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151 vote 0 2019.07.21 (21:29:05)

    효율의 증가와 감소


    자연은 5로 되어 있다. 인간이 작위하여 만드는 것은 5가 아니다. 5는 시스템의 갖춤이다. 인간이 하는 일은 1에서 시작해서 2, 3, 4, 5로 상승한다. 5에 도달하면서부터 효율적으로 변한다. 그리고 갈수록 효율은 감소한다. 일한다는 것은 외부와 연결하여 관계를 맺는다는 것이며 관계를 맺으면 그 방향은 차단되고 새로 관계를 맺을 수 없다. 즉 일하면 일할 수 없다.

    멈춘 사람은 차를 탈 수도 있고 말을 탈 수도 있고 헤엄칠 수도 있다. 차를 탄 사람은 차에서 내리지 않고 즉 멈춰서지 않고 말을 타거나 헤엄칠 수 없다. 그러므로 일할수록 일할 수 없게 되어 결국 죽는다. 엔트로피 곧 무질서도의 증가다. 인간이 작위적으로 하는 일은 1로 시작하므로 점점 효율성이 증대된다. 아기보다 어린이가 낫고 어린이보다 소년이 낫다.

    소년보다 청년이 낫고 청년보다 장년이 낫다. 더 많은 관계를 맺을 수 있다. 그리고 하락이 시작된다. 효율성은 점차 감소한다. 바둑으로 치면 포석을 완성할 때까지 효율성은 증대된다. 그리고 점차 비효율적으로 된다. 그러므로 사건은 방향성이 있고 우리는 통제할 수 있다. 효율을 증대시킬 수도 있고 감소시킬 수도 있다. 상대보다 효율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상대가 1로 나오면 2로 이길 수 있다. 2가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내가 1로 도전했는데 상대가 빠르게 2로 나오면 그 부분을 포기하고 다른 곳에 새로 전단을 열고 선수를 치면 된다. 내가 포기한 1을 상대가 해치우지 않고 이쪽으로 쫓아오면 그 1과 연결하여 다시 살려내는 방법으로 우위에 설 수 있다. 여러 곳에 전단을 벌리고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5를 도출한다.

    이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전성기의 나폴레옹처럼 말이다. 적은 끊어져서 5가 되지 못하게 하고 아군은 연결하여 5를 이루는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하나의 사건 안에서 다섯 번 세부적인 효율성의 결정이 있다. 엔트로피 감소는 사건 전체로도 일어나지만 사건 안에서도 다시 다섯으로 쪼개진다. 다섯 번 엔트로피의 감소결정이 일어나는 것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7.23 (03:47:13)

"적은 끊어져서 5가 되지 못하게 하고 아군은 연결하여 5를 이루는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 http://gujoron.com/xe/1107946

[레벨:15]오민규

2019.07.23 (12:49:26)

많이 도움이 됐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2498 약한 고리는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2-10-21 8528
2497 관계란 무엇인가 ? image 김동렬* 2012-10-21 11284
2496 상호작용의 밀도를 높여라 image 1 김동렬* 2012-10-21 8578
2495 의미를 버리고 관계를 얻어라 김동렬* 2012-10-21 9367
2494 캐릭터의 족보 image 김동렬* 2012-10-21 8639
2493 완전성이란 무엇인가? image 김동렬* 2012-10-21 8681
2492 스타일은 자기다움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9108
2491 삶의 인과법칙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9157
2490 삶의 정답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389
2489 깨달음의 정답은 스타일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604
2488 깨달음에 정답은 있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572
2487 깨달음의 문학 image 김동렬* 2012-10-21 8853
2486 깨달음의 족보 김동렬* 2012-10-21 8067
2485 관계를 깨달음 2 김동렬* 2012-10-21 8982
2484 관계를 깨달음 김동렬* 2012-10-21 8666
2483 깨달음은 이미지다 김동렬* 2012-10-21 9211
2482 깨달음은 스타일이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688
2481 폐경이 있는 이유 image 김동렬* 2012-10-21 8955
2480 깨달음은 관계다 image 김동렬* 2012-10-21 8590
2479 깨달음 ~ Z까지 김동렬* 2012-10-21 9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