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381 vote 0 2019.07.21 (21:29:05)

    효율의 증가와 감소


    자연은 5로 되어 있다. 인간이 작위하여 만드는 것은 5가 아니다. 5는 시스템의 갖춤이다. 인간이 하는 일은 1에서 시작해서 2, 3, 4, 5로 상승한다. 5에 도달하면서부터 효율적으로 변한다. 그리고 갈수록 효율은 감소한다. 일한다는 것은 외부와 연결하여 관계를 맺는다는 것이며 관계를 맺으면 그 방향은 차단되고 새로 관계를 맺을 수 없다. 즉 일하면 일할 수 없다.

    멈춘 사람은 차를 탈 수도 있고 말을 탈 수도 있고 헤엄칠 수도 있다. 차를 탄 사람은 차에서 내리지 않고 즉 멈춰서지 않고 말을 타거나 헤엄칠 수 없다. 그러므로 일할수록 일할 수 없게 되어 결국 죽는다. 엔트로피 곧 무질서도의 증가다. 인간이 작위적으로 하는 일은 1로 시작하므로 점점 효율성이 증대된다. 아기보다 어린이가 낫고 어린이보다 소년이 낫다.

    소년보다 청년이 낫고 청년보다 장년이 낫다. 더 많은 관계를 맺을 수 있다. 그리고 하락이 시작된다. 효율성은 점차 감소한다. 바둑으로 치면 포석을 완성할 때까지 효율성은 증대된다. 그리고 점차 비효율적으로 된다. 그러므로 사건은 방향성이 있고 우리는 통제할 수 있다. 효율을 증대시킬 수도 있고 감소시킬 수도 있다. 상대보다 효율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상대가 1로 나오면 2로 이길 수 있다. 2가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내가 1로 도전했는데 상대가 빠르게 2로 나오면 그 부분을 포기하고 다른 곳에 새로 전단을 열고 선수를 치면 된다. 내가 포기한 1을 상대가 해치우지 않고 이쪽으로 쫓아오면 그 1과 연결하여 다시 살려내는 방법으로 우위에 설 수 있다. 여러 곳에 전단을 벌리고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5를 도출한다.

    이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전성기의 나폴레옹처럼 말이다. 적은 끊어져서 5가 되지 못하게 하고 아군은 연결하여 5를 이루는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하나의 사건 안에서 다섯 번 세부적인 효율성의 결정이 있다. 엔트로피 감소는 사건 전체로도 일어나지만 사건 안에서도 다시 다섯으로 쪼개진다. 다섯 번 엔트로피의 감소결정이 일어나는 것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7.23 (03:47:13)

"적은 끊어져서 5가 되지 못하게 하고 아군은 연결하여 5를 이루는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 http://gujoron.com/xe/1107946

[레벨:15]오민규

2019.07.23 (12:49:26)

많이 도움이 됐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22
1261 다윈이 틀렸다. 3 김동렬 2020-11-22 3079
1260 성선택설은 가짜다 2 김동렬 2020-03-20 3078
1259 우주의 제 1 지식 김동렬 2021-09-05 3076
1258 X세대는 노무현주의다 김동렬 2020-10-25 3076
1257 이재명의 위기대응팀은? 2 김동렬 2022-09-29 3075
1256 양자역학과 구조론 김동렬 2021-09-27 3075
1255 모아이의 진실 김동렬 2021-09-08 3075
1254 조국백서의 의미 2 김동렬 2020-08-12 3074
1253 죽음은 없다 1 김동렬 2021-09-07 3073
1252 노무현과 윤석열 김동렬 2022-09-21 3071
1251 노무현과 문재인의 운명 김동렬 2023-04-18 3070
1250 무한의 문제 김동렬 2021-07-10 3070
1249 이론적 확신의 힘 김동렬 2024-01-13 3067
1248 1은 없다. 2 김동렬 2019-10-25 3067
1247 촘스키의 타락 11 김동렬 2022-04-18 3063
1246 한국인의 집단자살 김동렬 2022-10-09 3060
1245 본질과 현상 그리고 만남 1 김동렬 2019-12-06 3060
1244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2 김동렬 2019-12-02 3059
1243 구조론은 사건의 플랫폼이다. 4 김동렬 2018-12-09 3059
1242 한국인이 잘해야 한다 김동렬 2022-11-05 3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