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183 vote 0 2019.07.22 (16:51:23)


    모든 존재는 운동한다.


    운동하는 존재는 공간을 더 많이 차지한다.


    특수하게 얽혀 운동하면 공간을 절약한 만큼 효율성을 얻는다.


    사건은 닫힌계 안에서 1회의 에너지 작용에 따른 전개이며 그 효율성을 소비하여 상대적인 에너지 우위로 의사결정한다.


    모든 사건은 효율성을 상실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전체의 우위에서 대결하고 있는 부분의 우위로 옮겨가는 과정에서 전체의 우위가 사라진다.


    효율성을 잃는 대신 어떤 결과를 얻는 것이 일이다.


    전체적으로는 효율성을 소비하여 비효율로 가지만 국소적으로 상대적인 효율성에 따른 에너지의 우위가 일어나는 지점이 있다.


    국소에서의 상대적인 효율성은 질, 입자, 힘, 운동, 량으로 5회에 걸쳐 일어난다.


    더 효율적인 위치인 질에서 덜 효율적인 입자로, 입자에서 힘으로, 힘에서는 운동으로, 운동에서 량으로만 갈 수 있다.


    질에서 입자와 힘과 운동을 거쳐 양으로 가는 동안 상대적인 효율성이 발생하는 범위는 점차 국소화되어 공간적으로 좁혀진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5회에 걸쳐 사건은 닫힌계를 조직하며 외부에서 추가적인 에너지 유입이 없으므로 엔트로피는 5회에 걸쳐 항상 증가한다.


    엔트로피 증가는 사건 전체로도 일어나지만 하나의 사건 안에서 세부적으로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5회에 걸쳐 성립한다.


    질의 입자에 대한 상대적인 효율성을 소비하는 형태는 질에서 입자로의 전개밖에 없으므로 사건의 다음 단계를 예측할 수 있다.


    질의 상태에 있는 사건은 입자상태의 사건에 대해 보다 효율적이며 그 효율을 소비하면 입자상태로 바뀌어 더 이상 질의 효율을 쓸 수 없다.


    질의 효율을 소비하여 입자로 바뀌고 입자의 효율을 소비하여 힘으로 바뀌는 패턴을 5회 일으킨다.


    사건은 질에서 입자와 힘과 운동을 거쳐 량까지 가면서 효율성을 완전히 소비한다.


    량에서 효율성은 완전히 소비되어 상대적으로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한 부분이 없으므로 외력의 작용 없이 사건은 더 이상 전개될 수 없다.


    량보다 운동이, 운동보다 힘이, 힘보다 입자가, 입자보다 질이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


    물질은 질에서 입자와 힘과 운동을 거쳐 량으로 가면서 차지한 공간을 내놓는다.


    외부의 개입 없이 저절로 뭐가 되었다면 그 원인은 구조의 효율성이다. 존재는 그 효율성을 소비하는 형태로 일한다. 효율성은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일하면 효율성을 소비하여 더 적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한 존재가 그 공간을 잃으면서 일할 수는 있어도 그 역은 없다. 그 이유는 그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더 적은 공간을 차지한 쪽은 공간을 많이 차지한 쪽에 작용할 공간이 없다. 작용하려면 움직여야 하고 움직이려면 빈 공간이 있어야 하는데 공간이 없어 작용하지 못한다. 이것이 엔트로피의 법칙이다. 구조론은 하나의 사건 안에서 질 입자 힘 운동 량에 걸쳐 5회의 효율차이에 따른 에너지 낙차와 엔트로피가 성립한다는 거다. 비유하면 다섯 식구가 각자 방을 하나씩 차지하고 사는 집과 방 하나를 다섯식구가 공동으로 쓰면서 남는 방 넷을 임대료를 받고 세를 놓는 집이 있다면 방 하나를 공동으로 쓰는 집이 더 이득을 본다는 말이다. 이때 한 방에 몰려 있던 식구들이 빈 방을 하나씩 채우면서 움직여 그 움직인 만큼 일한다. 일을 하면 다섯 개의 방을 모두 채우게 되어 더 이상 일할 수 없다. 엔트로피가 최대화 되는 것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7.23 (03:54:49)

"외부의 개입 없이 저절로 뭐가 되었다면 그 원인은 구조의 효율성이다. 존재는 그 효율성을 소비하는 형태로 일한다."

http://gujoron.com/xe/1108207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158 계 체 각 선 점 1 김동렬 2021-11-29 2930
1157 파인만의 설명법 1 김동렬 2021-05-31 2930
1156 다윈과 스펜서 1 김동렬 2019-11-23 2930
1155 존 듀이가 망친 서구 2 김동렬 2020-04-29 2928
1154 원인과 결과 사이 1 김동렬 2019-12-31 2928
1153 에너지의 이해 1 김동렬 2018-11-15 2928
1152 존재는 에너지 + 관계다. 1 김동렬 2020-09-03 2927
1151 인류원리 5 김동렬 2023-09-26 2926
1150 참교육으로 갈아타자 1 김동렬 2020-04-29 2926
1149 구조의 발견 1 김동렬 2020-06-11 2925
1148 민중의 백기완 김동렬 2021-02-15 2924
1147 양자역학의 즐거움 image 김동렬 2021-09-27 2923
1146 불변의 이데아, 변화의 구조론 김동렬 2021-08-24 2923
1145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김동렬 2021-04-05 2923
1144 구조론은 세상을 구조로 설명한다. 김동렬 2021-01-04 2922
1143 프레임을 깨는 사고 김동렬 2022-09-23 2921
1142 향원을 토벌하라 김동렬 2020-12-06 2919
1141 구조론은 도구다 1 김동렬 2019-10-28 2919
1140 순진한 한국인들에게 고함 김동렬 2022-10-25 2916
1139 질 입자 힘 운동 량 김동렬 2021-10-31 2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