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8]아제
read 1575 vote 0 2019.08.15 (17:09:55)

몬티홀 이야기가 또 나오누나.

너무나 단순한 문제라 구조론에서도 한번 하고 걷었었는데..


근데 챠우님 문제제기를 자세히 보니 몬티홀 재방송이 아니더라.

<계>를 말하고 있고..<분모>의 변화를 이야기하고 <언어>의 한계를 짚는 것이렸다.


뭐 그건 챠우님이 알아서 하는 것으로 하고 몬티홀 문제는 확률 문제다.

아제는 중딩때 확률을 배우고 유레카~라고 외쳤다.(요즘은 초등부터 시작한다 하더만..)


불확실성과 확실성의 관계를 알아버린 것.

원소는 불확실하고 집합은 확실하다.

잉? 말하다 보니..확률은 어디가고 집합론이(역시 계의 문제구먼)


확률이란 모호한 것이 아니라 확실한 것이다.

모호한 이유는 당신의 입장에서 그런 것이고 확률은 수학이 맞다.

여기에 없으면 반드시 저기에 있다..는 것이 확실성이다.


확률은 0 과 1 사이에서 노는 것이다. 다른 숫자는 없다.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것이 확률이다.

확률에서 1 이란 100%를 말한다.100%란 확실성이다,절대성이다.


0%와 100%. 그 사이에서의 변화. 그것이 사건이며,인생이다.

그것을 깨닫고 앗싸~ 내가 다먹었어! 라고 느낀 것이다.

아니, 이겼다..가 아니라 절대 지지않는다는 확신이 선 것.


절대 야바위에 속지 않는다.는 것을 확신했다는 것.

그것을 확률과 기댓값이라는 단순한 중딩 학습과정에서 터득한 것.

기댓값이라는 것은 확률의 응용이다. 세상에 나가도 된다는 막강한 무기.


야바위로는 나를 속일 수 없다.세상은 야바위다.

세상이 선택을 강요하며 야바위를 걸면 나는 기댓값을 계산해 버린다.

요즘말로 <가성비>를 도출해 대응한다는 뜻이다.


근데 어차차..소년의 유레카는 야바위를 이기지 못했다.

완전 털렸다.야바위는 단순수학 확률이 아니었다.

확률로 미끼를 던져놓고 상부구조의 (세력)으로 탈탈 털어버린다.


각설하고 몬티홀 문제로 돌아가자.


사회자는 모든 정보를 알고 있다. 

근데 플레이어가 선택을 하고 나면 <꽝>인 다른 문을 열어서 보여준다.

이거 이상한 경우다.


야바위꾼이 선택 뒤에 <꽝>인 다른 카드를 뒤집어 보여주는가?

그리고 선택을 바꾸겠냐고 물어보는가?

꾼,자신의 손해다.그것은 플레이어에게는 굉장한 이익이란 뜻이다.


근데 몬티홀의 사회자는 그렇게 한다.플레이어에게 이익되는 데도 말이다.

그건 방송이기 때문이다.빨리 끝내면 안되기 때문이고 시청자에게 재미를 줘야하기 때문이다.

본의 아니게 사회자는 플레이어 편에 선 셈이다. 확률을 높혀줘 버린 것이며 바꾸라는 신호인 셈이다.


하답다워 이런 우화같은 설명을 하는 것인데.

아니? 꽝을 빼주는데 당연히 기댓값이 달라지지..바꾸라구..신호를 줘도 참..나.

너무 뻔한 문제라 말하기 그렇다.


차라리 이건 어떤가.


자동차가 두 대이고 염소가 한 마리다.

사회자는 염소의 문을 열어주는 게 아니라 자동차가 있는 문을 열어 준다.

바꾸겠는가? 절대로 바꾸면 안된다.


앞의 문제는 바꾸어야 확률이 높고, 뒤의 문제는 바꾸지 않아야 확률이 높다.

그렇다면 아제가 새로운 골칫거리를 만들어 보자.

앞의 상황과 뒤의 상황에서 어느 쪽이 자동차를 획득할 확률이 높을까? 같을까?


======


0 과 1 사이.

당신은 아무리 잘해도 1 안에 있고,

아무리 못해도 0보담 크다.


그 안에서 안심하라.

확률은 안심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128
2113 무한과 연속성의 차이 chow 2023-01-12 1075
2112 냉전 이후 자본주의와 디지털 혁신 dksnow 2023-01-16 1075
2111 삼성과 남한 dksnow 2022-05-27 1080
2110 구조론의 응용 dksnow 2022-04-07 1116
2109 다이아몬드는 왜 가치가 있는가? chow 2022-05-29 1118
2108 생명로드55 - 기후위기시대의 문법을 생각한다 수원나그네 2020-04-12 1135
2107 21세기 진보 dksnow 2022-04-25 1139
2106 손잡이의 원리 2 chowchow 2022-05-20 1147
2105 곡성과 라쇼몽, 아킬레스와 거북이, 상대성이론 chow 2022-05-31 1151
2104 선거 후기 1 레인3 2022-06-02 1160
2103 생명로드50- 지구촌 '마더'를 만드는 길 image 수원나그네 2019-12-10 1161
2102 밖이 답이지만 그 밖은 우리가 찾아나서야 한다. 현강 2020-08-14 1166
2101 구조론 목요모임(서울역) image 오리 2020-07-23 1168
2100 움직이면 시간이 천천히 간다? chow 2022-05-28 1169
2099 구조의 확장 현강 2020-01-07 1178
2098 관계와 관측 그리고 사건 현강 2020-08-09 1179
2097 문명은 하나 dksnow 2022-05-03 1180
2096 외력을 맞이하는 관점을 비틀기. 현강 2020-08-05 1188
2095 노동운동의 문제 image 1 chowchow 2022-05-01 1190
2094 진리에 대한 주저리 1 다음 2020-07-26 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