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975 vote 0 2019.08.26 (21:19:51)

      

    속성이 아니라 관계다


    속성이 아니라 관계다. 이는 구조론의 입장이다. 그런데 현실에서는 속성으로 보는게 더 빠를 때가 많다. 속성은 좁은 내부를 보지만 관계는 넓은 외부를 보므로 일단 일이 많다. 더 넓은 면적을 스캔해야 한다. 예컨대 이런 거다. 지능지수가 높은 학생은 성적이 높고 지능지수가 낮은 학생은 성적이 낮다. 


    이는 속성의 차이다. 같은 지능을 가진 두 학생 중에서 한 사람은 성적이 높고 한 사람은 성적이 낮다. 이는 관계의 차이다. 과외교습을 받은 학생의 성적이 더 높다. 부모의 능력에 따라 성적이 결정되었으므로 관계다. 그렇다면 때로는 속성에 의해 결정되고 때로는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고 말할 수 있다. 


    틀렸다. 구조론은 일원론이다. 언제나 관계가 결정한다. 지능지수를 결정하는 것은 대뇌와 소뇌의 관계다. 하나의 기준으로 일관되게 판단하려면 관계로 봐야 한다. 그러므로 속성에 따른 판단은 배척한다. 때로는 맞고 때로는 틀리면 안 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다. 때로는 귀납이 맞고 때로는 연역이 맞다? 


    틀렸다. 엄격한 과학의 영역에서는 연역만 채택해야 한다. 관계도 더 큰 단위로 보면 속성이므로 속성 하나로 용어를 통일해도 되지 않느냐고 항변할 수 있다. 이런 말을 하다가는 한 대 맞는 수가 있다. 내가 그렇게 규칙을 정한 것이다. 공리를 정하면 일단 따라와야 한다. 언어의 의미는 원래 고무줄이다. 


    언어의 의미를 억지로 확장해서 말을 끼워맞추면 피곤해진다. 속성은 구체적이고 관계는 추상적인 개념이다. 국어사전으로 보자. 속성은 사물의 특징이나 성질이다. 관계는 둘 이상의 사람, 사물, 현상 따위가 서로 관련을 맺거나 관련이 있음. 또는 그런 관련이다. 관계는 추상개념이므로 구조론과 맞다. 


    속성은 사물이라고 제한을 걸어놓았다. 국어사전이 그렇다면 그런 거다. 구조론은 둘 사이의 겹치는 부분만 논한다. 속성은 독점되고 관계는 공유된다. 그 점을 분별하기다. 필자가 용어를 정할 때는 때로 사전적 의미보다 넓히기도 하고 반대로 좁히기도 한다. 미터법이 옳으냐 파운드법이 옳으냐와 같다. 


    미터법은 일원론이다. 밀리나 센티는 미터에 연동된다. 파운드법은 다원론이다. 인치, 피트, 야드가 별도로 있다. 피트는 발이고 야드는 팔이다. 키가 182인 사람이 자기 신장을 기준으로 야드를 정해놔서 키가 작은 사람은 손해를 본다. 귀납과 연역을 함께 쓴다면 미터법과 파운드법을 함께 쓰는 격이다.


    의사소통의 혼선으로 잘 날아가던 우주선이 폭발하는 수가 있다. 둘 중에 하나를 택하라면 미터법이다. 미터는 지구둘레가 기준이므로 통밥으로 때려도 대충 견적이 나와준다. 파운드법으로 가면 길이를 재는 다우, 인치, 피트, 야드, 체인, 퍼롱, 마일, 리그에 부피와 질량까지 스물한 가지 척도가 더 있다.


    때로는 귀납이 편하지만 연역으로 기준을 통일해야 한다. 또는 연역으로 뒤집어 다시 점검해야 한다. 때로는 속성의 판단이 편하지만 관계로 보는 훈련이 필요하다. 속성은 구조론이 아니기 때문이다. 때로는 주먹구구가 빠르지만 그것은 수학이 아니다. 한 줄에 꿰어 사건의 전모를 보는 훈련을 해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8.28 (04:02:37)

"하나의 기준으로 일관되게 판단하려면 관계로 봐야 한다. 그러므로 속성에 따른 판단은 배척한다."

http://gujoron.com/xe/1118028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42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404
2344 모든 것의 출발점 image 5 김동렬 2011-08-02 12760
2343 노혜경 뜨고 추미애 진다 image 김동렬 2003-12-01 12761
2342 왜 철학하는가? image 김동렬 2017-04-18 12761
2341 이라크전 묻고 답하기 김동렬 2004-06-25 12762
2340 구조론은 대폭발이론이다. image 1 김동렬 2017-03-02 12774
2339 [단상] 자투리 이야기들 김동렬 2006-12-07 12776
2338 돈오돈수란 무엇인가? image 1 김동렬 2012-10-27 12781
2337 서프, 어디로 가는가? 김동렬 2004-07-02 12784
2336 우주의 근본문제 image 김동렬 2017-05-31 12785
2335 경제 깝치기 없기다 김동렬 2004-11-17 12788
2334 세상은 대칭이다 image 김동렬 2017-06-06 12788
2333 조응 - 예술이란 무엇인가? image 8 김동렬 2013-01-03 12789
2332 노무현이 골든골을 쏜다 김동렬 2002-10-19 12789
2331 생각에 옷을 입혀라 image 김동렬 2017-02-03 12792
2330 구조론적 상황 image 1 김동렬 2017-03-29 12792
2329 노무현대통령의 의제선정에는 뭔가가 있다 김동렬 2004-09-10 12794
2328 에너지를 일으켜라 image 1 김동렬 2017-09-13 12794
2327 딜레마를 받아들여라 image 김동렬 2017-07-03 12797
2326 노무현의 당선가능성에 대한 냉정한 평가 김동렬 2002-10-16 12798
2325 최순실 구조론 image 김동렬 2017-01-13 12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