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014 vote 0 2019.07.21 (21:29:05)

    효율의 증가와 감소


    자연은 5로 되어 있다. 인간이 작위하여 만드는 것은 5가 아니다. 5는 시스템의 갖춤이다. 인간이 하는 일은 1에서 시작해서 2, 3, 4, 5로 상승한다. 5에 도달하면서부터 효율적으로 변한다. 그리고 갈수록 효율은 감소한다. 일한다는 것은 외부와 연결하여 관계를 맺는다는 것이며 관계를 맺으면 그 방향은 차단되고 새로 관계를 맺을 수 없다. 즉 일하면 일할 수 없다.

    멈춘 사람은 차를 탈 수도 있고 말을 탈 수도 있고 헤엄칠 수도 있다. 차를 탄 사람은 차에서 내리지 않고 즉 멈춰서지 않고 말을 타거나 헤엄칠 수 없다. 그러므로 일할수록 일할 수 없게 되어 결국 죽는다. 엔트로피 곧 무질서도의 증가다. 인간이 작위적으로 하는 일은 1로 시작하므로 점점 효율성이 증대된다. 아기보다 어린이가 낫고 어린이보다 소년이 낫다.

    소년보다 청년이 낫고 청년보다 장년이 낫다. 더 많은 관계를 맺을 수 있다. 그리고 하락이 시작된다. 효율성은 점차 감소한다. 바둑으로 치면 포석을 완성할 때까지 효율성은 증대된다. 그리고 점차 비효율적으로 된다. 그러므로 사건은 방향성이 있고 우리는 통제할 수 있다. 효율을 증대시킬 수도 있고 감소시킬 수도 있다. 상대보다 효율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상대가 1로 나오면 2로 이길 수 있다. 2가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내가 1로 도전했는데 상대가 빠르게 2로 나오면 그 부분을 포기하고 다른 곳에 새로 전단을 열고 선수를 치면 된다. 내가 포기한 1을 상대가 해치우지 않고 이쪽으로 쫓아오면 그 1과 연결하여 다시 살려내는 방법으로 우위에 설 수 있다. 여러 곳에 전단을 벌리고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5를 도출한다.

    이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전성기의 나폴레옹처럼 말이다. 적은 끊어져서 5가 되지 못하게 하고 아군은 연결하여 5를 이루는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하나의 사건 안에서 다섯 번 세부적인 효율성의 결정이 있다. 엔트로피 감소는 사건 전체로도 일어나지만 사건 안에서도 다시 다섯으로 쪼개진다. 다섯 번 엔트로피의 감소결정이 일어나는 것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7.23 (03:47:13)

"적은 끊어져서 5가 되지 못하게 하고 아군은 연결하여 5를 이루는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 http://gujoron.com/xe/1107946

[레벨:15]오민규

2019.07.23 (12:49:26)

많이 도움이 됐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90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994
6624 직관력 김동렬 2024-02-06 1878
6623 김건희의 뇌물공화국 김동렬 2024-02-22 1881
6622 구조론의 첫 단추 김동렬 2023-12-23 1883
6621 영웅 죽이기 스티브 잡스편 김동렬 2023-12-17 1884
6620 훈요십조의 진실 image 김동렬 2023-12-13 1885
6619 생각의 도구 1 김동렬 2023-01-18 1888
6618 직관의 힘 김동렬 2023-12-06 1888
6617 연결문제 김동렬 2023-02-12 1890
6616 에너지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3-08-27 1895
6615 구조론은 김동렬 2023-08-30 1895
6614 길 힘 법 김동렬 2023-09-10 1895
6613 긍정적 사고의 힘 1 김동렬 2023-12-21 1897
6612 구조문제 김동렬 2023-01-13 1898
6611 권력과 의미 김동렬 2023-12-18 1899
6610 부정과 긍정 김동렬 2023-12-19 1902
6609 유인촌 막 나가네 김동렬 2023-12-03 1903
6608 도구주의 관점 김동렬 2022-06-22 1910
6607 왼손잡이 문제 김동렬 2022-05-22 1915
6606 중국 축구 수수께끼 풀렸다 1 김동렬 2023-11-23 1915
6605 차별과 증오의 야만인 정치 김동렬 2023-07-23 1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