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후속] AI 시대의 대학강의/시험에 대한 새로운 실험


AI 시대의 대학강의/시험에 대한 새로운 실험에 대해

에 대해 한달전쯤 설명한 바있습니다.

http://gujoron.com/xe/gujoron_board/1090533


그리하여  그 결과가 어느 정도 나왔습니다.

시험직후 무기명 설문조사를 해보니

학습과정의 의의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호감을 표시한 학생들이 약 20~30%수준이었고 

학생들의 상호평가방식에 대해서는 공정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학생들이 약 40%였습니다.

그리하여 답안지에 대한 교수평가를 별도로 진행하였습니다.

최종적으로 학생상호자율평가와 교수에 의한 평가를 대비해본 결과 상당한 차이를 보였습니다.

그림1.png


자율적 상호평가는 아직 미완의 것으로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학생들의 출제와 답안의 내용 부문에는 수준높은 것이 눈에 띄었습니다. 

창의적이면서도 상당히 심도있는 것까지, 이런 내용이 나오기까지 많은 공부의 흔적이 있어보이는군요.

자율출제와 자율답안작성 까지는 어느 정도 성공적이었다고 자평해봅니다.

'AI시대에 걸맞는 인재를 양성하기'는, 다음학기에 좀더 업그레이드된 시도를 해볼까 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771
2167 안녕하세요 강도혁입니다 1 강도 2005-10-30 10790
2166 김동렬님께 강도 2005-11-29 11690
2165 김동렬님..이 사이트의 글 좀 읽어주십시요. 1 날다 2005-12-19 10091
2164 가족 혹은 우리의 결혼제도에 대한 의견... 1 강도 2006-01-17 8978
2163 동렬님께... 3 kkh 2006-01-24 8926
2162 '차길진' 이라는 재미있는 사람이 있더라구요 1 송파노을 2006-02-22 12673
2161 동렬님 1 송파노을 2006-02-22 8181
2160 대중의 한계와 인터넷 2 송파노을 2006-02-27 7456
2159 즐거움이 없는 베품이랄까? 3 프로메테우스 2006-02-27 7731
2158 문명과 대중 그리고 지식 송파노을 2006-03-01 9270
2157 [re] 문명과 대중 그리고 지식 1 김동렬 2006-03-01 8557
2156 문명과 지식 1 김동렬 2006-03-02 8188
2155 고수와 하수 김동렬 2006-03-02 9905
2154 굿을 어떻게 이해할수 있을까요? 1 프로메테우스 2006-03-19 9252
2153 질문있습니다 ^^ 강도 2006-05-06 8751
2152 [re] 질문있습니다 ^^ 2 김동렬 2006-05-06 8654
2151 전기로 물을 염색해보려고 해요... 강도 2006-05-17 9253
2150 [re] 전기로 물을 염색해보려고 해요... 1 김동렬 2006-05-17 9198
2149 욕망을 혁명하기 6 강도 2006-06-05 8923
2148 구조론 부적응 1 아티스 2007-11-18 5492