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read 1365 vote 0 2019.07.22 (16:01:16)

자유방임보다 독재가 낫고, 독재보다 민주주의 낫고, 민주주의보다 더 나은 것은 없으나 적어도 시민들의 수준을 높게 만들 지도자는 필요하다. 이것을 학급에 적용하면, 애들에게 사랑을 갈구하고 끌려다니다가 교육기능을 상실하는 교사의 학급보다는 강력한 리더십으로 학급을 이끄는 카리스마있는 교사가 낫고, 홀로 카리스마를 발휘해서 1년치 밖에 효력없는 유통기한 교육보다는 학생자치로 학급 민주주의를 내실있게 이끄는 학급이 낫다. 그러나, 학생자치도 교사의 수준이 높지 못하면 중우정치와 다름없거나 논의는 풍성하나 교육이 산으로 가고, 성장의 방향이 없는 자기욕구 충족적 학급이 될 가능성도 높다. 고로 교사의 수준이 높아야 한다.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와 집단 역동에 대한 분석, 교육의 방향, 수준높은 에너지를 끌어오고 조절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한 가지 더 필요한데, 그것은 바로 교사들과의 동료성이다. 교사들과의 동료성이 확보되지 않는 교사는 수준높은 학생자치를 이룰 수 없다. 나아가 교사들의 수평적인 연대를 바탕으로 관리자의 전횡을 견제하고 합리적인 리더십을 지지할 수 있다면 학교 교육은 절로 된다. 만날 무슨 무슨 교육이 최고, 뭐하나만 되면 교육이 다 될 것처럼 말하는 것은 허상이다. 교육은 한줄로 꿰어 모두 연결할 수 있어야 교육이다. 변화와 성장이 이뤄진다. 이것 저것 도떼기 시장처럼 좋은 것을 다 모아놓는 혁신교육은 아무리 노력해도 힘만 든다. 교육의 성공은 좋은 것들의 조합이 아니라, 외부에서 에너지를 조달하고 집단의 에너지 흐름을 파악하여 운용하는, 공동체 구성원의 총체적 운영능력에 달려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079
1612 박씨 석씨 김씨 김동렬 2016-08-12 4815
1611 과학적 실재론 논쟁 image 1 다음 2021-06-03 4814
1610 질문.. 왜 전문가는 항상 틀릴까? 10 김동렬 2013-05-01 4812
1609 구조론 문제 33 김동렬 2012-12-23 4812
1608 나눗셈과 미분의 관계 image 2 chow 2022-08-09 4808
1607 제논의 역설, 무한급수, 미적분 image 1 이금재. 2020-05-21 4803
1606 유전자가 결정한다. 7 김동렬 2012-01-16 4797
1605 드라마 '더 글로리'와 ‘정순신 사태’가 교사에게 주는 의미는 image 2 이상우 2023-03-13 4795
1604 고추가와 거서간 1 김동렬 2016-07-01 4792
1603 노무현과 심형래 8 양을 쫓는 모험 2011-01-09 4787
1602 경주 신라방의 정체 image 1 김동렬 2015-12-31 4786
1601 전모를 보라. 6 아제 2010-02-08 4785
1600 진짜와 가짜 눈내리는 마을 2009-06-10 4779
1599 한국의 몰락 2 김동렬 2015-04-24 4778
1598 질문 - 젊은이를 위한 나라는 있다. image 7 김동렬 2013-01-15 4761
1597 화덕 하나 만들어 봅시다. image 3 김동렬 2017-02-06 4759
1596 무엇이 문제일까요? 5 김동렬 2013-07-02 4753
1595 아란도님의 질문에 대하여 5 김동렬 2009-03-17 4753
1594 꽃과 바위. 1 아제 2010-02-22 4747
1593 최신 심리치료 ACT, 하지만 갈 길이 아직 멀다. 2 오세 2012-03-11 4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