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690 vote 0 2019.07.22 (16:51:23)


    모든 존재는 운동한다.


    운동하는 존재는 공간을 더 많이 차지한다.


    특수하게 얽혀 운동하면 공간을 절약한 만큼 효율성을 얻는다.


    사건은 닫힌계 안에서 1회의 에너지 작용에 따른 전개이며 그 효율성을 소비하여 상대적인 에너지 우위로 의사결정한다.


    모든 사건은 효율성을 상실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전체의 우위에서 대결하고 있는 부분의 우위로 옮겨가는 과정에서 전체의 우위가 사라진다.


    효율성을 잃는 대신 어떤 결과를 얻는 것이 일이다.


    전체적으로는 효율성을 소비하여 비효율로 가지만 국소적으로 상대적인 효율성에 따른 에너지의 우위가 일어나는 지점이 있다.


    국소에서의 상대적인 효율성은 질, 입자, 힘, 운동, 량으로 5회에 걸쳐 일어난다.


    더 효율적인 위치인 질에서 덜 효율적인 입자로, 입자에서 힘으로, 힘에서는 운동으로, 운동에서 량으로만 갈 수 있다.


    질에서 입자와 힘과 운동을 거쳐 양으로 가는 동안 상대적인 효율성이 발생하는 범위는 점차 국소화되어 공간적으로 좁혀진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5회에 걸쳐 사건은 닫힌계를 조직하며 외부에서 추가적인 에너지 유입이 없으므로 엔트로피는 5회에 걸쳐 항상 증가한다.


    엔트로피 증가는 사건 전체로도 일어나지만 하나의 사건 안에서 세부적으로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5회에 걸쳐 성립한다.


    질의 입자에 대한 상대적인 효율성을 소비하는 형태는 질에서 입자로의 전개밖에 없으므로 사건의 다음 단계를 예측할 수 있다.


    질의 상태에 있는 사건은 입자상태의 사건에 대해 보다 효율적이며 그 효율을 소비하면 입자상태로 바뀌어 더 이상 질의 효율을 쓸 수 없다.


    질의 효율을 소비하여 입자로 바뀌고 입자의 효율을 소비하여 힘으로 바뀌는 패턴을 5회 일으킨다.


    사건은 질에서 입자와 힘과 운동을 거쳐 량까지 가면서 효율성을 완전히 소비한다.


    량에서 효율성은 완전히 소비되어 상대적으로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한 부분이 없으므로 외력의 작용 없이 사건은 더 이상 전개될 수 없다.


    량보다 운동이, 운동보다 힘이, 힘보다 입자가, 입자보다 질이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


    물질은 질에서 입자와 힘과 운동을 거쳐 량으로 가면서 차지한 공간을 내놓는다.


    외부의 개입 없이 저절로 뭐가 되었다면 그 원인은 구조의 효율성이다. 존재는 그 효율성을 소비하는 형태로 일한다. 효율성은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일하면 효율성을 소비하여 더 적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한 존재가 그 공간을 잃으면서 일할 수는 있어도 그 역은 없다. 그 이유는 그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더 적은 공간을 차지한 쪽은 공간을 많이 차지한 쪽에 작용할 공간이 없다. 작용하려면 움직여야 하고 움직이려면 빈 공간이 있어야 하는데 공간이 없어 작용하지 못한다. 이것이 엔트로피의 법칙이다. 구조론은 하나의 사건 안에서 질 입자 힘 운동 량에 걸쳐 5회의 효율차이에 따른 에너지 낙차와 엔트로피가 성립한다는 거다. 비유하면 다섯 식구가 각자 방을 하나씩 차지하고 사는 집과 방 하나를 다섯식구가 공동으로 쓰면서 남는 방 넷을 임대료를 받고 세를 놓는 집이 있다면 방 하나를 공동으로 쓰는 집이 더 이득을 본다는 말이다. 이때 한 방에 몰려 있던 식구들이 빈 방을 하나씩 채우면서 움직여 그 움직인 만큼 일한다. 일을 하면 다섯 개의 방을 모두 채우게 되어 더 이상 일할 수 없다. 엔트로피가 최대화 되는 것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7.23 (03:54:49)

"외부의 개입 없이 저절로 뭐가 되었다면 그 원인은 구조의 효율성이다. 존재는 그 효율성을 소비하는 형태로 일한다."

http://gujoron.com/xe/1108207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9380
6825 소크라테스 김동렬 2024-05-11 1018
6824 방시혁 민희진 윤석열 이준석 김동렬 2024-05-10 1523
6823 프레임을 극복하라 김동렬 2024-05-10 958
6822 일본과 독일의 성공 이유 김동렬 2024-05-09 1458
6821 직관론 김동렬 2024-05-08 952
6820 이성과 감성 김동렬 2024-05-07 1066
6819 신임을 잃었으면 물러나야 한다 1 김동렬 2024-05-06 1464
6818 마동석의 성공 방정식 김동렬 2024-05-05 1378
6817 삼국사기 초기기록 불신론 김동렬 2024-05-04 1132
6816 순진한 한국인들 김동렬 2024-05-03 1592
6815 인류의 차원 도약 김동렬 2024-05-03 950
6814 인간은 언제 죽는가? 1 김동렬 2024-05-02 1668
6813 근본문제 김동렬 2024-05-01 1116
6812 헤어질 결심 - 한국 지식인의 저급함 김동렬 2024-05-01 1723
6811 문화혁명의 진실 김동렬 2024-04-30 1312
6810 진리의 문 김동렬 2024-04-29 1051
6809 박찬욱과 헤어지기 김동렬 2024-04-29 1291
6808 대구와 광주의 차이 김동렬 2024-04-29 1181
6807 공자 외에 사람이 없다 김동렬 2024-04-27 1350
6806 방민전쟁. 선수들끼리 왜 이러셔. 1 김동렬 2024-04-26 2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