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141 vote 0 2019.08.20 (16:35:28)


    세상은 사건이다. 사건은 연결된다.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일어난다. 사건은 사물에 대해서 사건이다. 사물은 그저 존재한다. 사물은 낱낱이 조사해봐야 알 수 있지만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서로 연결되므로 하나를 알면 열을 알 수 있다. 머리를 알면 꼬리를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희망적이다.


    세상은 에너지다. 에너지는 계를 이룬다. 에너지는 계에 갇히므로 통제할 수 있다. 에너지는 물질에 대해서 에너지다. 물질은 형태가 있으므로 낱낱이 조사해봐야 알 수 있지만 에너지는 형태가 없는 대신 계를 이루고 입력과 출력이 있으므로 에너지의 입구와 출구를 틀어막으면 계 안에서 법칙대로 간다.


    세상은 구조다. 구조는 얽혀 있다. 공간과 시간이 얽혀 있으므로 공간을 알고 시간을 헤아릴 수 있으며 시간을 알고 공간을 헤아릴 수 있다. 구조의 공간과 시간 중에서 하나를 알면 나머지 하나를 추적할 수 있다. 구조는 속성에 대해서 구조다. 물질은 고유한 속성이 있지만 에너지는 보편적 구조가 있다.


    물질의 속성은 물질마다 다르다. 소금은 짜고 설탕은 달다. 구조는 만유가 동일한 플랫폼을 사용하므로 다르지 않다. 모든 구조는 대칭을 쓴다. 대칭은 둘이 쌍을 이룬다. 이쪽에 없으면 반드시 저쪽에 있다. 이쪽과 저쪽의 대칭이다. 거리를 좁히면 속도가 빨라진다. 거리를 잃고 대신 속도를 얻은 것이다.


    이것이 일어서면 저것도 일어선다. 이것이 사라지면 저것도 사라진다. 이것과 저것 안에 있으므로 우리는 추적할 수 있다. 세상은 사물이 아니고 물질이 아니고 속성이 아니다. 그러므로 낱낱이 추적할 필요가 없다. 세상은 사건이고 에너지고 구조다. 만유는 대칭이라는 하나의 플랫폼을 사용한다.


    최소작용의 원리에 따라 에너지는 효율성을 따르고 엔트로피의 원리를 따라 일방향성을 가지므로 우리는 사건에 개입할 수 있고 에너지를 통제할 수 있다. 구조를 조작할 수 있다.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일어난다. 꼬리와 꼬리 사이에 마디가 있다. 그사이에 완전성이 있다. 시작점과 끝단이 있다.


    머리와 꼬리가 있다. 엔진과 바퀴가 있다. 기관차와 객차가 있다. 그 마디들 사이에 개입하여 통제할 수 있다. 하나를 알아서 열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희망적이다. 세상이 딱딱하게 고착된 물질이 아니라 부드럽고, 움직이는 사건이고, 에너지고, 구조이고, 대칭이라는 점은 인류에게 좋은 소식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8.22 (04:47:37)

"세상이 딱딱하게 고착된 물질이 아니라 부드럽고, 움직이는 사건이고, 에너지고, 구조이고, 대칭이라는 점"

http://gujoron.com/xe/1116282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27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093
2343 황선홍과 비뚤어진 한국인들 김동렬 2023-10-08 4208
2342 섹스의 사유화 경향 3 김동렬 2019-04-30 4208
2341 여포의 배신 윤석열 김동렬 2021-11-06 4206
2340 마음은 바다를 건넌다 2 김동렬 2019-02-14 4205
2339 혼노지의 변 김동렬 2021-02-16 4203
2338 내시균형 엔트로피 구조론 3 김동렬 2023-04-04 4202
2337 길 힘 법 김동렬 2023-06-06 4201
2336 있음과 없음[수정] 10 김동렬 2019-05-09 4200
2335 넷플릭스 영화 화이트 타이거 3 김동렬 2021-02-21 4199
2334 지금은 철학할 때다 2 김동렬 2019-04-04 4199
2333 표창원의 적전도주 1 김동렬 2020-05-25 4196
2332 공유마의 법칙 김동렬 2023-06-09 4195
2331 힘과 운동에 대하여 2 김동렬 2018-09-21 4195
2330 오마이 한겨레 경향의 배신 이유 1 김동렬 2024-01-12 4194
2329 진중권 윤석열 타락의 이유 김동렬 2020-12-17 4191
2328 보편성과 특수성, 일반성과 다양성 김동렬 2020-12-31 4190
2327 확률을 믿어라 2 김동렬 2018-11-28 4190
2326 백인 우월주의가 이스라엘 야만성 본질 김동렬 2023-10-19 4189
2325 레깅스가 민망하다? 1 김동렬 2019-04-07 4188
2324 인생의 철학 1 김동렬 2018-12-25 4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