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150 vote 0 2019.07.21 (21:29:05)

    효율의 증가와 감소


    자연은 5로 되어 있다. 인간이 작위하여 만드는 것은 5가 아니다. 5는 시스템의 갖춤이다. 인간이 하는 일은 1에서 시작해서 2, 3, 4, 5로 상승한다. 5에 도달하면서부터 효율적으로 변한다. 그리고 갈수록 효율은 감소한다. 일한다는 것은 외부와 연결하여 관계를 맺는다는 것이며 관계를 맺으면 그 방향은 차단되고 새로 관계를 맺을 수 없다. 즉 일하면 일할 수 없다.

    멈춘 사람은 차를 탈 수도 있고 말을 탈 수도 있고 헤엄칠 수도 있다. 차를 탄 사람은 차에서 내리지 않고 즉 멈춰서지 않고 말을 타거나 헤엄칠 수 없다. 그러므로 일할수록 일할 수 없게 되어 결국 죽는다. 엔트로피 곧 무질서도의 증가다. 인간이 작위적으로 하는 일은 1로 시작하므로 점점 효율성이 증대된다. 아기보다 어린이가 낫고 어린이보다 소년이 낫다.

    소년보다 청년이 낫고 청년보다 장년이 낫다. 더 많은 관계를 맺을 수 있다. 그리고 하락이 시작된다. 효율성은 점차 감소한다. 바둑으로 치면 포석을 완성할 때까지 효율성은 증대된다. 그리고 점차 비효율적으로 된다. 그러므로 사건은 방향성이 있고 우리는 통제할 수 있다. 효율을 증대시킬 수도 있고 감소시킬 수도 있다. 상대보다 효율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상대가 1로 나오면 2로 이길 수 있다. 2가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내가 1로 도전했는데 상대가 빠르게 2로 나오면 그 부분을 포기하고 다른 곳에 새로 전단을 열고 선수를 치면 된다. 내가 포기한 1을 상대가 해치우지 않고 이쪽으로 쫓아오면 그 1과 연결하여 다시 살려내는 방법으로 우위에 설 수 있다. 여러 곳에 전단을 벌리고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5를 도출한다.

    이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전성기의 나폴레옹처럼 말이다. 적은 끊어져서 5가 되지 못하게 하고 아군은 연결하여 5를 이루는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하나의 사건 안에서 다섯 번 세부적인 효율성의 결정이 있다. 엔트로피 감소는 사건 전체로도 일어나지만 사건 안에서도 다시 다섯으로 쪼개진다. 다섯 번 엔트로피의 감소결정이 일어나는 것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7.23 (03:47:13)

"적은 끊어져서 5가 되지 못하게 하고 아군은 연결하여 5를 이루는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 http://gujoron.com/xe/1107946

[레벨:15]오민규

2019.07.23 (12:49:26)

많이 도움이 됐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18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053
2792 공자 이후에 공자가 없었다 image 김동렬 2016-01-19 5155
2791 구조론 사전 8 김동렬 2016-01-04 5154
2790 사랑의 정석 44, 신과의 일대일 image 1 김동렬 2016-01-30 5152
» 효율의 증가와 감소 2 김동렬 2019-07-21 5150
2788 사랑 81, 나의 바깥과 사귀어두라 image 1 김동렬 2016-03-24 5148
2787 노자 8, 무위는 필망이라 image 1 김동렬 2016-02-13 5148
2786 사랑의 정석 55, 나는 없다 image 1 김동렬 2016-02-17 5147
2785 유일한 믿을 구석은 추론뿐 1 김동렬 2020-09-21 5146
2784 구조론 철학사전 마지막 김동렬 2016-01-07 5146
2783 엔트로피가 전부다 image 2 김동렬 2015-10-20 5146
2782 공자 11, 문을 통하지 않고 나가랴 image 1 김동렬 2016-02-08 5143
2781 에너지 물질 공간 시간 정보 image 김동렬 2015-11-09 5141
2780 우주의 절대원리 2 김동렬 2020-01-24 5138
2779 공룡은 잘못 그려져 있다. image 9 김동렬 2023-03-17 5137
2778 양자론과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5-10-23 5137
2777 엘리트주의와 다원주의 1 김동렬 2020-09-01 5135
2776 부자나라가 되는 방법 image 1 김동렬 2016-01-27 5135
2775 사색문제의 이해 image 김동렬 2020-12-09 5132
2774 에너지의 핵심 2 김동렬 2020-01-26 5120
2773 사랑 67, 온전한 하나가 되라. image 1 김동렬 2016-03-04 5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