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7]현강
read 1811 vote 0 2019.07.31 (23:04:15)

구조 모형-1.png




구조 모형-2.png

구조 모형-3.png

구조 모형-4.png

인간이 사유할 수 있는 방법은 '토대의 공유(상부구조)가 대칭(하부구조)에 우선한다' 결국 이것뿐이다.

뇌가 자연의 무언가를 복제한다는 것은 둘과 둘 사이에 대칭을 세운다는 뜻이다.

어째서 그 단계의 대칭을 세운것이냐 하면 더 윗단계의 공유되는 토대까지는 분류해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예컨대 뇌가 사실판단까지만 내린 건 상부구조인 의미를 대칭으로 옳고 그름을 분류해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인간이 사유할 수 있는 대칭의 최종보스는 무엇인가? 

모든 사유가 공유하고 있는 토대 말이다.

그것은 위 그림들에서와 같이, 중첩이 대칭을 포함하는 관계이냐 그 역방향이냐 뿐이다.

대칭은 인간의 사정이고 중첩은 자연의 원본이다.

즉 인간 사유의 한계치는 '토대의 공유로부터 대칭을 세우는 쪽으로만 진행할 수 있음'이다.


이러한 순방향을 칭하는 언어가 없으니 상부구조에서 하부구조로의 일방향성 자체를 의사결정 혹은 에너지라 칭해도 좋을 것이다.

그 반대는 어차피 사유 자체가 불가능하니(복제 불능) 이 우주의 방식이 아니므로 알러지라 하든 알레르기라 하든 우리가 알 바 아니다.


얼마 전 깨달음의 대화 댓글로 동렬님께서 모형을 제시해보라고 하셔서 시도해보았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9.08.01 (16:37:02)

왜 귀납을 연역이라고 주장하는지 모르겠네요?

맞다/틀리다 이런 표현은 구조론 용어이므로 구조론의 규칙대로 써야 합니다.

그냥 일상용어라고 생각한다면 곤란합니다. 


인간은 원리판단을 먼저 하고 다음 개념판단 가치판단 의미판단 사실판단을 합니다.

다만 원리, 개념, 가치, 의미는 대개 뇌 안에서 프로그래밍 되어 있기 때문에 자각하지 못하는 거지요.


사실판단을 먼저 하는게 아니고 사실판단은 다른 사람에게 말하기 쉽기 때문에 

즉 원리를 설명하는 용어가 아예 없기 때문에 말할 언어가 없어서 그냥 넘어가는 겁니다. 


저는 그것을 꼬치꼬치 다 말하지 않으면 기분이 나빠지기 때문에 말하는 거구요.

보통은 나 왔다 하지 여차여차 해서 왔다고 꼬치꼬치 말하지 않습니다.


말 안해도 눈치코치로 대략 알아먹으니까 대충 넘어가는 거지요.

그러나 그걸 굳이 시시콜콜 말하는 사람이 있는데 바로 접니다.


그리고 과학과 같은 엄밀한 영역에서는 그것을 다 말하지 않으면 안 되는 거구요. 

그냥 사슴이다 해야지 나의 눈동자 망막에 사슴으로 추정되는 피사체가 하나 진입했어.


이따위로 말하는 사람과는 아무도 사귀려고 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런데 과학은 원래 그런 식으로 고리타분하게 말해야 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052 강남갑 맘카페 근황 image 4 승민이 2020-04-17 3020
5051 민주당 승리(?) 에---협조해 준, X트라 몇 분이 생각난다. 해안 2020-04-16 1793
5050 저질이 체질 이금재. 2020-04-16 1796
5049 서비스 혁신의 본질 이금재. 2020-04-16 1405
5048 구조론 목요모임(필수인력,3층에서 진행) image 오리 2020-04-16 1382
5047 용어의 선택..."동원" kilian 2020-04-16 1456
5046 온라인 교육과 위키 사이트 mowl 2020-04-15 1377
5045 미국이 이런 신종-바이러스에 대처하기가 어렵거나 약한 이유 1 해안 2020-04-12 1787
5044 신, 느낌은 알지만 정확하게는 모르는 이금재. 2020-04-11 2256
5043 흑사병, 징기스칸, 르네상스 이금재. 2020-04-11 2128
5042 그림의 리얼리즘 image 1 이금재. 2020-04-10 2227
5041 김종인의 큰뜻 image 5 승민이 2020-04-09 2345
5040 구조론 목요모임(필수인력, 3층에서 모임 진행) image 오리 2020-04-09 1346
5039 강원도 재보궐 총선 흥미진진하네요 승민이 2020-04-08 1388
5038 KBS 기자들 초등수학 공부부터 다시 해야할 듯 image 2 슈에 2020-04-06 1921
5037 달의 추락? 1 서단아 2020-04-04 1949
5036 페스트와 코로나 그리고 이상기온 이금재. 2020-04-03 1741
5035 구조론 목요모임(필수인력) image 오리 2020-04-02 1317
5034 남산공원의 전신 image 1 dksnow 2020-04-01 1685
5033 부울경은 참 힘드네요 6 승민이 2020-03-29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