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093 vote 0 2019.08.20 (16:35:28)


    세상은 사건이다. 사건은 연결된다.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일어난다. 사건은 사물에 대해서 사건이다. 사물은 그저 존재한다. 사물은 낱낱이 조사해봐야 알 수 있지만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서로 연결되므로 하나를 알면 열을 알 수 있다. 머리를 알면 꼬리를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희망적이다.


    세상은 에너지다. 에너지는 계를 이룬다. 에너지는 계에 갇히므로 통제할 수 있다. 에너지는 물질에 대해서 에너지다. 물질은 형태가 있으므로 낱낱이 조사해봐야 알 수 있지만 에너지는 형태가 없는 대신 계를 이루고 입력과 출력이 있으므로 에너지의 입구와 출구를 틀어막으면 계 안에서 법칙대로 간다.


    세상은 구조다. 구조는 얽혀 있다. 공간과 시간이 얽혀 있으므로 공간을 알고 시간을 헤아릴 수 있으며 시간을 알고 공간을 헤아릴 수 있다. 구조의 공간과 시간 중에서 하나를 알면 나머지 하나를 추적할 수 있다. 구조는 속성에 대해서 구조다. 물질은 고유한 속성이 있지만 에너지는 보편적 구조가 있다.


    물질의 속성은 물질마다 다르다. 소금은 짜고 설탕은 달다. 구조는 만유가 동일한 플랫폼을 사용하므로 다르지 않다. 모든 구조는 대칭을 쓴다. 대칭은 둘이 쌍을 이룬다. 이쪽에 없으면 반드시 저쪽에 있다. 이쪽과 저쪽의 대칭이다. 거리를 좁히면 속도가 빨라진다. 거리를 잃고 대신 속도를 얻은 것이다.


    이것이 일어서면 저것도 일어선다. 이것이 사라지면 저것도 사라진다. 이것과 저것 안에 있으므로 우리는 추적할 수 있다. 세상은 사물이 아니고 물질이 아니고 속성이 아니다. 그러므로 낱낱이 추적할 필요가 없다. 세상은 사건이고 에너지고 구조다. 만유는 대칭이라는 하나의 플랫폼을 사용한다.


    최소작용의 원리에 따라 에너지는 효율성을 따르고 엔트로피의 원리를 따라 일방향성을 가지므로 우리는 사건에 개입할 수 있고 에너지를 통제할 수 있다. 구조를 조작할 수 있다.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일어난다. 꼬리와 꼬리 사이에 마디가 있다. 그사이에 완전성이 있다. 시작점과 끝단이 있다.


    머리와 꼬리가 있다. 엔진과 바퀴가 있다. 기관차와 객차가 있다. 그 마디들 사이에 개입하여 통제할 수 있다. 하나를 알아서 열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희망적이다. 세상이 딱딱하게 고착된 물질이 아니라 부드럽고, 움직이는 사건이고, 에너지고, 구조이고, 대칭이라는 점은 인류에게 좋은 소식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8.22 (04:47:37)

"세상이 딱딱하게 고착된 물질이 아니라 부드럽고, 움직이는 사건이고, 에너지고, 구조이고, 대칭이라는 점"

http://gujoron.com/xe/1116282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1818
2486 깨달음의 족보 김동렬* 2012-10-21 8095
2485 관계를 깨달음 2 김동렬* 2012-10-21 9015
2484 관계를 깨달음 김동렬* 2012-10-21 8701
2483 깨달음은 이미지다 김동렬* 2012-10-21 9252
2482 깨달음은 스타일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720
2481 폐경이 있는 이유 image 김동렬* 2012-10-21 8975
2480 깨달음은 관계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626
2479 깨달음 ~ Z까지 김동렬* 2012-10-21 9382
2478 깨달음 A에서 김동렬* 2012-10-21 9415
2477 끽다거 김동렬* 2012-10-21 9108
2476 김기덕 감독 image 김동렬* 2012-10-21 8075
2475 약한 고리의 힘 김동렬* 2012-10-21 8992
2474 영성과 이성 image 김동렬* 2012-10-21 8996
2473 달이 뜨다 김동렬* 2012-10-21 8636
2472 삼성의 소행, 성공한 도둑질인가? image 김동렬* 2012-10-21 8710
2471 SM, YG, JYP image 김동렬* 2012-10-21 9141
2470 관계로 세상을 바꾼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246
2469 구조로 본 관성의 법칙 image 김동렬* 2012-10-21 9133
2468 구조론은 선택게임이다. 김동렬* 2012-10-21 8808
2467 구조로 본 블레이크와 볼트 김동렬* 2012-10-21 90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