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2]id: ░담░담
read 7858 vote 0 2010.08.30 (21:53:19)

국민명령 성공, 단일정당은 사석

누군가는 나서 줘야 했다.

문성근이 주먹을 쥐어 높이 들었다
반갑다. 고맙다. 좋다. 본다. 다가선다. 그러다가 이크... 문짝, 님 마저 정당타령이신가.
(실패해도 또 가보시겠다면 가봐야 한다. 나도 기꺼이 동참하겠다. 문성근도 백만송이도 다 가보는 것이 맞다. 머리가 모자라서 손발이 고생하는 것이 아니라, 손발이 고생 안해서 머리가 안 좋은 것이다. 고생이 필요하다면 더 가혹한 실패도 기꺼이 겪는게 맞다)

국민명령 성공이다. 나서주는 것만으로 성공이다.

지금 대한민국이 어찌되고 있는 것인가. 여기 뭐가 보이는가. 쥐박이들,짐승들이 보인다. 국민명령에 불복종하는 강하지만 흉악한 넘들이 보인다. 이건 온 국민이 다 보고 있는 것이다. 흉악하다. 그런데 강하다. 누구하나 후련하게 나서주지 않는다. 그런데, 주먹을 들어 주는 이가 있다. 고맙다. 그러나 "왜"가 없다면, 행동 함과 동시에 실패다. 처절하게 좌절과 만나게 된다.

지금 이명박들의 불복종은 정치인이나 정당의 문제가 아니다. 우리나라 정치는 나름 진도를 나갔다. 일본보다는 한 백년은 앞서있다. 후진 건 언론이다. 이 넘들이 백년전 그대로다. 백년전의 의식구조를 지닌 넘들이 죽지는 않고 백만배쯤 강해져서 있는 것이다. 후진 언론이 앞서 나가려던 정치를 후진 시킨 것이다. 그것이 지금의 대한민국이다.

언론이 문제가 있다. 언론이 이리 저리 잘 해줘야 한다. 뭐 이런 이야기를 하려는 것이 아니다.
언론이 없다.

국민명령의 입과 귀와 눈인 언론이 없다. 발과 주먹인 언론이 없다.
언론이 없는데, 또정당타령이 뭔 소리냔 말이다. 중복이고, 반복이며, 재탕이다. 에너지가 밀려오지 않는다.
노짱의 정치마라는 말씀이 그냥 나온 거 아니다.

국민명령! 좋다. 성공이다. 이것이 본 글의 주장이다.
국민명령이다.
정당타령 안 먹힌다고 엄한 국민 탓 하려는 넘들에게 휘둘리지 마시라.
맞는 소리는 맞는 소리라도, 안되는 일은 안되는 것이다.
정당타령엔 에너지가 없다. 안되는 프로젝 붙잡고 진빼지도 마시라.

척해서 파박오지 않으면, 국민명령이 무엇인지 다시 스캔하는게 맞다.
정당타령이던 뭐던 일단 시작하는 것은 좋다.
그러나, 이 난리는 언론을 낳아야 수습이 된다. 끝을 본다.
인두껍에 언론탈만 쓰고 언론입네 하는 것들은 다 두들길 프로젝을 콤보로 준비해 줘야 한다.

국민 직접투표권이 시퍼렇게 살아있음에도 정치판이 이렇게 불손한 것은 국민이 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국민은 엄하고 싶다. 다만, 엄한 매질을 할 언론이 없을 뿐이다.

지금의 대한민국에 꼭 맞는 언론을 시작해야 한다.
집단지성이 해 줘야 한다.
집단지성이 곧 언론이기 때문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712 토고전 3대1로 이긴다에 걸었는데......그래도 좋아요... 1 아름드리 2006-06-14 6254
4711 홈플러스의 5천원짜리 생크림케익3호 image 7 심연 2010-12-12 6250
4710 안철수가 괴독먹사 2012-10-30 6226
4709 가입인사 2 달근 2006-08-04 6202
4708 어느 학원강사의 커밍아웃 (펌글) 9 르페 2012-05-26 6197
4707 머리털 나고 처음으로 재테크를 해 보다. 2 노매드 2010-06-19 6185
4706 가입했습니다......왜? sunbi 2006-08-20 6156
4705 옥수수의 조상 테오신테.. image 1 카르마 2011-12-03 6123
4704 야생동물과 교감하는 10살짜리 소녀 1 LPET 2009-12-14 6118
4703 동북아 민족 DNA 연구결과... 2 노란고양이 2009-12-11 6100
4702 유시민-김문수 맞장토론 2 양을 쫓는 모험 2010-05-15 6082
4701 문재인은 정치 못 한다 9 담 |/_ 2013-07-23 6079
4700 구조론 학습과정과 귀납법 4 해저생물 2013-04-09 6044
4699 2차대전 이탈리아 군대 13 pinkwalking 2014-11-30 6040
4698 첫 인사 2 JAY 2006-12-20 6040
4697 격려... 아름드리 2006-06-21 6026
4696 동렬님께. 토탈싸커 2006-03-04 6022
4695 글쓰기의 어려움 1 안티킴 2006-07-22 6015
4694 조선독립만세 3 김동렬 2011-03-01 5998
4693 김동렬/ 구조론 창시자 image 6 일벌 2013-01-10 5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