속성에 따른 판단은 배척한다. 때로는 맞고 때로는 틀리면 안 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다. 때로는 귀납이 맞고 때로는 연역이 맞다? 


    틀렸다. 엄격한 과학의 영역에서는 연역만 채택해야 한다. 관계도 더 큰 단위로 보면 속성이므로 속성 하나로 용어를 통일해도 되지 않느냐고 항변할 수 있다. 이런 말을 하다가는 한 대 맞는 수가 있다. 내가 그렇게 규칙을 정한 것이다. 공리를 정하면 일단 따라와야 한다. 언어의 의미는 원래 고무줄이다. 


    언어의 의미를 억지로 확장해서 말을 끼워맞추면 피곤해진다. 속성은 구체적이고 관계는 추상적인 개념이다. 국어사전으로 보자. 속성은 사물의 특징이나 성질이다. 관계는 둘 이상의 사람, 사물, 현상 따위가 서로 관련을 맺거나 관련이 있음. 또는 그런 관련이다. 관계는 추상개념이므로 구조론과 맞다. 


    속성은 사물이라고 제한을 걸어놓았다. 국어사전이 그렇다면 그런 거다. 구조론은 둘 사이의 겹치는 부분만 논한다. 속성은 독점되고 관계는 공유된다. 그 점을 분별하기다. 필자가 용어를 정할 때는 때로 사전적 의미보다 넓히기도 하고 반대로 좁히기도 한다. 미터법이 옳으냐 파운드법이 옳으냐와 같다. 


    미터법은 일원론이다. 밀리나 센티는 미터에 연동된다. 파운드법은 다원론이다. 인치, 피트, 야드가 별도로 있다. 피트는 발이고 야드는 팔이다. 키가 182인 사람이 자기 신장을 기준으로 야드를 정해놔서 키가 작은 사람은 손해를 본다. 귀납과 연역을 함께 쓴다면 미터법과 파운드법을 함께 쓰는 격이다.


    의사소통의 혼선으로 잘 날아가던 우주선이 폭발하는 수가 있다. 둘 중에 하나를 택하라면 미터법이다. 미터는 지구둘레가 기준이므로 통밥으로 때려도 대충 견적이 나와준다. 파운드법으로 가면 길이를 재는 다우, 인치, 피트, 야드, 체인, 퍼롱, 마일, 리그에 부피와 질량까지 스물한 가지 척도가 더 있다.


    때로는 귀납이 편하지만 연역으로 기준을 통일해야 한다. 또는 연역으로 뒤집어 다시 점검해야 한다. 때로는 속성의 판단이 편하지만 관계로 보는 훈련이 필요하다. 속성은 구조론이 아니기 때문이다. 때로는 주먹구구가 빠르지만 그것은 수학이 아니다. 한 줄에 꿰어 사건의 전모를 보는 훈련을 해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8.28 (04:02:37)

"하나의 기준으로 일관되게 판단하려면 관계로 봐야 한다. 그러므로 속성에 따른 판단은 배척한다."

http://gujoron.com/xe/1118028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8728
6504 인간의 진실 김동렬 2023-10-07 2612
6503 권력의 근거 김동렬 2023-10-06 2989
6502 위험한 찌아찌아 한글장사 김동렬 2023-10-05 3720
6501 지적설계와 인공지능 도약 김동렬 2023-10-05 3348
6500 인간의 의미 김동렬 2023-10-04 2626
6499 인간이 세상의 중심이다 김동렬 2023-10-03 3758
6498 21세기 천동설 김동렬 2023-10-02 2279
6497 하나의 단일자 김동렬 2023-10-02 2394
6496 수준이하의 과학자들 김동렬 2023-10-01 4262
6495 신의 입장 2 김동렬 2023-09-30 2843
6494 인류원리 7 김동렬 2023-09-29 2837
6493 인류원리 6 신과 인간 김동렬 2023-09-27 4175
6492 한동훈의 정치뇌물 김동렬 2023-09-27 3965
6491 인류원리 5 김동렬 2023-09-26 2977
6490 검찰망국 한국인들 3 김동렬 2023-09-26 3736
6489 인류원리 4 김동렬 2023-09-25 2336
6488 인류원리 3 김동렬 2023-09-25 2245
6487 인류원리 2 김동렬 2023-09-24 3073
6486 이재명의 큰 승리다 1 김동렬 2023-09-24 3585
6485 인류원리 김동렬 2023-09-24 3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